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09:22:11
}}}}}}}}} ||
1. 개요2. 본 대결3. 상품권 문제3.1. 단체전(568회까지 신설)3.2. 개인전(573회까지 신설) 4. 달인 도전 문제
- 556회 왕중왕전의 과도기를 거쳐 557회부터 적용되는 규칙으로 본 대결인 십자말풀이와 상품권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 이때부터 쓰이고 있는 문제 자막의 글씨체는 나눔고딕이다(562회부터 적용).
- 569회부터는 연승 제도에서 다시 우승자가 달인에 도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 2016년부터 유명인 특집이 잦아지기 시작했으며, 초창기의 1~65회 진행 방식처럼 2인 1조 대결이 늘어났다.
- 이 진행 방식이 유연하게 문제 제작이 가능하고, 균형이 잘 맞춰져서인지 꽤 오래도록 유지되고 있다.
- 977회 이후에는 8년 만에 십자말풀이 유형이 사라졌다.
- 역대 최고점은 2,500점이다.
- 연승제(557~568회) 우승자(달인 제외)
우승자(대) | 방송 횟수(회) | 날짜 | 이름 | 직업 | 상금(만 원) | 비고 |
2. 본 대결
2.1. 556~976회
- 총 25문제가 출제, 한 문제당 100점이며,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50점이 감점된다.(567회까지는 감점 없었음)
- 1~4번에 해당하는 문제는 개인 문제로, 출연자들이 초성으로 주어지는 문제를 맞히는 첫소리 문제 형식으로 진행된다.(예: 우리말 - ㄱㄹㄱ)
- 그 다음 16문제는 단체전으로 진행되며, 첫 번째 문제를 먼저 맞힌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 556~660회에서는 진행자가 5번째, 26번째 문제 선택.
- 661~976회에서는 진행자가 5번째 문제 선택. 자물쇠 문제 진출자 중 우선권을 가진 참가자가 21번째 문제 선택.
- 556~567회에서는 우선권을 가진 사람이 자물쇠 문제 5문제를 제외한 문제를 계속 풀 수 있었다.
- 누름단추를 눌러서 맞히지 못하면 모든 사람이 문제를 맞히지 못할 때까지 기회가 상실된다.
- 십자말풀이를 하면서 단순히 하나의 어휘를 답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공통 문제가 1~2문제씩 출제되기 때문에, 하나의 어휘를 다른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또순이 지원이의 잠깐만요: 2005년에 진행한 석준이의 그림일기와 비슷한 형식의 문제로 4개의 단어 중 틀린 단어 하나를 골라 올바르게 고치는 문제. 721~770회에서는 200점 문제로 출제되었다.
- 영상 쓰기 문제: 영상을 보고 단어의 뜻에 맞는 단어 쓰기로 대체로 노래 가사, 우리말 책갈피라는 도서와 관련된 문제가 나오기도 하고, 기출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 공통 연상 문제: 2011년 7월에 신설된 유형을 생각하면 쉽다. 제시어에 따라 200, 150, 100점의 점수가 주어지며 제시어의 개수에 따라서 빠르게 누름단추를 누를수록 고득점을 얻을 수 있다.
- 음절 조합 문제: 무작위로 배열된 5~10개의 글자를 조합해 뜻에 맞는 2~4음절의 단어를 답하는 문제.
- 겹낱말 찾기: 2004~2005년 진행 방식에 있었던 유형을 생각하면 쉽다. 단어 앞뒤 낱말과 연결되는 공통 단어를 찾는 문제.
- 바른 말 고르기: 해당 단어의 앞이나 뒤에 들어가서 한 단어가 되는 단어 찾기(5지선다). 처음에 맞히면 200점(오답 시 100점 감점), 그 뒤는 100점(오답 시 50점 감점)이 주어진다.
