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07:50:43

이서(동음이의어)

1. 인명
1.1. 실존 인물1.2. 가상 인물
2. 대한민국의 지명
2.1. 완주군의 이서면2.2. 청도군의 이서면2.3. 화순군의 이서면
3. 법률 용어

1. 인명

깔끔한 어감으로 현대에는 주로 여자 이름으로 많이 사용한다. 물론 남자도 사용한다. 다만 성이 이씨라면 어감이 다소 이상해진다는 것이 단점.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신생아 이름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1] 2010년대 후반에도 사용자 수는 많지 않았으나 2020년에 1년 만에 출생자 이름 순위가 엄청나게 상승해서[2][3] 20위권으로 갔고, 2022년과 2024년엔 여자 이름 1등이다.[4] 따라서 2010년생까지만 해도 10명 이하만 사용해서 '이서'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정말 시대를 앞선 이름이거나 개명한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여자 이름이 워낙 시대를 많이 타고, 갑자기 급격히 상승한 만큼 급락할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오래 유행할지는 의문.

성이 씨고 이름이 '서' 한 글자인 경우도 존재한다.

1.1. 실존 인물

1.2. 가상 인물

2. 대한민국의 지명

2.1. 완주군의 이서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서면(완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완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완주)#|]][[이서면(완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청도군의 이서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서면(청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청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청도)#|]][[이서면(청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화순군의 이서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서면(화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화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화순)#|]][[이서면(화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법률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서(법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법률)#|]][[이서(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09년에는 꼴랑 7명, 2010년에는 여자 기준 6명만 이 이름으로 지을 정도로 드물었다. 그나마 2011년부터는 소폭씩 증가했다.[2] 2019년에는 265명이었는데 2020년 1,009명으로 4배 가까이 상승했고 순위도 200위나 올랐다.[3] 공교롭게도 해당 년도 1월에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가 방영되며 메가히트를 기록하였고 해당 드라마의 여주인공 이름이 이서였다. 따라서 '이서'라는 이름의 유행에 상당 부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4] 특히 2022년에는 인구의 1%, 여자의 2% 가까이가 이 이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