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원더우먼 단독 시리즈와 미디어 믹스 작품군을 정리한 문서.2. 그래피 노블
2.1. 시리즈
2.2. 단행본
2.2.1. 국내 출간
국내 출간 순서대로.- 원더우먼: 진실의 영혼
- 뉴 52! 원더 우먼 Vol 1: 피
- 뉴 52! 원더 우먼 Vol 2: 기백
- 뉴 52! 원더 우먼 Vol 3: 철
- 뉴 52! 원더 우먼 Vol 4: 전쟁
- 뉴 52! 원더 우먼 Vol 5: 살
- 뉴 52! 원더 우먼 Vol 6: 뼈
3. 드라마
3.1. 원더우먼 (1967년) - 무산
Who's Afraid of Diana Prince?4분여의 파일럿 영상만 남긴 시리즈. 엘리 우드 워커와 린다 해리슨이 출연했다. 유튜브에 전체 영상이 있다.
3.2. 원더우먼 (1974년) - 무산
|
국내에도 아래의 TV시리즈 중간에 방영되었는데 정말 어마어마한 욕을 먹었다. 그 완벽하게 아름다운 얼굴과 몸매에다 노출까지 훌륭한(?) 원더우먼을 보던 시청자들이 위의 의상과 배우를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던 것. 당시 초등학교(국민학교)에서도 이상한 원더우먼이 나왔다고 도저히 인정할 수 없다는 성토가 끝이 없었을 정도였다.
3.3. 원더우먼 (1975 ~ 1979년)
2016년 이전까지 대중들에게 가장 인식된 작품.3.4. 원더우먼 (2011년) - 무산
|
|
메인 빌런으로는 이 시점에서는 마이너 캐릭터였던 베로니카 케일이 등장했다. 일곱가지 유혹으로 유명한 엘리자베스 헐리가 연기했다.
3.5. 파라다이스 로스트 (미정)
DC 유니버스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4. 실사영화
원더우면 영화 제작은 매년 질리지 않고 나도는 떡밥인데, 매번 똑같은 우려로 끝났었다. 누가 원더우먼 역을 맡느냐의 이야기가 정말 많았는데, 드라마판 카터의 인기와 미모가 워낙 출중했으므로 그를 능가하는 배우를 찾기가 힘들어 더욱 어려웠었다. 이제까지 물망에 올랐던 여배우 명단으로는 샌드라 블럭, 메간 폭스 등이 있다. 흑발에 파란 눈의 여배우가 물망에 오르는 듯 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후보가 별로 없는 편.린다 카터가 허핑턴 포스트에서 이야기하기를 다른 배우들은 원더우먼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고 자신보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2007년 조지 밀러가 계획했던 저스티스 리그 영화에서 원더우먼 역할로 메건 게일[1] 이 캐스팅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엎어졌다.
4.1. 원더우먼 실사영화 시리즈
2013년 12월 워너브러더스는 영화 맨 오브 스틸의 속편이자 영화 저스티스 리그의 프리퀄이 될 영화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에 등장하는 원더우먼 역으로 미스 이스라엘 출신 배우 갤 가돗을 낙점했다. 개봉 전 팬들의 반응은 한 마디로 걱정스럽다. 배우의 연기력에 관해 호불호가 있는 편이기에 당연한 반응이다.배트맨역의 벤 애플렉도 캐스팅 발표 당시 논란이 되었지만 이후 발표된 스틸컷이 좋은 반응을 얻었고 배우로서만이 아니라 감독으로서의 역량 역시 얻기 위해 캐스팅되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논란의 목소리가 잦아진 반면, 원더우먼은 스틸컷이 공개되고, 2015년 실제로 원더우먼의 복장을 입고 펼치는 액션신이 조금 등장하는 예고편도 등장했지만 여전히 찬반논란이 분분했다.
가돗의 원더우먼에 대해 팬들이 sns논란과 더불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은 그녀의 몸매가 원더우먼 코믹스에서 연상되는 근육질 몸매가 아니라는 점이다. 배우 본인도 이런 논란을 알고 있는 듯한 뉘앙스의 인터뷰를 한 적이 있고, UFC 여성 챔피언인 론다 라우지도 가돗의 원더우먼이 너무 허약해 보이며 자신이 원더우먼역에 오히려 어울린다며 디스한 적이 있다. 그에 비하면 지나 카라노는 가돗이 잘 어울린다며 옹호했다.
그리고 이 모든 걸 뒤집고,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개막 후 평가는 아수라장 속의 홍일점 광전사[2] 영화 자체는 당초 기대치에 비하면 시원하게 말아먹었다는 반응 속에서 유일하게 원더우먼만 건졌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원더우먼팬들이 70년간 기다려온 실사영화 데뷔가 좋은 작품이 아니어서 안타깝기는 하지만. 원더우먼이 그나마 영화에서 이미지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출연 시간이 가장 짧고 간결해서인 것도 있다.[3] 향후 갤 가돗이 원더우먼을 잘 살려낼 수 있을지 없을지는 단독 솔로 영화에서 판단할 수 있을 듯 하다. 나머지는 원더우먼 문서 참고.
4.1.1. 원더우먼 (2017)
2017년에 DC 확장 유니버스 세계관으로 드디어 단독 실사영화가 개봉됐다.4.1.2. 원더우먼 1984 (2020)
4.1.3. 원더우먼 3 (미정) - 무산
DCEU가 DCU로 리부트 되면서 작품이 취소됐다.5. 애니메이션
5.1. 원더우먼 (2009)
|
앵그리 죠는 이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원더우먼의 팬이 되었다.
영화 개봉 후 10년이 지난 2019년에 갑자기 삭제장면들이 포함된 더 잔혹한 버전이 새로 나온다고 발표되었다.
원더우먼의 오리진은 실사영화에서도 잘 설명해주지만 이 버전도 원작을 꽤 잘 살린 편이므로 비교해서 봐도 좋을만하다. 여담이지만 여기서도 치타는 대우가 참...
5.2. 원더우먼 (2013)
|
5.3. 원더우먼: 블러드 라인 (2019)
|
6. 게임
6.1. 원더우먼 (미정)
모노리스 프로덕션 제작으로 원더우먼 역대 최초의 단독 주인공 게임이다.7. 그 외
7.1. 마스턴 교수와 원더우먼 (2017)
원더우먼을 창조한 윌리엄 M 마스턴 교수의 전기영화. 우연히도 원더우먼이 스크린에 데뷔한 2017년에 개봉했다. 올레 TV VOD에는 '원더우먼 스토리'란 이름으로 소개되어 있다.8. 기타
- CW버스에서 '퓨처 스테이트'의 원더우먼으로 나올 예정인 라틴계 원더걸 야라 플로어(Yara Flor)가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가 나올 예정이였지만 CW버스가 완결되었으므로 취소된것으로 보인다.
[1]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에서 발키리역을 맡은 여배우[2] 미쳤다는게 아니라 불가피한 전투는 즐긴다는 뜻.[3] 배트맨도 슈퍼맨과 조드의 대결을 시민 관점에서 보여주는 장면과 배트맨으로서 처음 등장하는 장면, 그리고 벤 애플렉의 일취월장한 연기력과 싱크로율은 상당한 호평을 받았지만 전개가 길어지면서 캐릭터가 꼬이게 됐다.[4] 두 작품의 발표 기간은 1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원더우먼(2009) 마이리틀포니(2010)[5] 아레스가 소환한 저승의 군대가 백악관을 포위하자 아마존 전사들이 와서 싸우는 걸 보고 대통령에게 올라간 보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