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5:51:10

이갑수(1899)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보건복지부 제2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부차관 (1949~1955)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이갑수
제2대
임문환
제3대
최재유
제4대
정준모
제5대
정진욱
보건복지부 제2차관 (2020~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초대
강도태
제2대
류근혁
제3대
이기일
제4대
박민수
보건복지부장관 · 보건복지부 제1차관
}}}}}}}}} ||
이갑수
李甲秀 | Lee Kapsoo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출생 1899년 4월 23일
대한제국 황해도 금천군
사망 1973년 12월 5일 (향년 7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직업 의사, 교육자, 우생학자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의사, 교육자, 우생학자. 일제강점기에 조선우생협회라는 우생학 단체의 창립, 운영의 핵심인물이기도 하다. 호는 미수(麋壽) 1970년대까지 한센병 환자들이 1970년대까지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게 된 직접적인 원인제공자이다.

2. 생애

대한의사학회에서 발행한 이갑수의 생애와 사상

1899년, 황해도 금천군에서 13대를 이어온 1만석거리 대지주였던 이택기와 경주 김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앙녕대군의 16대손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1920년 경성의학전문학교[1]를 졸업 후 독일 유학으로 1924년 베를린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귀국 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교수와 부속병원 내과 과장을 역임하는 등 일제강점기 의학분야의 저명한 학자이자 교육자였다.

1933년 9월, 윤치호, 권동진 외의 40명 이상이 조선우생협회를 창립했는데, 이갑수는 이 단체의 총무이사로 협회의 창립 과정과 이후 강연회 개최 등 협회 운영과 관련된 핵심인물이었다.[2]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인 1949년부터 1950년까지 초대 보건부차관으로 역임하였으며, 이후 YMCA 후원회 이사, 제2대 서울여자의과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

3. 관련 문서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2] 조선우생협회에서 발행한 기관지인 "우생"이라는 잡지의 제작과정에서도 다양한 글을 싣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