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3:38:28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6호

<colbgcolor=#4b92db><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b92db>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6호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496
}}}
파일:1981_Seychelles_coup_-_interview.jpg
▲ 쿠데타 미수에 동원된 남아프리카의 용병들
일자 1981년 12월 15일
주제 1981년 세이셸 쿠데타 미수
결과 만장일치 채택
참여국
상임이사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비상임이사국 동독
파일:동독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제르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나마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우간다
파일:우간다 국기.svg
1. 개요2. 내용3. 투표 결과4. 외부 링크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81년 12월 15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496호 결의안.

2. 내용

1976년, 세이셸영국으로부터 독립했으나 독립 이전부터 노선 차이로 대통령 제임스 맨첨과 총리 프랑스알베르 르네 간의 갈등이 존재해 왔다. 1977년 르네가 쿠데타를 통해 맨첨을 몰아내고 정권을 잡자 맨첨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르네에게 대항하여 쿠데타를 계획한다.

1981년 11월 15일, 세이셸 국제공항을 통해 쿠데타 세력이 침투했으나 검색 과정에서 총이 발견되었고 즉시 쿠데타군과 세이셸군 간의 교전이 발발했다. 세이셸군이 쿠데타군을 압박해 오자 쿠데타군은 에어 인디아보잉 707[1] 여객기를 납치해 남아프리카의 더반으로 도주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남아프리카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쿠데타와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여객기 납치를 규탄했다. 또한 유엔 사무총장의 도움을 받아 82년 1월 31일까지 사건을 조사하고 보고할 위원회를 설립했다.

3. 투표 결과

찬성 반대 기권 불참
15 0 0 0

4. 외부 링크

5. 둘러보기

파일:UN 엠블럼(파란색).svg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5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6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7호



[1] 솔즈베리봄베이행 224편, 보잉 707-337C, VT-DV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