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colbgcolor=#dcdcdc,#383b40> 네팔 |   | <colbgcolor=#dcdcdc,#383b40> 대만 |   | <colbgcolor=#dcdcdc,#383b40> 대한민국 |   | <colbgcolor=#dcdcdc,#383b40> 라오스 | 
|   | 레바논 |   | 마카오 |   | 말레이시아 |   | 몰디브 | |
|   | 몽골 |   | 미얀마 |   | 바레인 |   | 방글라데시 | |
|   | 베트남 |   | 부탄 |   | 북한 |   | 브루나이 | |
|   | 사우디아라비아 |   | 스리랑카 |   | 시리아 |   | 싱가포르 | |
|   | 아랍에미리트 |   | 아프가니스탄 |   | 예멘 |   | 오만 | |
|   | 요르단 |   | 우즈베키스탄 |   | 이라크 |   | 이란 | |
|   | 인도 |   | 인도네시아 |   | 일본 |   | 중국 | |
|   | 카자흐스탄 |   | 카타르 |   | 캄보디아 |   | 쿠웨이트 | |
|   | 키르기스스탄 |   | 타지키스탄 |   | 태국 |   | 투르크메니스탄 | |
|   | 파키스탄 |   | 팔레스타인 |   | 필리핀 |   | 홍콩 | 
|   | |
| 요르단 | |
| JORDAN | |
| 연맹 | FIBA 아시아 | 
| 협회 | 요르단 농구 연맹 | 
| FIBA 랭킹 | 35위 | 
| 감독 | 오사마 모하메드 파디 더글라스 | 
| IOC 코드 | JOR | 
| 월드컵 | 출전 2회 | 
| 아시아컵 | 출전 15회, 준우승 1회 | 
1. 개요
요르단의 농구 국가대표팀. 과거 카타르와 함께 미국 선수들을 귀화시켜서 크게 강해졌다가 FIBA의 귀화 선수 출전 제한 정책으로 인해 망하는 줄 알았으나 카타르와는 달리 어느 정도 팀 구축에 성공했다. 현재 팀의 에이스는 귀화한 가드 다 터커이며, 요르단의 전성기를 이끈 자하드 압바스도 건재하다. 한국의 2019 FIBA 농구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A조 2위로 진출함에 따라, 요르단과의 경기를 하게 되었다. 결과는 86-75로 한국의 승리.
위에서 서술된 한국과의 1차전에 패배한 후, 중국과의 2차전 역시 패하며 진출 여부가 불안해졌다. 11~12월의 윈도우 5에서도 뉴질랜드와 다시 만난 한국을 상대로 각각 26점 차, 21점 차 대패를 당하며 레바논에게 월드컵 진출 티켓을 내주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 2월의 마지막 윈도우에서 중국을 잡아내고, 연이어 뉴질랜드에게도 승리하며 결국 농구 월드컵 티켓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론데 홀리스제퍼슨을 귀화시킨후 전력이 급상승했고 2023 월드컵에서도 비록 팀은 전패했으나 요르단 코비라는 별명이 생길정도로 맹활약을 하며 대회가 낳은 스타 중 한 명이 되었다.
곧이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도 참가해 월드컵에 비해 수준이 떨어지는 대회답게 조던 놀이를 하고 있으며 요르단 사상 첫 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본선에서 이겨봤던 필리핀을 만나게 되었다. 하지만 믿었던 제퍼슨의 부진과 이와 대조되는 필리핀의 귀화선수인 브라운 리의 활약에 힘입어 설욕당하며 첫 금메달엔 실패해 전승준을 달성했다.
2. 플레이 스타일
중동 최고의 득점력을 가지고 있으며, 리바운드 능력이 높다. 다 터커의 돌파가 기본적이면서 최우선적인 공격 옵션이며, 자하드 압바스와 알 드와이리, 모하메드 허신을 중심으로 한 빅맨들의 리바운드 장악을 통해 게임을 풀어나간다. 빅맨인 압바스가 3점슛을 쏠 수 있고, 슈터진도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어 3점슛도 안정적인 옵션으로 가지고 있다.론데 홀리스제퍼슨 영입 이후에는 제퍼슨에게 의존하는 히어로볼 농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