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 문서에서는 많은 언어에서 나타나는 음절 치환 단어에 대해 서술한다. 여기서 말하는 음절 치환이란 '배달' → '딸배' 식으로 음절이 순서가 바뀌거나 음절 일부가 다른 음절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대개 격식어에서는 쓰이지 않고 비격식적 은어로 쓰인다.2. 사례
- 베를랑(Verlan)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 은어로, 젊은 층의 비속어에서 자주 관찰되며 프랑스 서브컬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에 의하면 최소 1990년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베를랑'이라는 단어 자체도 '역전(l'envers, 랑베르)'이라는 단어의 베를랑이다.
전반적으로 표기보다는 원 음절의 발음을 보존하려는 영향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세(fran-çais)'는 표기대로 치환하면 'çais-fran'이 되어 '세스프랑' 정도가 되겠으나 실제로는 '세프랑(céfran)'으로 발음된다. 또 다른 예로, 묵음 e[1]는 표기법상 단어의 중간에 들어가더라도 여전히 묵음이다. 이로 인해 베를랑의 표기는 중구난방으로 '발음 그대로' 파와 '표기 그대로' 파가 충돌하는 상황이다.
현지에서 유명한 베를랑의 사례로는 'meuf(femme=여성[2])', 'keuf(flic=짭새[3])', 'beur(arabe[4])' 등이 있다. 재미있게도, meuf처럼 음지/양지 할 것 없이 널리 퍼진 베를랑의 경우 또 다시 치환되는(일명 '이중 베를랑') 경우도 있다. meuf의 경우 'feumeu'로, beur의 경우 'rebeu'[5]라고 한다.
다만 모든 단어를 베를랑 식으로 치환하는 건 아니고, 실 사용례를 보면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베를랑 동사의 경우 (당연히 '베를랑 문법' 같은 게 있을 리 없으니) 프랑스어 동사 변화가 워낙 복잡한지라 부정사나 과거분사/현재진행 형으로 보통 퉁친다. 영어 위키백과에 제시된 예를 가져와보면, 'J'étais en train de pécho une bebon(나 화끈한 영계를 꼬시고 있었어)'의 경우 ' je pécho[ais]'처럼 쓰지는 않는다. 프랑스어 위키백과의 Verlan 항목
- 피그 라틴(Pig Latin)
- 베스레(Vesre)
아르헨티나 및 우루과이의 '히우 데 라 플라타 바신(Rio de la Plata Basin)' 지역 스페인어 화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구어적 특성을 의미하며 '베스레'라는 단어 자체도 '역전(revés)'이라는 단어의 베스레이다.이 지역 탱고 가사들은 특유의 분위기(underworld atmosphere) 강조 및 희극적 연출을 위해 베스레와 룬파르도[6]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지역마다 고유의 베스레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흔히 말하는 '베스레'는 부에노스 아이레스 기준의 베스레를 말한다고 한다. 예로 feca(café=커피), toga(gato=고양이[7]), dolape(pelado=대머리) 등이 있다. 스페인어 위키백과의 Vesre 항목
- 포다나(ποδανά)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한 은어로 '포다나'라는 단어 자체도 '뒤죽박죽(ανάποδα, 아나포다)'이라는 단어의 포다나이다. 대표적 사례로 'tsosbá(bátsos=경찰)', 'dafoú(foúnda=해시시)' 등이 있다. 그리스어 위키백과의 ποδανά 항목
- 샤트로바치키(Šatrovački/шатровачки)
- ネタ(네타) ← 種(たね)를 뒤집은 것이다.
3. 관련 개념
[1] 프랑스어의 경우 단어의 맨 끝에 오는 e는 묵음 처리되기도 하는데 이를 'e muet(e 묵음)'라고 한다.[2] ma meuf(내 여자)처럼 소유격의 수식을 받을 경우 여자친구라는 의미가 내포된다.[3] 경찰의 비속어 맞다. 재미있는 건, 원래 flic 자체가 비속어인데 이게 또 베를랑 처리가 되었다.[4] 직역하면 아랍인인데, 북아프리카 출신인 부모/조부모를 두었지만 유럽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지칭하는 구어다.[5] 이 경우 beur의 아들딸들, 즉 아랍인 후손 2세대를 의미한다.[6] Lunfardo. 20세기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을 중심으로 퍼져나간 스페인어 사투리로 원래 범죄자들의 은어에서 시작되었다.[7] 단순 고양이가 아니라 여성 매춘부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