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 bordercolor=#004e6a,#383b40><bgcolor=#004e6a,#010101> [[원신|[[파일:원신 로고.svg|width=85]]]]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스토리|{{{#ffffff 스토리}}}]]'''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연표|연표]] · [[원신/임무|임무]] {{{-2 ([[원신/임무/마신 임무|마신]] · [[원신/임무/전설 임무|전설]] · [[원신/임무/월드 임무|월드]] · [[원신/일일의뢰|의뢰]])}}} · [[원신/이벤트|이벤트]] {{{-2 ([[원신/이벤트/1.n 버전|1]] · [[원신/이벤트/2.n 버전|2]] · [[원신/이벤트/3.n 버전|3]] · [[원신/이벤트/4.n 버전|4]] · [[원신/이벤트/5.n 버전|5]] / [[해등절]], [[원신/이벤트/여름 이벤트|여름 이벤트]])}}}}}} ||
||<|3> '''[[원신/지역|{{{#ffffff 지역}}}]]'''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티바트''': [[몬드]] · [[리월]] · [[이나즈마(원신)|이나즈마]] · [[수메르(원신)|수메르]] · [[폰타인]] · [[나타(원신)|나타]] · [[스네즈나야]] · [[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고대 국가''': [[살 빈다그니르]] · [[백야국]] · [[레무리아 제국]] · [[오치카나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 지역''': [[드래곤 스파인]] · [[층암거연]] · [[연하궁]] · [[지난날의 바다]] · [[잿더미 바다]] · [[셀레스티아(원신)|셀레스티아]] · [[금사과 제도]] · [[유리빛 신기루]] · [[시뮬랑카]]}}} ||
||<|2> '''[[원신/설정|{{{#ffffff 설정}}}]]'''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설정/몬드|몬드]] · [[원신/설정/리월|리월]] · [[원신/설정/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설정/수메르|수메르]] · [[원신/설정/폰타인|폰타인]] · [[원신/설정/나타|나타]] · [[원신/설정/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설정/켄리아|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신(원신)|신]] {{{-2 ([[일곱 신]]· [[마신전쟁(원신)|마신전쟁]]· [[4명의 집정관]])}}} · [[신의 눈(원신)|신의 눈]] · [[원신/종족|종족]] · [[티바트 문자|문자 및 언어]] · [[심연(원신)|심연]] · [[대재앙]] · [[강림자(원신)|강림자]] · [[운명의 자리]] }}} ||
||<|2> '''[[원신/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등장인물/몬드|몬드]] · [[원신/등장인물/리월|리월]]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등장인물/수메르|수메르]] · [[원신/등장인물/폰타인|폰타인]] · [[원신/등장인물/나타|나타]] · [[원신/등장인물/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등장인물/켄리아|켄리아]] · [[원신/등장인물|기타]]}}}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력 및 집단''': [[모험가 길드(원신)|모험가 길드]] · [[페보니우스 기사단]] · [[선인(원신)|리월 선인]] · [[수메르 아카데미아]] · [[도금 여단]] · [[수선화 십자]] · [[우인단]] · [[심연 교단]] · [[마녀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콘텐츠|{{{#ffffff 콘텐츠}}}]]'''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캐릭터|캐릭터]] · [[원신/생물|생물]] · [[원신/비경|비경]] · [[원신/나선 비경|나선 비경]] {{{-2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3.n 버전|3]]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4.n 버전|4]]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5.n 버전|5]])}}} · [[원신/현실 속 환상극|현실 속 환상극]] {{{-2 ([[원신/현실 속 환상극/일정|일정]] · [[원신/현실 속 환상극/그림 속 궤적|그림 속 궤적]])}}} · [[원신/속세의 주전자|속세의 주전자]] {{{-2 ([[원신/속세의 주전자/선물 세트|선물 세트]])}}} · [[원신/낚시|낚시]] · [[일곱 성인의 소환]] {{{-2 ([[일곱 성인의 소환/카드일람|카드일람]])}}} · [[선율이 흐르는 악보]] · [[원신/코스튬|코스튬]] · [[원신/명함|명함]]}}} ||