- 20문제를 모두 푼 다음 점수가 높은 2명이 남은 자물쇠 문제 5문제를 풀 수 있으며, 자물쇠 문제는 한 문제당 200점이 주어진다.(558회부터 적용, 틀려도 감점 없음)
- 661회부터 976회까지는 번호를 선택해서 푸는 방식이 아닌 유형을 선택해서 푸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선택 우선권은 661회에서는 팻말로, 662회부터 976회까지는 가위바위보로 결정했다.
- 동점자가 나올 시에는 고유어 문제를 공통 쓰기 문제로 풀어서 우승자가 나올 때까지 대결을 펼친다.
- 여기서 달라진 점은 모든 출연자들이 답을 못 맞히면 진행자가 추가 도움말을 준다는 점이다.
- 일부 특집에서는 200점 문제(맞히지 못하면 100점 감점), 300점 문제(맞히지 못하면 150점 감점)가 출제되었다. 이 방식으로 진행된 특집은 아래 표와 같다.
방송 횟수(회) | 특집명 | 200점 문제 | 300점 문제 |
655 | 2017년 외국인 유학생 특집 | O(4문제) | X |
- 2018년 방송의 날 특집부터 특집 방송에서는 자물쇠 문제 및 중도 탈락 없이 진행되었으며 후반 문제를 한 문제당 100점인 문제와는 다르게 한 문제당 200점인 본 대결 문제로 풀었다. 단, 여기서는 200점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100점이 감점된다. 이 방식으로 진행된 특집은 아래 표와 같다.
730 | 2018년 방송의 날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33 | 2018년 추석 특집 | 1~20번째 문제 | 21~25번째 문제 |
734 | 2018년 한글날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46 | 2018년 연말 연예인 우승자 다시 겨루기 | 1~20번째 문제 | 21~25번째 문제 |
748 | 2019년 신년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51 | 2019년 설 특집 | 1~18번째 문제 | 19~23번째 문제 |
755 | KBS 공사 창립 46주년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59 | 2019년 연예인 우승자 다시 겨루기 1편 | 1~18번째 문제 | 19~23번째 문제 |
762 | 2019년 트로트 가수 특집 1편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71 | 2019년 여름 특집 | 1~18번째 문제 | 19~23번째 문제 |
773 | 2019년 제헌절 특집 | 1~17번째 문제 | 18~22번째 문제 |
776 | 2019년 연예인 우승자 다시 겨루기 2편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795 | 2019년 연말 특집 2편-왕중왕전 | 1~25번째 문제 | 26~30번째 문제 |
799 | 2020년 설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01 | 2020년 연예인 다시 겨루기 1편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02 | KBS 공사 창립 47주년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07 | 2020년 코로나19 극복 트로트 가수 특집 1편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10 | 2020년 가정의 달 연예인 가족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15 | 2020년 코로나19 연예인 봉사자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19 | 2020년 여름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21 | 2020년 연예인 다시 겨루기 2편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26 | 2020년 가을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27 | 2020년 추석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28 | 2020년 한글날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29 | 2020년 문화 예술인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32 | 2020년 코로나19 극복 특집 | 1~16번째 문제 | 17~20번째 문제 |
839 | 2020년 역대 최강전 특집-연예인 편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41 | 2021년 신년 특집 1편(새해 부자 되세요) |
842 | 2021년 신년 특집 2편 | 1~21번째 문제 | 22~25번째 문제 |
846 | 2021년 설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72 | 2021년 아나운서 특집 | 1~20번째 문제 | 21~25번째 문제 |
874 | 2021년 KBS 시청자 주간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77 | 2021년 유쾌한 웃음 한바탕 추석 특집 |
889 | 2021년 연말 특집 1편(2021년을 빛낸 특별한 손님들) |
890 | 2021년 연말 특집 2편(달인 도전 3단계 탈락자 다시 겨루기) | 1~25번째 문제 | 26~30번째 문제 |
891 | 2022년 신년 특집(한국을 사랑하는 외국인)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899 | 2022년 3·1절 & KBS 공사 창립 49주년 특집 |
900 | 2022년 900회 특집 왕중왕전 | 1~25번째 문제 | 26~30번째 문제 |
905 | 2022년 전설의 춤꾼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940 | 2022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 1~20번째 문제 | 21~25번째 문제 |
948 | KBS 공사 창립 50주년 특집 | 1~15번째 문제 | 16~20번째 문제 |
- 1단계: 첫소리 문제
- 개인별 5문제(30초)
- 한 문제당 50점
- 통과 가능하며, 통과한 문제는 재등장하지 않는다. 대체로 현 시국에 맞는 단어가 항상 한두 개 정도는 주어지는 편이다.
