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8:20:05
1. 개요2. Major Key의 Diatonic Chord3. Minor Key의 Diatonic Chord3.1. Natural Minor Scale (Aeolian)3.2. Harmonic Minor Scale3.3. Melodic Minor Scale3.4. Dorian Scale3.5. Phrygian Scale Diatonic Chord
온음계(다이어토닉 스케일)내의 음으로만 이루어진 화음(코드)를 일컫는 말이다.
코드가 만들어지는 기준음이 스케일의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코드의 타입(속성, 성질, 기능)과 스케일, 사용가/불가음(텐션 노트, 어보이드 노트)이 각각 다르며, 각각의 코드 스케일은 선법에서 명칭을 빌려서 부른다.
다이어토닉 코드의 기본 속성은 주요 3화음을 기준으로 잡는다. 나머지 부3화음은 주요 3화음과 공통음이 2개인 점을 보아 주요 3화음과 비슷한 어휘 취급을 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여섯 번째 화음(다장조(C Major) 기준으로 라도미)인 버금가온화음은 첫 번째 화음인 으뜸화음(다장조(C Major) 기준으로 도미솔)과 '도, 미'를 공통음으로 가지기 때문에 버금가온화음은 으뜸화음과 비슷한 울림을 가진다. 또한 '라, 도'를 공통음으로 잡는 버금딸림화음과도 비슷한 울림을 지니나 으뜸화음 계열에 비하면 그다지 도드라지지 않는다. 이는 화성 진행의 앞뒤 맥락에 따라 속성이 결정된다. 다만 이는 주요 3화음과 부3화음의 공통음에 따라 비슷하게 울리는 것을 분류한 것이지 부3화음이 가지는 성질을 모두 설명해주지는 않는다.
- Tonic (으뜸화음 계열)
조의 중심이 되는 가장 중요한 화음이며 이 계열의 화음을 사용하면 조성에 안정감을 부여한다. 으뜸화음(I)을 포함하여 버금가온화음(VI)과 가온화음(III)이 으뜸화음 계열로 분류된다.
서브도미넌트에서 중심이 되는 음(메이저 - 4음, 마이너 - b6음)이 어보이드 노트로 취급되는 공통점이 있다. - Subdominant (버금딸림화음 계열)
버금딸림화음은 으뜸음에서 완전 5도 아래의 음을 근음으로 하여 만들어진 화음으로 본디 딸림화음 계열로 진행하여야 매끄러운 화음이다. 이는 버금딸림화음 계열인 웃으뜸화음(II)과 버금가온화음(VI)도 마찬가지다.
위의 토닉 코드와 대척점에 있는 코드로 위에 설명한 어보이드 노트가 여기선 코드의 메인이 된다.
혹은 코드 자체가 토닉이나 도미넌트라도 적절한 위치가 아니거나, 다이어토닉 스케일에서 홀수자리 음과 단2도 관계인 음이 그 코드의 구성음에 해당하면 서브도미넌트 기능을 한다. - Dominant (딸림화음 계열)
으뜸화음으로 진행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토닉과 함께 조의 구성을 완성하는 중요한 코드다. 메이저는 마이너든 기본적으로 5도 화성 단 하나만이 도미넌트 속성을 가진다.
물론 다이어토닉 코드에서 도미넌트가 아닌 다른 위치의 코드를 반음계 음을 이용하여 도미넌트 형태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를 세컨더리 도미넌트(Secondary Dominant)라고 불리며, 기본 도미넌트 코드는 이쪽과 구분해서 프라이머리 도미넌트(Primary Dominant)로 취급된다.
- 텐션 노트 (Tension Note)
코드톤(Chord Tone = Root, 3, 5, 7)과 장9도 관계의 음이 해당된다. 단, 도미넌트 코드는 그 특성상 단9도 관계의 음도 사용할 수 있다. (b9, b13 따위) - 어보이드 노트 (Avoid Note)
코드톤도 텐션노트도 못되는 철저한 안어울림음을 지칭한다. 코드톤과 단9도 관계의 음이 해당된다. 단, Major7th의 Root - 7음 (장7도) 같이 자리바꿈하면 단9도가 되는 음정관계는 해당사항이 아니다.
2. Major Key의 Diatonic Chord
- 기준 스케일 : 1도부터 시작하는 Major Scale(=Ionian)
- Root -(온)- 2 -(온)- 3 -(반)- 4 -(온)- 5 -(온)- 6 -(온)- 7 -(반)-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onic | Subdominant | Tonic | Subdominant | Dominant | Tonic | Leading tone |
코드 | I(Triad), I6, IMaj7 | IIm(Triad), IIm7 | IIIm(Triad), IIIm7 | IV(Triad), IV6, IVMaj7 | V(Triad), V7 | VIm(Triad), VIm7 | VII˚(Triad), VIIm7(b5) |
스케일 | Ionian | Dorian | Phrygian | Lydian | Mixolydian | Aeolian | Locrian |
텐션 노트 | 9, 13 | 9, 11, 13 | 11 | 9, #11, 13 | 9, 13 | 9, 11 | 11, b13 |
어보이드 노트 | 11 | 13 | b9, b13 | 없음 | 11 | b13 | b9 |
3. Minor Key의 Diatonic Chord
마이너 스케일은 메이저 스케일에 비해 가짓수가 많으면서 조금 다른 스케일을 메인으로 쓰거나 해도 마이너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이점이다. 그래서 코드와 파생되는 스케일 수도 많고 이것들을 교차사용하거나 합성해서 쓰는 것이 메이저 키에 비해 자유롭고 빈번하다.
