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22:11:02

동카인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cc02, #FAFA00 20%, #FAFA00 80%, #cccc02); color: #DD1E1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D1E1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세조 성조 헌조 익종
<rowcolor=#DD1E1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공종 협화제 간종 함의제
<rowcolor=#DD1E1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경종 성태제 유신제 홍종
<rowcolor=#DD1E1F> 제13대
보대제
조조 · 태조 · 희종 · 신종 · 태종
영종 · 현종 · 숙종 · 세종 · 예종 · 흥조
}}}}}}}}}

<colbgcolor=#FAFA00><colcolor=#DD1E1F>
응우옌 왕조 제9대 황제
동카인 황제
同慶帝 | Đồng Khánh
파일:320px-Dong_Khanh.jpg
출생 1864년 2월 19일
대월 응우옌 왕조 후에 후에 황궁
(現 베트남 후에시)
사망 1889년 1월 28일 (향년 24세)
대월 응우옌 왕조 후에 후에 황궁
(現 베트남 후에시)
능묘 사릉(思陵)
재위기간 제9대 황제
1885년 9월 16일 ~ 1889년 1월 2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FA00><colcolor=#DD1E1F> 성씨 응우옌(Nguyễn, 阮/완)
푹응끼(Phúc Ưng Kỳ, 福膺豉/복응기)
→ 푹비엔(Phúc Biện, 福昪/복변)
부모 부친 순의견태왕[1]
모친 부이티탄
형제자매 5남 7녀 중 장남
배우자 보천순황후, 우천순황후 외
자녀 6남 4녀
묘호 경종(景宗)
시호 배천명운효덕인무위공홍렬총철민혜순황제
(配天明運孝德仁武偉功弘烈總哲敏惠純皇帝)
연호 동카인(Đồng Khánh, 同慶/동경, 1886년 ~ 1889년)
}}}}}}}}}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9대 황제. 묘호는 경종(景宗), 시호는 순황제(純皇帝). 이름은 즉위 전에는 완복응시(阮福膺豉)이었으나, 즉위 후에는 완복변으로 고쳤다. 소치제의 손자이자, 순의견태왕(純毅堅太王) 완복홍해(阮福洪侅)의 아들. 재위기간 동안 사용했던 연호는 동카인([ruby(同慶 , ruby=동경)]).

2. 생애

1885년, 동생인 함의제궁궐을 탈출하자, 프랑스에 의해서 즉시 옹립되어 황제로 즉위하였다. 프랑스는 동경제의 이름으로 무위신호(撫慰紳豪)를 발표하고, 함의제의 망명을 불법화시킨 후에 동조자들을 역적으로 몰았으나, 투항하는 자에게는 관용을 베풀었다.[2][3]

1889년, 동경제는 재위 4년만에 사망하였다. 아들로는 후에 계정제로 즉위하는 완복창이 있었으나, 완복창의 나이가 어려서 조카뻘인 성태제가 제위를 이었다.


[1] 티에우찌 황제의 아들로 끼엔푹 황제, 동카인 황제, 함응이 황제 등 무려 3명의 아들을 모두 황제로 남긴 아버지였다.[2] 프랑스는 함의제와 함께 반불운동에 나섰던 똔텃투옛 및 응우옌반뜨엉을 급히 체포하여 먼저 꼰다오 제도로 유배보냈고 끝까지 저항하던 똔텃투옛의 두 아들들은 프랑스에 의해 즉결사형에 쳐해졌다. 이후 똔텃투옛은 청나라 광시성으로 추방당했고 응우옌반뜨엉은 프랑스에 의해 프랑스령 타히티 제도로 유배당한다.[3] 똔텃투옛과 응우옌반뜨엉이 이때 새로이 내각이 생긴 베트남조정에 의하여 대역죄인으로 찍혔는데 프랑스의 압박도 있었겠지만 그동안 저 대신들이 2명의 황제(죽득황제, 히엡호아 황제)를 맘대로 죽이고 황위를 갈아치우고 한 꼴을 보면 황실입장에서는 당연히 대역죄인이기도 하고 뜨득황제의 왕비와 간통하는 등 막장 세도정치를 펼치고있었다. 2명의 대신들이 반불독립운동가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황실을 기만한 권신이라는점에서 현대 베트남 사학계에서 그렇게 좋은평가를 받지는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