- 문제 개수가 많아 출연자 간 점수 차이를 두기 위해서인지 2024년 들어서 조금 어려워졌다.
- 녹화 때에는 이 단계를 리허설로 풀 수 있으며, 못 푼 문제의 정답은 녹화장에선 알려주지 않고 후에 자막으로 확인할 수 있다.
- 2단계: 주제어 문제 (4인 대결)
- 977~989회: 10문제
- 990회~: 12문제
-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공통쓰기 문제도 포함).
- 행운권 문제는 맞힐 경우 해당 배점에 100점이 추가된다.
- 첫 번째 문제는 진행자가 선택하며, 그 이후엔 문제를 맞힌 참가자가 다음 문제를 선택한다. 쓰기 문제의 경우, 다음 문제는 진행자가 선택한다.
- 2단계 종료 후 점수가 높은 2명이 3단계 진출. 동점자가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 출제.
- 단순 어휘 문제들은 참가자들의 속도전으로 변하는 한계점이 있다보니 이를 막고자 한 번 더 생각해야 하는 변형 유형 문제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문제 하나하나의 난도가 확실하게 올라갔으며, 감점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출제되는 변형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쓰기: 띄어쓰기 유형 추가, 보기 중 틀린 말을 고르는 문제뿐만 아니라 맞는 말을 고르는 유형 추가.
- 유래: 어떤 낱말의 유래를 듣고 맞히는 문제. 2024년 들어 잘 나오지 않는 유형.
- 순화어: 먼저 진행자가 외래어 낱말의 뜻을 설명한다. 2024년 들어 잘 나오지 않는 유형.
- 우리말 뜻 맞히기: 2005~2013년에 나왔던 유형. 초성 없이 혹은 초성 일부를 보고 뜻풀이의 빈칸을 채우는 문제이다. 쓰기 유형(맞힌 낱말 개수만큼 점수 획득), 답 말하기 유형으로 출제된다. 여름방학 특집에서 출제된 후 현재까지 나오고 있는 유형이다.
- 공통 서술어 문제: 2005~2006년에 나왔던 단계별(200점~50점)로 도움말이 주어지는 문제.
- 음절 조합: 한 줄로 배열된 유형뿐만 아니라 4×4로 구성된 문제들도 나온다.
- 낱말 속 속담, 관용구: 여러 낱말에 한 글자 빈칸이 있고 그 낱말로 속담, 관용구를 조합하는 유형, 2009~2010년에 나왔던 유형이며 최강자전 본선 1~4차전 3단계, 결선 3단계에서도 출제된 바 있다.
- 소설 구 인용 문제: 2006~2010년 달인 최종 문제 유형과 비슷하다.
- 한 낱말 찾기: 557~976회에서 출제되었던 바른 말 고르기 유형과 동일하다.
- 우리말 꾸러미: 최강자전 결선 4단계에 출제되었던 유형. 최강자전과 달리 표준어로 함께 인정되는 단어 꾸러미가 아닌 것을 고르는 객관식 쓰기 유형이다.
- 3단계: 2인 대결
- 5회전으로 진행되며 100, 200점 중 하나를 양자택일해서 푸는 방식이다.
- 첫 문제 선택권은 가위바위보를 이긴 사람에게 주어지며, 다음 문제 선택권은 첫 문제를 맞힌 참가자에게 주어진다. 유형은 위 유형의 문제들에서 더 수준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며, 이전의 자물쇠 문제와 비슷하다. 동점자가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 출제.
- 977회: 그림 선택. 그림 선택 후 점수 공개. / 978회~: 점수 양자택일.
