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명
깔끔한 어감으로 현대에는 주로 여자 이름으로 많이 사용한다. 물론 남자도 사용한다. 다만 성이 이씨라면 어감이 다소 이상해진다는 것이 단점.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신생아 이름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1] 2010년대 후반에도 사용자 수는 많지 않았으나 2020년에 1년 만에 출생자 이름 순위가 엄청나게 상승해서[2][3] 20위권으로 갔고, 2022년과 2024년엔 여자 이름 1등이다.[4] 따라서 2010년생까지만 해도 10명 이하만 사용해서 '이서'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정말 시대를 앞선 이름이거나 개명한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여자 이름이 워낙 시대를 많이 타고, 갑자기 급격히 상승한 만큼 급락할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오래 유행할지는 의문.성이 이 씨고 이름이 '서' 한 글자인 경우도 존재한다.
1.1. 실존 인물
- 이서 - 대한민국 걸그룹 IVE의 멤버 - 본명: 이현서
- 이서(1332) - 여말선초의 문관
- 이서(1581) - 조선 시대의 무관
- 이서(1996) - 대한민국 걸그룹 루나솔라의 멤버 - 본명: 노현정
- 이서(가수) - 인디 가수 - 본명: 송혜영
- 이서(배우) - 대한민국의 배우 - 본명: 이윤선
- 김이서 - 치어리더
- 덕원군 - 조선시대의 왕자 - 본명: 이서(李曙)
- 김이서(배우) - 대한민국의 배우
- 정이서 - 대한민국의 배우
- 박이서 - 대한민국의 성우
- 한이서 - 대한민국의 가수
1.2. 가상 인물
2. 대한민국의 지명
2.1. 완주군의 이서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완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완주)#|]][[이서면(완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청도군의 이서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청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청도)#|]][[이서면(청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화순군의 이서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화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면(화순)#|]][[이서면(화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법률 용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서(법률)#|]][[이서(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