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21:01:30

우리말 겨루기/진행 방식/142~263회

파일:우리말 겨루기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퍼즐 챔피언
1~33회 34~65회 66~87회 88~141회
142~263회 264~302회 303~374회 375~399회
400~491회 492~510회 511~555회 556회~
특집
우리말 달인각종 기록시청률
}}}}}}}}} ||

1. 1-1단계
1.1. OX 퀴즈(142~216회)1.2. 단어 찾기(162~263회)
2. 1-2단계
2.1. 공통 서술어 맞히기(142, 143회)2.2. 연상 단어 맞히기(144~161회)2.3. 세 글자 단어 맞히기
3. 1-3단계4. 1-4단계(관용구 맞히기 문제)5. 1-5단계6. 2단계7. 달인 도전 단계

1. 1-1단계

1.1. OX 퀴즈(142~216회)

1.2. 단어 찾기(162~263회)[2]

단어를 보고, 30초 간 단어를 조합해서 정답 찾기(총 7문제, 한 문제당 10점, 만점 100점, 238회부터는 두 배의 점수로 조절)
예시: 우리말 겨루기 - 비가 오는 시기(우기)

2. 1-2단계

2.1. 공통 서술어 맞히기(142, 143회)

2.2. 연상 단어 맞히기(144~161회)

예시: 가?, 사?, 올??, 잔?, 쟁? - ㄱㅅ(가락, 사리, 올챙이, 잔치, 쟁반 - 국수)

2.3. 세 글자 단어 맞히기

3. 1-3단계

4. 1-4단계(관용구 맞히기 문제)

5. 1-5단계

6. 2단계

7. 달인 도전 단계



[1] 차이점이라면 우승자가 나올 때엔 긴 모양의 종이, 달인 탄생 때엔 꽃가루 형태다.[2] 216회까지는 1-2단계 유형으로 출제되었다가 217회부터는 1-1단계 유형으로 출제되었다.[3] 218회까지는 70점.[4] 188회에서는 100점이 부여되었다.[5] 237회까지는 100점.[6] 예: 176회(2007년 8월 6일 방송분), 211회(2008년 4월 14일 방송분), 233회(2008년 9월 29일 방송분)[7] 누름 단추로 진행한다.[8] 142~145회에서는 빨간색 칸, 146~147회에서는 초록색 칸, 148~166회에서는 주황색 칸[9] 142~145회, 150~152회에서는 초록색 길[10] 2010년까지는 사자성어를 출제했으며, 2011년 이후로는 3, 4글자 고유어가 많이 나오는 추세. 최종 단어는 3음절 이상으로 출제된다.[11] 그럼에도 상대방이 첫 문제에서 맞히지 못해 얻은 기회를 가지고 한 번에 최종 낱말까지 맞힌 사례가 있으며, 한 사람이 첫 낱말부터 최종 단어까지 한 번에 맞힌 사례도 있다.(예시: 157회) 초창기에는 이런 식으로 맞히면 2단계 획득 점수가 2배가 되었지만, 이 혜택을 누린 사람은 전무했으며 123회 방영분이 근접했다.[12] 152회, 174회에서는 최종 단어를 맞힌 사람이 우승하지 못했다.[13] 예를 들면 못 맞힌 어휘가 별명이 된다는 식이다.[14] 이 형식은 2010년(9문제 중 초반 3문제)과 2019년 달인 도전 형태(3문제)로도 차용되었다.[15] 실질적으로 초성 6개가 나온 시점부터.[16] 실제로 따지면 3단계 도전 상금에서 200만원, 달인 도전 상금에서 400만원이 차감되는 거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초성을 열고도 답을 못 맞혀 상금을 일부 손해 보는 일이 빈번했다. 초성을 열면 높은 확률로 우승자가 고민하는 모습과 함께 단어의 뜻이 자막으로 뜨는 연출이 있다.[17] 초창기에는 사전적 정의가 한 개만 주어졌다.[18] 다만 1,750점 미만인 우승자가 초성 두 개를 다 열거나, 1,500점 미만인 우승자가 초성을 열거나, 2단계에서 감점을 많이 당하거나 최종 낱말을 못 맞히면 1,000만 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한다.[19] 우승자 소개 한 문장(162회부터 적용) 및 정답 하이라이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