||<|2> '''[[원신/적|{{{#ffffff 적}}}]]'''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소 생명체]] · [[츄츄족]] · [[심연(원신)|심연]] · [[우인단/적|우인단]] · [[자동 장치(원신)|자동 장치]] · [[보물 사냥단]] · [[노부시패]] · [[도금 여단/적|도금 여단]] · [[부족 용 무사]] · [[돌연변이 마수]] · [[원신/적/기타 몬스터|기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적/토벌 보스|토벌 보스]] · [[원신/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지방 전설]]
}}} ||
|| '''[[원신/시스템|{{{#ffffff 시스템}}}]]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시스템/원소|원소]] · [[원신/전투|전투]] · [[원신/필드 기믹|기믹]] · [[원신/탐사|탐사]] · [[원신/기원|기원]] {{{-2 ([[원신/기원/캐릭터 이벤트 기원|캐릭터]] · [[원신/기원/무기 이벤트 기원|무기]] · [[원신/기원/묶음 기원|묶음]])}}} · [[원신/기행|기행]] · [[원신/업적|업적]]}}} ||
|| '''아이템'''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무기|무기]] {{{-2 ([[원신/무기/한손검|한손검]] · [[원신/무기/양손검|양손검]] · [[원신/무기/장병기|장병기]] · [[원신/무기/법구|법구]] · [[원신/무기/활|활]])}}} · [[원신/성유물|성유물]] · [[원신/육성 아이템|육성]] · [[원신/음식|음식]] {{{-2 ([[원신/음식/회복|회복]] · [[원신/음식/공격|공격]] · [[원신/음식/모험|모험]] · [[원신/음식/방어|방어]])}}} · [[원신/재료|재료]] · [[원신/간편 아이템|간편]] · [[원신/임무 아이템|임무]] {{{-2 ([[원신/임무 아이템/월드 임무|월드 임무]] · [[원신/임무 아이템/책|책]]) }}} · [[원신/귀중한 물품|귀중한 물품]] · [[원신/장식|장식]] {{{-2 ([[원신/장식/실외 장식|실외]] · [[원신/장식/실내 장식|실내]])}}} · [[원신/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미디어 믹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3 ([[원신(애니메이션)|장편]] · [[원신/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원신/OST|OST]] · [[https://genshin.hoyoverse.com/ko/manga|만화]]}}} ||
|| '''온/오프라인 이벤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콘서트|콘서트]] · [[HoYoFair]] · 축제 {{{-2 ([[원신 2022 여름축제|2022 여름]] · [[원신 2023 여름축제|2023 여름]] · [[호요랜드|2024 가을]])}}}}}} · [[원신/한국 서비스|한국 서비스]] {{{-2 ([[원신 Cafe in Seoul]] · [[원신 PC 라운지 in Seoul]])}}} ||
|| '''기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업데이트|업데이트]] · [[원신/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원신/여담|여담]] {{{-2 ([[원신/플레이 팁|플레이 팁]] · [[원신/일본 서비스|일본 서비스]] · [[원신/여담/공식 정보|공식 정보]])}}} · [[원신/평가|평가]] · [[원신/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 사이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 공식카페|카페]] · [[원신 project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원신 채널|채널]]}}} ||}}}}}}
}}}}}} ||
1. 개요
원신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모은 문서. 장기 프로젝트로 발표된 애니메이션과 달리 ufotable 제작이 아니다.본래 원신은 붕괴 시리즈와 달리 인게임 외 단편 애니는 1분 내외의 CM 길이의 작품을 주로 내놨으나 아를레키노를 주인공으로 한 잿불의 노래를 시작으로 별개의 스토리라인이 존재하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2. 목록
2.1. 잿불의 노래
단편 애니메이션 - 「잿불의 노래」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 |
누군가는 말한다. 성장이란 족쇄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과정이라고.
