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d00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700> 국가원수 | |||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초대 | 초대 | 제2대 | 제3대 | |
미하일 칼리닌 | 미하일 칼리닌 |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아나스타스 미코얀 |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안드레이 그로미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 |||
초대 | 초대 | |||
미하일 고르바초프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rowcolor=#ffd700> 정부수반 | ||||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블라디미르 레닌 | 알렉세이 리코프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이오시프 스탈린 | |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이오시프 스탈린 | 게오르기 말렌코프 | 니콜라이 불가닌 | 니키타 흐루쇼프 | |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 소비에트 연방 총리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알렉세이 코시긴 | 니콜라이 티호노프 | 니콜라이 리시코프 | 발렌틴 파블로프 | |
<rowcolor=#ffd700> 서기장 | ||||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옐레나 스타소바 |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 옐레나 스타소바 |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 |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 |
본명 | 옐레나 드미트리예브나 스타소바 Еле́на Дми́триевна Ста́сова Yelena Dmitriyevna Stasova |
출생 | 1873년 10월 3일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
사망 | 1966년 12월 31일 (향년 93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 크렘린 벽 묘지 |
소속 정당 | [[소련 공산당|]] |
주요 서훈 | 사회주의노력영웅 |
[clearfix]
1. 개요
소련의 정치인.2. 초기 생애
187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바실리 스타소프는 알렉산드르 1세와 니콜라이 1세 밑에서 궁정 건축가로 일했다. 그녀의 어머니 폴릭세나와 고모 나데즈다 스타소바는 여성의 교육 접근성 확대 운동을 조직한 저명한 페미니스트였다. 아버지 드미트리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변호사 협회의 창립 멤버였고, 삼촌 블라디미르는 영향력 있는 음악 평론가였다.스타소바는 어린 시절 사랑 많고 교양 있는 가족들에게 둘러싸여 편안하게 자랐다. 그녀는 가정교사와 부모, 특히 그녀가 숭배했던 아버지 드미트리로부터 초기 교육을 받았다. 16세에 그녀는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여성을 위한 대학 수준의 프로그램인 베스투제프스키(Bestuzhevskii) 강좌에서 의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1890년대 그녀는 초 고모 나데즈다의 제안에 따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초등 교육을 제공하는 주일학교 강사가 되었다. 이곳에서 그녀는 생애 처음으로 도시 빈민가의 노동자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었고, 그녀보다 훨씬 더 급진적인 다른 교사들도 만났다. 스타소바는 특히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끌렸다.
1898년 스타소바는 체포된 동료의 일을 대신 맡아달라는 요청에 동의하면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했다. 그러나 한동안 스타소바는 여전히 귀족 아가씨의 삶을 살았다. 노브고로드 구베르니야에 있는 가족 영지에서 여름을 보내고 어머니와 함께 독일의 온천으로 여행을 떠났다. 하지만 곧 그녀는 당에서 자신이 맏은 임무가 사소하다는 데 점점 불만을 느끼게 되었고, 같은 해 사회민주당의 활동 자금을 담당해 달라는 요청에 동의하면서 직업 혁명가의 길을 선택했다.
3.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위원회에서
이후 스타소바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위원회의 기술 서기로서 도시의 혁명 조직을 유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사회민주당의 기본 단위는 시 위원회이며,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같은 대도시의 위원회는 조직 서기(정책 수립 및 모든 운영 감독), 선전 서기(출판물 및 선전 요원 관리), 기술 서기가 운영했다. 기술 서기는 회의 장소 마련, 도피 중인 혁명가 숨기기, 자금 모금 및 지출, 러시아 및 해외의 다른 당 조직과의 연락 유지, 불법 문학 배포를 감독했다. 그러나 지식과 이념을 중시하는 사회주의자들의 성향 상 암묵적으로 기술 서기는 다른 지도자들보다 낮은 지위로 간주되었다.
부유한 귀족 집안 출신인 스타소바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상류 사회에 인맥이 많았기 때문에 모금 활동 역시 성공적이었다. 많은 자유주의자들은 혁명가들을 심각한 위협으로 여기지 않으며, 심지어 자신들의 계급을 파괴하겠다고 대놓고 말하고 있는 사회주의자들에게 기부하도록 설득될 수도 있었다.
또한 스타소바는 확고한 볼셰비키였기에 레닌과 그의 아내 크룹스카야는 그녀를 중요한 동맹으로 여겼다. 1901년부터 그녀는 망명 지도부의 지정 대리인 역할을 하면서 체포로 인해 궤멸된 조직을 재건하고 가는 곳마다 레닌에 대한 지지를 함양하기 위해 러시아 전역을 돌아다녔다.
1905년 스타소바는 자신의 조력자였지만 사회민주당원은 아니었던 군의관 콘스탄틴 크레스티니코프와 결혼했다. 1906년 봉기가 진압된 이후 그녀는 결핵에 걸린 남편을 간호하기 위해 당 업무를 완전히 그만두고 조지아로 떠났다.
1911년 스타소바는 남편과 결별한 후 당으로 돌아왔고, 1912년 프라하 회의에서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여름 경찰에 체포되었고, 10개월 수감생활 후 1913년 귀족의 모든 권리를 상실하고 시베리아로 유형을 떠났다.
4. 1917년 혁명 이후
1917년 2월 혁명으로 석방되어 볼셰비키당 중앙위원회 기술 서기로 임명되었다. 제6차 당 대회에서 M. S. 올민스키는 스타소바를 "당의 전통을 수호하는 사람"이라고 불렀다. 같은 대회에서 스타소바는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18년 제7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정식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20년 제9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와 당 서기직에서 모두 해임되었다.1921년 5월 독일 공산당(KPD) 주재 코민테른 대표로 임명되었다.
5. 소비에트 연방 설립 이후
1926년 2월 소련으로 귀국했고, 국제 혁명 지원 기구(MOPR)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1937년 11월 스타소바는 대숙청과 관련하여 "진정한 혁명가들은 부르주아 감옥뿐만 아니라 우리 소련 감옥에서도 고통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도와야 합니다. 오늘 당장 여러분 각자가 돈과 따뜻한 옷을 가져오십시오. 할 수 있는 만큼. 그것들을 목적지에 전달하는 것은 제가 맡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스탈린은 코민테른 수장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에게 스타소바가 '쓰레기'이며 '아마도' 체포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결국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5일 후 그녀는 MOPR 중앙위원회 의장직에서 해임되었다.
대조국전쟁이 시작되자 스타소바는 외국어 능력을 내세워 전선에 자원했지만 거절당했고, 후방인 크라스노우핌스크로 보내졌다가 1942년에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6. 말년
1946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소(IML) 자문위원을 역임했고, 같은 해에 은퇴했다.1948년 스타소바는 공개 강연에서 "레닌은 모든 동지들을 평등하게 대했으며 부하린을 '부하린치크'라고 불렀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엄중 경고'를 받았다. 그녀는 나중에 그 말이 "실수로 튀어나왔다"며 자신의 "중대한 정치적 실수"였다고 회상했다.
1966년 12월 31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화장 후 유해는 크렘린 벽에 안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