3.1. Natural Minor Scale (Aeolian)
- Root -(온)- 2 -(반)- b3 -(온)- 4 -(온)- 5 -(반)- b6 -(온)- b7 -(온)-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 | S | T | S | S | S | S |
코드 | Im(Triad), Im7 | II˚(Triad), IIm7(b5) | bIII(Triad), bIII6, bIIIMaj7 | IVm(Triad), IVm6, IVm7 | Vm(Triad), Vm7 | bVI(Triad), bVI6, bVIMaj7 | bVII(Triad), bVII7 |
스케일 | Aeolian | Locrian | Ionian | Dorian | Phrygian | Lydian | Mixolydian |
텐션 노트 | 9, 11 | 11, b13 | 9, 13 | 9, 11 | 11 | 9, #11, 13 | 9, 13 |
어보이드 노트 | b13 | b9 | 11 | (13) | b9, b13 | 없음 | 11 |
3.2. Harmonic Minor Scale
도미넌트 코드를 만들기 위해 내츄럴 마이너에서 7음만 반음 올린 것이기 때문에 6음과 7음 사이가 증2도로 벌어진 데 따른 선율적인 부자연스러움이 생겼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기서 6음도 반음 올린 멜로딕 마이너 스케일이 파생되게 된다.- Root -(온)- 2 -(반)- b3 -(온)- 4 -(온)- 5 -(반)- b6 -(증2도)- 7 -(반)-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 | S | T | S | D | S | D |
코드 | Im(Triad), Im6, ImMaj7 | II˚(Triad), IIm7(b5) | bIII+(Triad), bIII+Maj7 | IVm(Triad), IVm6, IVm7 | V(Triad), V7 | bVI(Triad), bVI6, bVIMaj7 | VII˚(Triad), VII˚7 |
스케일 | Harmonic Minor | HmM.↑M2 | HmM.↑m3 | HmM.↑P4 | Mixolydian(b9, #9, b13) | HmM.↓M3 | HmM.↓m2 |
텐션 노트 | 9, 11 | 11 | 9 | 9, 11 | b9, #9, b13 | #11, 13 | b13, 14(=M7) |
어보이드 노트 | b13 | b9, 13 | 11, 13 | (13) | 11 | #9 | b9, 12(=3) |
3.3. Melodic Minor Scale
- Root -(온)- 2 -(반)- b3 -(온)- 4 -(온)- 5 -(온)- 6 -(온)- 7 -(반)-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 | S | T | S | D | T | S |
코드 | Im(Triad), Im6, ImMaj7 | IIm(Triad), IIm7 | bIII+(Triad), bIII+Maj7 | IV(Triad), IV6, IV7 | V(Triad), V7 | VI˚(Triad), VIm7(b5) | VII˚(Triad), VIIm7(b5) |
스케일 | Melodic Minor | Phrygian(13) | Lydian(#5) | Lydian(b7) | Mixolydian(9, b13) | Locrian(9) | Altered-Dominant |
텐션 노트 | 9, 11, 13 | 11 | 9, #11 | 9, #11, 13 | 9, b13 | 9, 11, b13 | b13 |
어보이드 노트 | 없음 | b9, 13 | 13 | 없음 | 11 | 없음 | b9, 12(=3) |
3.4. Dorian Scale
- Root -(온)- 2 -(반)- b3 -(온)- 4 -(온)- 5 -(온)- 6 -(반)- b7 -(온)-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 | S | T | S | S | T | S |
코드 | Im(Triad), Im6, Im7 | IIm(Triad), IIm7 | bIII(Triad), bIII6, bIIIMaj7 | IV(Triad), IV6, IV7 | Vm(Triad), Vm7 | VI˚(Triad), VIm7(b5) | bVII(Triad), bVII6, bVIIMaj7 |
스케일 | Dorian | Phrygian | Lydian | Mixolydian | Aeolian | Locrian | Ionian |
텐션 노트 | 9, 11, 13 | 11 | 9, #11, 13 | 9, 13 | 9, 11 | 11, b13 | 9, 11 |
어보이드 노트 | 없음 | b9, b13 | 없음 | 11 | b13 | b9 | 11 |
3.5. Phrygian Scale
- Root -(반)- b2 -(온)- b3 -(온)- 4 -(온)- 5 -(반)- b6 -(온)- b7 -(온)- Root
위치 | 1도 | 2도 | 3도 | 4도 | 5도 | 6도 | 7도 |
속성 | T | S | S | S | S | S | S |
코드 | Im(Triad), Im7 | bII(Triad), bII6, bIIMaj7 | bIII(Triad), bIII7 | IVm(Triad), IVm7 | V˚(Triad), Vm7(b5) | bVI(Triad), bVI6, bVIMaj7 | bVIIm(Triad), bVIIm6, bVIIm7 |
스케일 | Phrygian | Lydian | Mixolydian | Aeolian | Locrian | Ionian | Dorian |
텐션 노트 | 11 | 9, #11, 13 | 9, 13 | 9, 11 | 11, b13 | 9, 13 | 9, 11, 13 |
어보이드 노트 | b9, b13 | 11 | 없음 | b13 | b9, b13 | 11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