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1:43:13

육군력

파일:h38zAZv.jpg
파일:OxKu3I8.jpg
파일:l0zbJvH.jpg

1. 개요2. 국가별 육군력
2.1. 전차2.2. 포병2.3. 병력 규모
3. 관련 문서

1. 개요

육군력은, 육군의 총체적인 전력을 말한다.

2. 국가별 육군력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파일:조선인민군륙군기.svg 북한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중국 |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파일:태국 육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군기.svg 베트남 |
파일:Flag_of_the_Indonesian_Army.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육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육군기.png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일:파키스탄 육군 로고.png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북아시아 몽골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육군기.svg 벨라루스 |
파일:루마니아 육군 휘장.png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지상구성군기.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체코 육군 엠블럼.pn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 육군 휘장.pn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육군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육군 엠블럼.png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파일:튀르키예 육군 엠블럼.png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육군기.jp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파일:세르비아 육군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육군기.svg 노르웨이 | 파일:에스토니아 육군 엠블럼.svg 에스토니아 | 파일:라트비아 육군 엠블럼.pn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육군기.png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육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파일:페루 육군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Flag_of_the_Royal_Moroccan_Army.png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2.1. 전차

2.2. 포병

배치(치장) 수량[1]
국가 다연장[2] 자주포 견인포
북한 4,000 문 8,600 문
중국 1,330(1,000) 문 3,240(600) 문 900(3,200) 문
러시아 941(2,350) 문 1,583(3,610) 문 220(4,790) 문
대한민국 298 문 2,330 문 3,500 문
미국 594 문 671(850) 문 1,212 문
이란 776 문 292 문 2,030 문
대만 322 문 488 문 1,060 문
파키스탄 88 문 552 문 1,629 문
인도 228 문 100 문 3,095(500) 문
베트남 350 문 30 문 2,300 문

2.3. 병력 규모

육군 소속 인원수
국가 현역 예비역 기타
인도 1,237,000 800,000지역군 40,000명
북한 1,100,000 600,000
중국 965,000 510,000전군 예비역 합산
파키스탄 560,000
러시아 500,000 1,500,000전군 예비역 합산
미국 452,750 176,750주방위군 324,500명
베트남 380,000 5,000,000전군 예비역 합산
대한민국 365,000 3,100,000전군 예비역 합산
이란 350,000 350,000혁명수비대 190,000명
이집트 310,000 375,000
인도네시아 300,400 400,000전군 예비역 합산
튀르키예 260,200 258,700
일본 150,500 46,000
이스라엘 126,000 400,000
프랑스[3] 113,800 22,550
대만 94,000 1,500,000

3. 관련 문서


[1] Military Balance 2024[2] 견인다연장 제외[3] 튀르키예를 제외한 유럽에서 유일하게 현역 10만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