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육군력은, 육군의 총체적인 전력을 말한다.2. 국가별 육군력
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 ||||
동남아시아 | | |||||
서아시아 | | |||||
남아시아 |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북아시아 | 몽골 | |||||
동유럽 |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
남유럽 | 슬로베니아 |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2.1. 전차
- 육군력/전차 항목 참조.
2.2. 포병
배치(치장) 수량[1] | |||||
국가 | 다연장[2] | 자주포 | 견인포 | ||
북한 | 4,000 문 | 8,600 문 | |||
중국 | 1,330(1,000) 문 | 3,240(600) 문 | 900(3,200) 문 | ||
러시아 | 941(2,350) 문 | 1,583(3,610) 문 | 220(4,790) 문 | ||
대한민국 | 298 문 | 2,330 문 | 3,500 문 | ||
미국 | 594 문 | 671(850) 문 | 1,212 문 | ||
이란 | 776 문 | 292 문 | 2,030 문 | ||
대만 | 322 문 | 488 문 | 1,060 문 | ||
파키스탄 | 88 문 | 552 문 | 1,629 문 | ||
인도 | 228 문 | 100 문 | 3,095(500) 문 | ||
베트남 | 350 문 | 30 문 | 2,300 문 |
2.3. 병력 규모
육군 소속 인원수 | |||
국가 | 현역 | 예비역 | 기타 |
인도 | 1,237,000 | 800,000 | 지역군 40,000명 |
북한 | 1,100,000 | 600,000 | |
중국 | 965,000 | 510,000 | 전군 예비역 합산 |
파키스탄 | 560,000 | ||
러시아 | 500,000 | 1,500,000 | 전군 예비역 합산 |
미국 | 452,750 | 176,750 | 주방위군 324,500명 |
베트남 | 380,000 | 5,000,000 | 전군 예비역 합산 |
대한민국 | 365,000 | 3,100,000 | 전군 예비역 합산 |
이란 | 350,000 | 350,000 | 혁명수비대 190,000명 |
이집트 | 310,000 | 375,000 | |
인도네시아 | 300,400 | 400,000 | 전군 예비역 합산 |
튀르키예 | 260,200 | 258,700 | |
일본 | 150,500 | 46,000 | |
이스라엘 | 126,000 | 400,000 | |
프랑스[3] | 113,800 | 22,550 | |
대만 | 94,000 | 1,50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