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3-21 00:47:29

이방과(연못에 핀 목화 - 송경별곡)



파일:연못에 핀 목화-송경별곡.이방과.jpg

1. 개요2. 작중 행적3. 기타

1. 개요

연못에 핀 목화 - 송경별곡의 서브남주이자 지득린과 함께 폭풍짠내의 주인공. 사실 여기서 행복한 사람은 없다(...) 조선의 2대 국왕 정종. 왕자군 작위는 영안군.

2. 작중 행적

이성계의 둘째 아들로 지혜령과 지혜루의 남편(...)이자 이방우의 남동생이며 이방원의 형/지혜안의 시동생/지득린에게는 매부이다. 즉, 아내인 지혜령과는 겹사돈이자 처형 관계이다(...)[1] 아버지와 절연한 형 방우를 대신해 전주 이씨 가문의 장자의 직위를 대신하고 있다. 아버지인 이성계의 지시로 원치 않는 일을 하나[2] 지혜령과의 만남 이후로 아버지에게 반항 한 번 못하던 이전과는 달리 면전에서 말대답을 하는 등 사람이 변한다(...)

방과에게 혜령은 최초의 구원이자 인생의 빛이다. 처음으로 사랑하게 된 여인이었으며 그녀를 만난 이후 새로운 후궁을 들이지도, 다른 여인들을 품지도 않는다.[3]

지혜령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그녀가 전남편 문중원만을 바라본다는 사실을 잘 알기에 중원과 도망칠 수 있도록 보내주기도 했다. 하지만 혜령은 오빠 지득린과 갈등과 가문의 안위를 위해서 이방과의 부인이 되는 길을 선택한다.

조선이 개국된 후, 계모 신덕왕후가 세자가 된 자신의 친아들 이방석을 위해 방과와 혜령을 견제하지만 오로지 혜령과 자신의 형제들을 위해 버텨낸다. 신덕왕후가 사망하고 분노한 이성계[4] 혜령과 이혼하라고 하자 면전에 대놓고 절대 안된다고 할 정도로 자기 아버지와 대립한다. 이 대립은 정도전이 사병을 혁파하면서 자신의 동복형제들의 목숨까지 위협하자 절정에 이른다.

결국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신덕왕후의 소생의 왕자들과 그 지지자들을 몰살하고 조선의 2대 국왕 정종으로 등극한다.[5] 이후 혜령을 자신의 후궁들 중 유일하게 성빈으로 책봉하고 엄청나게 총애하며, 그녀와의 사이에서 이후생이말생이라는 아들도 둘이나 낳고 행복하게 사는 듯 했다.[6] 하지만 자신의 동생 이방원의 계략으로 기억을 잃고 아들 후생마저 보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게된 혜령이 그의 뺨을 칠 정도로 분노하고 관계가 파탄나고 만다. 이런 상황에서도 혜령에게 용서를 빌고 아들을 생각하라고 사정한다. 그러나 2차 왕자의 난이 터지면서 혜령은 또다시 문중원과 도망치려 한다. 이와중에 혜령의 친오빠 지득린마저 난을 집압하던 와중에 전사한다.

하지만 결국 도주는 또다시 실패하고 문중원은 이방원에게 붙잡혀 처형당한다. 연인과 오빠의 죽음에 절망한 혜령은 사실상 자살과 다름없는 화재로 사망하고, 방과 역시 그녀의 죽음으로 삶의 의지를 잃고 이방원에게 양위한다. 이때 울며불며 반대하는 방원에게 절규하는데, 혜령을 일부러 문중원에게 보내줘 도망치게 해줬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정말이지 끝까지 혜령만을 생각하고 사랑한 남자.

이후 18년이 지난 1418년인 에필로그에서 성장한 이후생에 의해서 언급되는데, 양위한 후에는 혜령의 아들들을 보는 낙으로 말년을 지내며 살아가는 모양.

