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0:37:24
<colbgcolor=#879e9f,#ddd><colcolor=#eaf0f3,#010101> 이일향 李一香 |
|
출생 | 1930년 |
경상북도 대구부 (現 대구광역시) |
사망 | 2024년 11월 2일 (향년 94세)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직업 | 시인 |
학력 | 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효성여자대학교 (문학과 / 중퇴) |
약력 | 사조산업 명예회장 푸른상호저축은행 명예회장 여성시조문학회 회장 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자문위원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
가족 | 아버지 이설주 (1908.4.12 ~ 2001.4.20) |
배우자 주인용 (1949 ~ 1978, 사별) 장남 주진우 차남 주진규 장녀 주영주 차녀 주연아 삼녀 주안나 |
대한민국의 시인.
그는 1930년 대구에서 태어나 1949년 사조산업 창업자인 주인용 선대 회장과 결혼했다. 이후 1978년 남편과 사별한 후 정완영 선생으로부터 시조를 배우며 그리움과 상실감을 극복했다. 이후 1983년 '시조문학'으로 등단하며 본격적으로 시조시인의 길을 걸었다. 그렇게 '지환을 끼고', '밀물과 썰물 사이', '석일당시초' 등 15권의 작품집을 남겼다. 동시에 중앙시조대상 신인상, 윤동주문학상, 노산문학상, 정운 이영도문학상, 한국시조시인협회상, 구상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1992년 신사임당상으로 추대되기도 하였다. 2016년에도 시조집 '노래는 태워도 재가 되지 않는다'를 출간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2024년 11월 2일 사망했다. 향년 94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