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내무아문대신 (1894~1895) | ||||||||
초대 민영달 | 제2대 민영상 | 제3대 서상우 | ||||||
<nopad> 조선 내부대신 (1895~1897) | ||||||||
초대 박영효 | 제2대 이헌영 | 제3대 박정양 | 제4대 유길준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남정철* | ||||||||
<nopad> 대한제국 내부대신 (1897~1910) | ||||||||
초대 남정철* | 제2대 박정양 | 제3대 이근명 | 제4대 심상훈 | 제5대 민영환 | ||||
제6대 이근명 | 제7대 이건하 | 제8대 민병석 | 제9대 이건하 | 제10대 김주현 | ||||
제11대 이헌영 | 제12대 조병호 | 제13대 이재극 | 제14대 민영환 | 제15대 이도재 | ||||
제16대 이용태 | 제17대 조병필 | 제18대 이용태 | 제19대 조병식 | 제20대 이도재 | ||||
제21대 이지용 | 제22대 윤용구 | 제23대 이지용 | 제24대 민병석 | 제25대 이종건 | ||||
제26대 박용화 | 제27대 이지용 | 제28대 이도재 | 제29대 이지용 | 제30대 임선준 | ||||
제31대 이근상 | 제32대 임선준 | 제33대 이도재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34대 임선준 | 제35대 송병준 | 제36대 박제순 | ||||||
* 내부대신이 참정을 예겸 | ||||||||
}}}}}}}}}}}} |
조선귀족 남작 | |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 |
| |
출생 | 1835년 4월 27일 |
경기도 광주군 (현 경기도 광주시) | |
사망 | 1913년 11월 7일 (78세) |
본관 | 전주 이씨 |
국적 |
|
직업 | 정치가, 관료 |
종교 | 유교(성리학) |
작위 | 조선귀족 남작 |
1. 개요
조선의 관료이며 대한제국의 대신이자 일제강점기의 귀족 남작이다.2. 생애
전주 이씨로 경기도 광주군 출생이다. 이인화의 아들이나 이인우에게 입적되었다.1864년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 시작으로 관직에 나아갔다. 1886년 이조참판, 1892년예조판서를 지냈고, 1899년에는 내부대신이 되었다.
1904년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에 황무지 개척권 양도를 강요했을 때 박기양, 이상설 등과 함께 반대 상소를 올린 기록이 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에도 조약 체결에 가담한 대신들을 비판하며 법대로 척결할 것을 주장하는 등, 본래 일본과 가까운 관계는 아니었다.
그러나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강제 체결 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12년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고, 정4위에 서위되었다. 이건하의 남작 작위는 광복 당시 손자인 이완종에게까지 습작되어 있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자신의 작위를 물려받은 아들 이범팔과 함께 선정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