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6:13:54

수단 공화국-예멘 관계

예멘-수단 관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북예멘 국기.svg 파일:남예멘 국기.svg
북예멘-남예멘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예멘 수단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2.2. 근대2.3. 20세기2.4. 21세기
2.4.1. 2000년대2.4.2. 2010년대
3.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예멘, 수단 공화국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

양 지역은 홍해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교류가 많을 법 했으나, 수단 동부의 해안 지대가 다소 척박했던 이유로 교류 양은 많지는 않았다. 일부 무역상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이집트로 바로 배 타고 오는 대신, 수단에 기착하여 이집트로 향하는 밀무역로를 개발하기도 했다.

중세에는 이집트가 이슬람화/아랍화된 이후 같은 아랍어권인 예멘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수단과 예멘 사이의 교류도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2.2. 근대

근대에는 두 지역 모두 오스만 제국, 대영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2.3. 20세기

두 나라는 독립 이후 아랍 사회주의 체제가 들어선 적도 있었으며, 반서방 중심의 정치를 해서 서로 긴밀한 정치적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도 했었다.

다른 아랍권들과 마찬가지로 예멘 통일을 지지한 나라 중 하나이며, 1994년 예멘 내전이 잠시 발발했을 때 수단 공화국은 옛 북예멘 지역의 통일 예멘정부를 지원했다.

2.4. 21세기

2.4.1. 2000년대

2000년 예멘 통일 10주년이 되자 수단의 정치인인 오마르 알 바시르는 예멘에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

수단 연쇄살인범이 예멘에서 16명, 수단에서 11명을 살해한 사실을 예멘 경찰에 자백했다.#

2001년 오사마 빈 라덴은 수단과 예멘에 화학무기 테러를 위한 캠프를 조성했다. #

2003년 후기 및 2004년 수단 공화국과 예멘은 동맹을 맺었으며, 두 나라 주변 국가들을 중심으로 여러 정치적 회담들과 협정이 있었다. 처음에는 에티오피아와 합쳐서 삼국 간의 동맹을 형성하다가 수단과 에리트레아의 갈등이 해결되면서 에리트레아로 바뀌어 에티오피아와의 삼국동맹은 잠시 멈추어졌으나 이후 2007년 소말리아 내전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에티오피아와도 정치적 문제를 해결해나갔다.

2008년 11월 이집트와 예멘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수단, 요르단, 소말리아 과도정부가 참여했으며, 홍해의 해적들을 퇴치하기로 했다. #, #, #

2009년 수단 홍해 연안에서 예멘 어민 2명이 미사일에 피격을 당해 목숨을 잃었다.#

2.4.2. 2010년대

2011년 수단에서 이민자 탄 배가 침몰해 197명이 사망했으며, 배의 소유주였던 예멘인 4명이 체포되었다.#

2011년에는 남수단을 인정해서 수단 공화국과의 관계에서 잠시 갈등도 있었으나 여전히 교류와 왕래는 있었다. 아랍의 봄 시기에 2011년 11월 예멘의 알리 압둘라 살레는 물러났으며, 2019년 4월에는 오마르 알 바시르가 축출되었다.

2019년 10월 수단은 예멘에서 병력 일부를 철수시키기로 했다. #

2019년 수단 총리는 예멘 분쟁은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만 될 수 있는 만큼 예멘 사람들을 도와주기로 했다#.

3. 교통 교류

하르툼 국제공항과 예메니아 항공이 이어져 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