운명이 강요한 잔혹한 규칙 아래 환한 낮은 어두운 밤으로 변했고, 미래는 오직 아름다운 꿈의 온기 속에만 남게 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에게 칼날을 겨누며 지는 해를 묻고 떠오르는 아침 해를 맞이했다.
언젠가 창살이 부서지는 때가 오면…
부디 따스한 불꽃이 꽃망울을 불태우고, 잿불 속에서도 노랫소리가 울려 퍼지길.
2024년 4월 18일 공개되었으며 페르엘이 지금의 아를레키노가 되기 이전 시점을 다루고 있다.운명이 강요한 잔혹한 규칙 아래 환한 낮은 어두운 밤으로 변했고, 미래는 오직 아름다운 꿈의 온기 속에만 남게 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에게 칼날을 겨누며 지는 해를 묻고 떠오르는 아침 해를 맞이했다.
언젠가 창살이 부서지는 때가 오면…
부디 따스한 불꽃이 꽃망울을 불태우고, 잿불 속에서도 노랫소리가 울려 퍼지길.
해당 애니의 내용은 직후 공개된 아를레키노의 전설 임무에서 주요 내용으로 다시 활용된다. 다만 약간의 차이는 있는데 자세한 건 아를레키노의 작중 행적 문서 참고.
2.2. 가지 않은 길
단편 애니메이션 - 「가지 않은 길」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2d2f34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Traveling in the nights you've left me in. 네가 나를 두고 떠난 밤 속을 헤매고 있어 I feel you in the last blow of wind. 마지막 바람결에서 네가 느껴져 Even nowhere I can find you out, 그 어디에도 너는 보이지 않지만 The answer is not far off now. 답은 그리 멀리 있지 않아 This journey of ours has been bittersweet. 우리의 여정은 달콤하면서도 씁쓸했지 Close my eyes wondering what you would have dreamed. 네가 무슨 꿈을 꾸었을까 하며 난 눈을 감아 If you were here standing next to me, 만약 지금 내 곁에 네가 있었다면 Would you know how I feel, 너는 알까, 내 기분이 어떤지? And see what I see? 내 눈에 무엇이 비치는지? Know that I'll always try. 알고 있어, 난 끝없이 노력하겠지 Finding your rhythm and rhyme. 네 리듬과 멜로디를 찾아 Though the nights are long and dark, I'll see you shining bright. 끝 모를 밤은 너무나 어둡지만 그 안에서 너는 찬란하게 빛나 And no matter where you are, you've come with me this far. 지금 어디에 있든, 넌 나와 함께 여기까지 왔어 Showing the way when all else falls apart. 모든 것이 무너져갈 때 날 위해 길을 비춰줘 When the snow all melts away, 눈이 녹아내리고 And the ice finally breaks. 얼음이 갈라져 부서지면 Have you taken off, are you already on your way? 너는 이미 출발했을까? 어느새 여정에 오른 뒤일까? No matter where you are, I've come with you this far. 지금 어디에 있든, 난 너와 함께 여기까지 왔어 I'm never really lost. 난 길을 잃지 않았어 Our paths will surely cross. 우리의 길은 분명 만나게 될 테니까 |
…그래도,
아직 넌 이 세계의 어딘가에 있어.
별똥별이 하늘을 가르며 남긴 흔적은
나를 너에게 인도하는, 아직 가지 않은 길이 되어줄 거야.
2024년 5월 21일 공개 예고를 하였으며 공개일은 4.7 공식 방송이 진행된 5월 24일. 특이하게도 예고 영상을 따로 틀지 않고 공식 방송에서 실시간 공개를 하였다.아직 넌 이 세계의 어딘가에 있어.
