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 #000 20%, #000 80%, #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 | 희종 | 신종 | 태종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영종 | 현종 | 숙종 | 세종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부흥운동 | ||
예종 | 목왕 | 완왕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응우옌씨 정권 추존왕 응우옌낌 阮淦 | Nguyễn Kim | |||
출생 | 1468년 | ||
사망 | 1545년 6월 23일 (향년 76~77세) | ||
능묘 | 장원릉 (長原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씨 | 응우옌 (Nguyễn, 阮/완) | |
휘 | 낌 (Kim, 淦/감) | ||
부모 | 부왕 징국공 (澄國公) 모후 징국공부인 (夫人) 매씨 (枚氏) | ||
형제자매 | 2남 중 장남 | ||
배우자 | 덕정황후 (德靖皇后) | ||
자녀 | 2남 1녀 차남 태조 | ||
작위 | 소훈정공 (昭勳靖公) | ||
묘호 | 조조 (肇祖) | ||
시호 |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 (貽謀垂裕欽恭惠哲顯佑宏休濟世啓運仁聖靖皇帝) |
[clearfix]
1. 개요
베트남 후 레 왕조의 권신. 완주(阮主)의 사실상 초대 군주. 후 레 왕조의 신하로서 막등용(막당중)에 의해 멸망한 후 레 왕조를 재건하는데 공을 세웠고, 소종의 다른 아들 여녕(黎寧)을 장종(莊宗)으로 옹립하였다. 나중에 그의 아들 완황(阮潢)이 정씨(鄭氏)와의 내분으로 세력권이 둘로 갈라졌을 때 완주(阮主, 廣南國/광남국)을 건국하게 된다.2. 생애
1533년, 막당중의 찬탈에 반감을 가졌던 완감은 사위인 정검(鄭檢, Trịnh Kiểm)과 후여조의 유신들을 규합하여서 후여조 부흥세력을 만들었다. 후여조의 황족인 여유녕(黎維寧, Lê Duy Ninh)을 옹립하여 황제로 즉위시키고, 후 레 태조의 고향 서도(타인호아)에서 후 레 왕조를 재건하였다. 재건된 후 레 왕조의 실권자가 돤 완감은 막 왕조 토벌군의 총사령관이 되어서 병사를 이끌고 막 왕조의 영토로 북상하였다.1545년, 막 왕조의 장수인 양집일(楊執一)이 위장항복을 하였다. 완감이 이를 모르고 양집일의 항복을 받아주었다. 양집일은 완감을 독살하였다. 완감이 사망하자, 레 왕조 황실은 완감을 소훈정공(昭勳靖公)이라는 작위를 주었고, 시호를 충헌(忠憲)으로 추증하였다. 그리고 응우옌씨 정권을 세우는 완감의 차남 완황은 아버지에게 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惠哲顯祐宏休濟世偉績昭勳靖王)이라는 시호를 추존하였다.
3. 사후
그 후에 완감의 후손인 완복활(阮福濶)은 완감의 시호를 고처서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貽謀垂裕欽恭惠哲顯祐宏休濟世偉績昭勳靖王)으로 추존하였다.1806년, 광남국 왕실의 후예인 완복영에 의해서 황제로 추존하였고, 묘호를 조조(肇祖), 시호를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貽謀垂裕欽恭惠哲顯祐宏休濟世啟運仁聖靖皇帝)로 추증되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136, #FAFA00 20%, #FAFA00 80%, #FFF136); color: #DD1E1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DD1E1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세조 | 성조 | 헌조 | 익종 | |
<rowcolor=#DD1E1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공종 | 협화제 | 간종 | 함의제 | |
<rowcolor=#DD1E1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경종 | 성태제 | 유신제 | 홍종 | |
<rowcolor=#DD1E1F> 제13대 | ||||
보대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