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4:02:27
이강현 Lee Kanghyun <nopad> <colbgcolor=#333><colcolor=#fff> 이름 이강현 출생 1975년 8월 29일 사망 2023년 3월 5일 (향년 47세) 동백 성루카 호스피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데뷔 2006년 파산의 기술
1 . 개요2 . 생애3 . 필모그래피4 . 수상5 . 사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그는 2006년 만든 첫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파산의 기술'이 서울독립영화제와 암스테르담국제영화제 등 국내외 여러 영화제에 상영되며 주목을 받았다. 이후 담담하게 노동 현실을 고발한 '보라'로 2011년 제12회 전주국제영화제 관객평론가상을 받았고, 2012년 제2회 시네마테크 KOFA가 주목한 한국영화에 선정됐다. 첫 극영화이자 마지막 작품이 된 '얼굴들'도 2017년 제43회 서울독립영화제 심사위원상, 2017년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시민평론가상, 2019년 제2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특별상 등을 받았다. 독립영화 쪽에서 활동해 대중적 인지도는 낮았지만 정성일 , 유운성 등 한국 평론가들이 호평했던 감독으로 꼽힌다.3. 필모그래피 <rowcolor=#fff> 연도 제목 비고 2006년 파산의 기술 2011년 보라 2019년 얼굴들
<rowcolor=#fff> 연도 명칭 2011년 제12회 전주국제영화제 관객평론가상 2012년 제2회 시네마테크 KOFA가 주목한 한국영화 2017년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시민평론가상 2017년 제43회 서울독립영화제 심사위원상 2019년 제2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특별상
2023년 3월 5일 오전 향년 4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