별똥별이 하늘을 가르며 남긴 흔적은
나를 너에게 인도하는, 아직 가지 않은 길이 되어줄 거야.
여행자 남매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남매가 함께하던 시절부터 헤어진 뒤 각각 페이몬과 데인슬레이프와 동행하면서 서로 엇갈리면서 대비되는 행적을 보여준다. 구성은 별도의 대사 없이 뮤직비디오의 형태를 차용하였다.
제목인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은 로버트 프로스트의 동명의 시를 인용하였다. 해당 시에도 Traveler, 즉 여행자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또한 4.7 버전 PV의 영상 설명란에 적힌 글[1]도 시 「가지 않은 길」의 내용과 유사하다.
주제가는 일본의 가수 Aimer가 담당하였다.[2]
| |
여담으로 5월 21일 각 SNS에 올라온 애니 예고 이미지와 24일 공개된 애니의 썸네일 이미지는 서로 대비된다. 그리고 이후 발매된 진주의 노래 4의 커버 아트를 애니 초반부 두 남매가 깨어나는 장면을 이어붙인 이미지가 장식했다.
2.3. 황혼
단편 애니메이션 -「황혼」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 |
시간은 곧게 뻗은 선처럼 흘러간다. 마치 끝이 없는 도로 위를 달리는 것처럼.
시간을 뛰어넘는 것이 얼마나 고독한 것인지… 과거에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그 목적조차 희미해질 정도로 길고 길었던 여정.
그러나 그 의지가 흩어지지 않는 한, 발걸음이 멈추지 않는 한——
언젠가 종착지에서… 그때 가슴 속에 품었던 소망과 다시 만나게 되리라.
5.3 특별 방송에서 티저 트레일러와 함께 예고되었으며 2024년 12월 23일에 공개되었다.시간을 뛰어넘는 것이 얼마나 고독한 것인지… 과거에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그 목적조차 희미해질 정도로 길고 길었던 여정.
그러나 그 의지가 흩어지지 않는 한, 발걸음이 멈추지 않는 한——
언젠가 종착지에서… 그때 가슴 속에 품었던 소망과 다시 만나게 되리라.
500년 전 마비카의 과거와 그녀와 함께 했던 고대 이름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길이는 무려 10분으로 단편 애니는 물론 생방송과 제작 비하인드 영상을 제외한 공식 영상 중 최장 길이이다.
2.4. 이 생의 기억
단편 애니메이션: 「이 생의 기억」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2d2f34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Non bellum queaesivi 전쟁을 바란 적은 없으나 Ac tamen veniet 그것은 언젠가 도래할 것이다 Ut ac tamen veni 아니, 이미 도래하였도다 O advena 이방인이여 Pro quid bellas? 그대는 왜 싸우는가? Cur pro nobis sanguem fundis? 어째서 우리를 위해 피를 흘리는가? Pro vitis horum 이 땅의 모든 생명을 위해서 Vir fortis tribus mundis 세 나라의 영웅이여 Fidenter ambulate 함께 용감히 나아가자 |
한 사람의 기억은, 수백 년 동안 끊임없이 반복되어 온 망자의 신음을… 고통과 미련이 스며들어 있는 속삭임을 견뎌낼 수 없다.
그러나 그 영혼의 무게를 버텨내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그러나 그 영혼의 무게를 버텨내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500년 전 대재앙 당시의 카피타노와 마신 임무 5장 4막 그리고 5막의 마지막을 영상화하였다. 대사는 없는 대신 라틴어로 된 보컬 테마곡이 있다.
[1] 사람은 이따금씩 과거에 발목을 잡히고는 한다. 돌이킬 수 없는 일에 대한 후회, 답을 얻지 못한 질문. 그러한 것들은 나중에 별 탈 없이 해결될 수도 있지만 어쩌면, 되풀이되는 꿈이 되어 나타날지도 모른다.[2] 2024년 중국 원신 HoYoFair에서 노래를 투고한 바 있다. End of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