3. 기타

신장은 179cm로 이씨 형제들중에서 가장 큰편이다. 그리고 동안인지 회안군 이방간이 방과를 형이라고 하면 위아래가 바뀐거 아니냐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한다.

작가가 밝힌 바에 따르면 아버지나 형과 달리 과묵하고 온화한 성격이며 날카로운 눈매에 더해 어두운 분위기를 풍기지만 마음이 여린 사람이라고 한다. 하지만 온화한 모습과는 달리 종종 돌변하는 모습도 보여주는데 평소에는 주변사람들에게 온화하고 아우들도 따뜻하게 보살피는 형이지만 화가 났을 때는 막내 방원에게 주먹을 날리는 등 무서운 모습도 보인다.[7] 방과가 정말 분노하면 소시오패스 방원마저 아무것도 못하고 기에 눌릴 정도.[8] 원래 평소에 다정한 사람이 화나면 제일 무서운 법이다 하지만 혜령에게는 항상 다정하고 그녀의 말 한마디에 시무룩해지기도 하는 등 짠하면서도 귀여운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사랑하는 여자에게 일부러 져주는 스타일이다.

가끔 춤을 춘다고 한다. 혜령이 보여달라고 해서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의 심정으로 한 번 췄던 적이 있는데 반응이 좋았다고. 칭찬을 받으면 돌고래가 되는 사람인지라 그 뒤로 가끔 혜령 앞에서 춤사위를 선보인다.

앞서 서술되다시피 혜령에 대한 애정과 배려만은 엄청나다. 그녀를 위해 문중원과 도망치라고 두 번이나 보내줬고, 문중원의 자식인 이후생도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여 사랑으로 키워냈다.[9] 하지만 혜령과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났고 그도 삶의 의지를 잃고 퇴위하였으니 안타깝기 그지없는 사람.

원래 여말선초를 다루는 사극 작품에선 사실상 공기에 가까운 취급을 자주 맡는 이방과지만 여기선 서브남주란 포지션도 얻고 혜령에 대한 외사랑의 짠함을 선보이는 인상깊은 캐릭터가 되었다.

[1] 겹사돈+처형+아내 삼중 관계는 작가가 지어낸 설정이 아니고 진짜 팩트다(...). 과거에 고려 왕실을 비롯해 사대부 집안에서 자매가 같은 남편을 갖는 것이 종종 일어나는 일이긴 했다.[2] 눈맡의 상처도 아버지의 명령으로 정몽주를 암살하려다 정몽주의 예상외의 반격으로 생긴 상처다.[3] 하지만 금욕적인 사람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아버지가 시켜서라고는 하지만 부인도 많고, 자식도 많아 혜령에게서 태어난 첫째 아들 이후생은 방과의 10왕자가 된다(...).[4] 신덕왕후의 병세가 악화되고 결국 죽음으로 이끈게, 그녀와 철저히 대립한 혜령의 탓이라고 생각했다.[5] 보통 대중매체에서 왕자의 난은 대부분 이방원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이방과는 억지로 왕위에 올랐다고 나오는데, 이 작품에선 오히려 이방과가 주동자이며 이방원이 그의 행동대장이자 책사로 나온다. 창작이 아니라 실제로 학계 일각에서 제기된 바 있는 주장이다.[6] 다만 이후생은 혜령이 문중원과 도망치던 도중 관계하여 임신한 아이여서 친아들이 아니다.[7] 지철의 국문 사건에서 이 모습이 극대화된다. 고려에서 잔인하게 죄인들을 치죄하던 모습을 잠시 잊었었다는 지철의 독백도 확인할 수 있다.[8] 어전에서 형에게 멱살잡혀 부들부들 겨우 버티던 방원의 애잔한 모습은 102화. 실요애정통고(失了愛情痛苦)에서 확인할 수 있다[9] 이후생이 문중원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안 이방원이 노발대발하자, 이성을 잃고 그 아인 내 아들이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