- 977~985회: 맞히면 해당 점수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986회~: 맞히면 해당 점수 획득, 감점 없음.
- 2인 대결 시에 도전권은 한 사람당 한 문제에 쓸 수 있으며 두 사람이 같은 문제에 동시 사용하는 건 불가능하다. 도전권을 가진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10초 안에 답을 맞히면 50점이 추가 부여된다. 도전권 사용을 성공한 경우 해당 문제에 250점(200점 문제일 경우), 150점(100점 문제일 경우)을 얻을 수 있다.
- 촬영장과 문제 유형은 2023년 한글날에 방영한 '안녕 우리말'이라는 특집 방송에서 차용했다.
- 1027회(2025년 설 특집) 방송부터 화면 좌측 상단에 '우리말 겨루기' 로고가 들어간다.
- 일부 특집에서는 중도 탈락 없이 진행되며 문제 개수, 진행 방식이 달라지기도 한다. 2단계만 도전권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먼저 답을 맞힐 기회가 주어지며, 10초 안에 답을 말해야 한다. 답을 맞힐 경우 지명한 문제 점수 100점과 함께 상대방 참가자의 100점을 가져올 수 있다. 답을 맞히지 못할 경우 본인 점수가 100점 감점된다. 특집 방송 진행 방식은 아래 표와 같다.
방송 횟수(회) | 특집명 | 1단계 | 2단계 | 3단계 | 비고 |
982 | 성탄절 특집 | 기존 방식 | 977~989회 방식 | 탈락 없이 5회전 (맞히지 못할 경우 50점 감점) | 개인전 |
989 | 2024년 설 특집 (국경을 뛰어넘은 사랑) | 한국인 짝꿍이 도움말을 주고 외국인 짝꿍이 정답을 맞힘 출연자당 5문제(60초) | 탈락 없이 5회전 | 2인 1조 |
1000 | 1000회 특집 | 기존 방식 | 100점짜리 12문제, 200점짜리 2문제 (맞히지 못할 경우 50점 감점) |
1003 | 세계인의 날 특집 | 977~989회 방식 | 탈락 없이 4회전 | 개인전 |
1008 | 철도의 날 특집 | 기존 방식 | 탈락 없이 5회전 |
1014 | 2024년 추석 특집 | 문제 공개 후 정답과 해당 노래 제목 가창 | 977~989회 방식 |
1017 | 한글날 특집 | OX 문제 한 조당 4문제(25초) | 2인 1조 |
1027 | 2025년 설 특집 | 기존 방식 단, 제시되는 첫소리를 두 글자씩 나누어 맞혀야 하며 왼쪽부터 오른쪽 순서로 말해야 정답으로 인정 |
1032 | KBS 공사 창립 52주년 특집 | 바른 말 돌림 문제 한 사람씩 돌아가며 문제 풀이 OX 12문제(문제당 5초) 한 문제당 50점 감점 없음 | 십자말풀이 10문제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탈락 없이 5문제 (한 문제당 200점) 3단계 첫 문제는 2단계 마지막 정답자가 선택 | 개인전 |
3. 상품권 문제
- 단체전과 개인전으로 나뉘어 진행하며, 모든 참가자에게는 5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이 기본으로 주어진다.
- 574회부터는 일부 공통 쓰기 문제를 맞히는 사람에게 상품권 10만 원을 주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 909회부터는 복주머니 문제가 있으며, 문제를 선택한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제한 시간 10초) 성공 시 20만 원 상품권을 획득하며, 해당 참가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할 경우 다른 참가자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마지막 문제가 복주머니 문제인 경우, 우선권 없이 모든 참가자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3.1. 단체전(568회까지 신설)
- 10문제를 풀고 나서 진행되는 형식으로, 출연자들이 도움말을 보고 네 글자의 낱말을 네 명이 각각 한 음절씩 쓰는 형식이다.
