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3:48:3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6호

<colbgcolor=#4b92db><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b92db>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6호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06
}}}
파일:undof 구역.jpg
▲ 유엔 병력 철수 감시군의 주둔 지역(자색)
일자 1982년 5월 26일
주제 아랍-이스라엘 분쟁
결과 만장일치 채택
참여국
상임이사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비상임이사국 가이아나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나마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토고
파일:토고 국기.svg
우간다
파일:우간다 국기.svg
자이르
파일:자이르 국기.svg
1. 개요2. 내용3. 투표 결과4. 외부 링크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82년 5월 26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506호 결의안.

2. 내용

제4차 중동전쟁 동안 이스라엘 방위군폴레-뉴컴 협정에 바탕한 골란 고원의 서부 방면(옛 이스라엘 영역)과 동부 방면(옛 시리아 영역)을 순차로 탈환했고, 악전고투 끝에 다마스쿠스 근처까지 진격하여 여러 곳의 거점들을 점령한 직후에 정전했다. 결의안 제338호에 따라 이스라엘과 시리아는 골란 고원의 중부 방면에 대하여 비무장화를 합의했고, 안전보장이사회는 쌍방에 속한 병력의 철수를 감시하는 군대를 파견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당사국들에 결의안 제338호를 즉시 시행할 것을 요구했으며 유엔 감시단의 임무를 6개월 더 연장했다. 또한 유엔 사무총장에 결의안 제338호의 이행 여부와 이에 따른 상황의 진전을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3. 투표 결과

찬성 반대 기권 불참
15 0 0 0

4. 외부 링크

5. 둘러보기

파일:UN 엠블럼(파란색).svg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5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6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