- 한 문제를 맞힐 때마다 10만 원 상품권이 모두에게 지급된다.(3문제 출제)
3.2. 개인전(573회까지 신설)
- 20문제를 풀고 나서 진행되는 형식으로, 개인별로 60초 동안 초성 끝말잇기로 10개의 단어를 맞히는 형식이다.
- 뒷말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단어라도 제작진이 의도한 답을 대야 인정된다.
- 예시: 곡식 - ㄱ(겨) - 겨ㄹㄱ(겨루기) - 기ㅊ(기차)...
문제 성공 수 | 상금 |
4~6개 | 10만 원 |
7~9개 | 20만 원 |
10개 | 30만 원 |
4. 달인 도전 문제
- 우승자는 (우승 점수x1,000)원의 우승 상금을 확보하고 달인 도전 문제를 푼다.
- 달인 도전 문제 성공 시 우리말 달인 명예와 함께 상금 3,000만 원이 주어지며, 우리말 명예 달인, 왕중왕 추가 상금 문제에 성공하는 경우 달인 상금의 3분의 1이 주어진다.
4.1. 569~599회
- 569~586회
- 2~4개의 단어 가운데 맞춤법에 맞는 단어를 선택하며, 선택하면 수정이 불가능하다.
- 577회부터는 띄어쓰기를 하기 전에 맞춤법 선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그 다음에 제한 시간 60초 안에 띄어쓰기를 하며, 여기서 문제의 빈칸은 원고지가 아니라 단순한 빈칸이다.
- 587~599회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3회(42~44대)다.
4.2. 600~747회
- 제한 시간 90초 안에 보기를 보고 올바른 맞춤법과 띄어쓰기, 문맥에 맞는 단어를 선택해서 문장의 빈칸을 표준어 규정에 맞게 완성한다.
- 제한 시간이 끝난 후에는 보기 한 개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이때 달인 상금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 613회부터는 실패할 경우 20초(613~615회에서는 10초) 동안 다시 문장을 고칠 기회를 줘서 성공하면 우승 상금의 2배를 부여하며, 678회부터는 오답 개수를 알려준다. 단, 2018년 방송의 날부터의 특집에서는 해당 제도가 시행되지 않았다.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10회(45~54대)다.
- 극악의 난도를 자랑하는 띄어쓰기가 있긴 하지만, 2010년처럼 선택형 문제라서 난도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편이다.
- 600회 특집에선 달인 문제 시작 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쓰인 달인 문제 bgm이 잠깐 쓰인 적이 있다.
- 1단계: 양자택일 맞춤법 3문제(제한 시간 각 문제당 10초)
- 2단계: 60초 간 문장 띄어쓰기 하기(성공 시 우승 상금 2배)
- 3단계: 단어의 사전적 정의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단어 찾기(5지선다)
- 761~908회에서는 1단계 문제에서 세 문제 풀이 후 5초 안에 고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 909회부터는 1, 2단계에서 달인 지원권을 한 번 쓸 수 있으며, 헷갈리는 한 부분(단어 또는 구)의 정답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 또한 달인 지원권을 사용할 때만 답을 수정할 수 있는 시간 5초가 주어진다.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10회(55~64대)다.
- 이번 형식은 초창기 2005년 난도와 비슷하며, 2019년과 2024년(1000~1016회)에는 1단계조차 통과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일 정도로 난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2020년 이후에는 2단계 통과자도 늘긴 했지만, 지금까지 3단계까지 간 사례는 27번 밖에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 방식 체제에선 달인 공백기가 길어지고 있으며 한 해 공식 달인이 3회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그래도 어려운 띄어쓰기를 통과하면 3단계 어휘력은 1단계처럼 객관식이 출제되기 때문에 그나마 나은 편.
- 2024년 연말 특집 최강자전 본선 1~4차전 4단계 1~3회전, 결선 4단계 1~2회전(띄어쓰기 제외)은 이 방식을 사용했다.
- 1단계 통과 배경음악은 아이온: 영원의 탑의 로그인 배경음악을 사용했다. (#)
- 녹화장에서는 달인 문제 1, 2단계 기출 문제를 풀 수 있는 기회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