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6~2020 | |||
(2016) | (2016) | (2016) | (2016) | |
(2016~2017) | (2017) | (2017) | (2017) | |
(2017) | (2017) | (2017) | (2017~2018) | |
(2018) | (2018) | (2018) | (2018) | |
(2018) | (2019) | (2019) | (2019) | |
(2019) | [[단막극| 단 ]](2019) | (2019) | (2019~2020) | |
(2020) | (2020) | (2020) | (2020) | |
(2020) | (2020~2021)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
수목 드라마 (2020) Fix you | ||
| ||
<colbgcolor=#f4d8d6> 방송 시간 | 수요일, 목요일 오후 10시 ~ 11시 10분 | |
방송 기간 | 2020년 5월 6일 ~ 2020년 6월 25일 | |
방송 횟수 | 32부작[1] | |
장르 | 의학 드라마, 힐링 | |
제작 | 몬스터유니온 | |
채널 | KBS 2TV | |
제작진 | <colbgcolor=#f4d8d6> CP | 강병택 |
연출 | 유현기[2] | |
극본 | 이향희[3] | |
출연 | 신하균, 정소민, 태인호, 박예진 外 | |
스트리밍 | ▶| ▶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모방위험)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마음이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치유’하는 것이라고 믿는 정신의학과 의사들의 이야기를 담은 마음 처방극 |
2. 기획의도
주변에 이런 분들 계실 겁니다. |
3. 마케팅
3.1. 포스터
<rowcolor=#c98194> 캐릭터 포스터[4] | |
<rowcolor=#c98194> 단체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3.2. 예고편
<rowcolor=#c98194> 티저 | ||
<rowcolor=#c98194> 예고 | 캐릭터 예고 | 하이라이트 |
4. 등장인물
4.1. 주요 인물
- 신하균 - 이시준 역 : 은강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조교수.
- 정소민 - 한우주 역 : 뮤지컬 배우.[5]
- 태인호 - 인동혁 역 : 은강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조교수.
- 박예진 - 지영원 역 : 지영원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개인 병원 원장.
- 주민경 - 공지선 역 : 우주의 친구. 은강병원 전공의인 공지희의 친언니.
4.2. 은강병원 사람들
- 정해균 - 박대하 역 : 정신건강의학과장. 정교수.
- 안동구 - 노우정 역 : 전공의. 레지던트 3년 차, 시준의 팀원.
- 박한솔 - 공지희 역 : 전공의. 레지던트 1년 차. 시준의 팀원.
- 하영 - 강누리 역 : 전공의. 레지던트 2년차. 동혁의 팀원.
- 장유상 - 임세찬 역 : 전공의. 레지던트 1년차. 동혁의 팀원.
- 박수영 - 오기태 역 : 진료부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정교수.
- 조경숙 - 조인혜 역 : 은강병원장. 소화기내과 출신.
- 김가란 - 장유미 역 : 정신건강의학과 인턴. 동혁의 팀원.
- 김강민 - 김영석 역: 정신건강의학과 인턴. 시준의 팀원.
- 최정우 - 이택경 역 : 시준의 아버지. 전직 외과 의사.
4.3. 그 외 인물
4.4. 특별 출연
- 위하준 - 오유민 역 : 축구선수, 신체증상장애 환자.
- 이성민 - 고재학 역 : 응급의학과 전문의.
- 김동영 - 차동일 역 : 가짜 경찰, 과대망상증 환자.
- 정진환 - 성민호 역 : 섭식장애(이식증) 환자.
- 이노아 - 황보영 역 : 섭식장애(거식증) 환자.
- 송지호 - 신종식 역 : 응급의. 도촬사 회원.
- 강신일 - 고상모 역 : 국회의원, 틱장애 환자.
- 오륭 - 백홍민 역 : 소방대원, 주요우울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
- 반효정 - 구원숙 역 : 백홍민의 초등학교 은사.
- 류시원 - 송민우 역 : 군 부대 중령.
5. OST
<rowcolor=#c98194> 파트 | 표지 | 발매일 | 제목 | 아티스트 | 링크 |
Part.1 | 2020년 5월 7일 | Im fine | 오하영 | ||
Part.2 | 2020년 5월 21일 | 우리 둘, 서로의 위로가 되어 | 하현상 | ||
Part.3 | 2020년 5월 28일 | 마음이 이상해 | SURAN | ||
Part.4 | 2020년 6월 3일 | 내일이 오면 | 니아(가수) | ||
Part.5 | 2020년 6월 4일 | 하루가 | 팀 | ||
Part.6 | 2020년 6월 11일 | 휴(休)[6] | 신하균, Big Naughty(서동현) | ||
Part.7 | 2020년 6월 17일 | Maybe | 김은비(EB) | ||
OST | 2020년 6월 25일 | Various Artists |
6. 시청률 및 평가
- 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 단위: %.
- 파란색 수치는 최저,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rowcolor=#c98194> EP. | 회차 | 방영일 | 시청률 |
1 | 1회 | 2020.05.06 | 4.7 |
2회 | 5.2 | ||
2 | 3회 | 2020.05.07 | 3.1 |
4회 | 4.4 | ||
3 | 5회 | 2020.05.13 | 3.7 |
6회 | 3.8 | ||
4 | 7회 | 2020.05.14 | 2.2 |
8회 | 3.0 | ||
5 | 9회 | 2020.05.20 | 2.3 |
10회 | 2.6 | ||
6 | 11회 | 2020.05.21 | 2.2 |
12회 | 3.3 | ||
7 | 13회 | 2020.05.27 | 2.0 |
14회 | 2.7 | ||
8 | 15회 | 2020.05.28 | 1.8 |
16회 | 2.5 | ||
9 | 17회 | 2020.06.03 | 2.1 |
18회 | 2.2 | ||
10 | 19회 | 2020.06.04 | 2.3 |
20회 | 2.7 | ||
11 | 21회 | 2020.06.10 | 1.9 |
22회 | 2.1 | ||
12 | 23회 | 2020.06.11 | 1.4 |
24회 | 1.7 | ||
13 | 25회 | 2020.06.17 | 1.5 |
26회 | 1.9 | ||
14 | 27회 | 2020.06.18 | 1.7 |
28회 | 2.1 | ||
15 | 29회 | 2020.06.24 | 1.8 |
30회 | 2.3 | ||
16 | 31회 | 2020.06.25 | 2.1 |
32회 | 2.3 |
- 0%라는 충격적인 시청률을 기록했던 전작보다는 비교적 나은 출발을 보였으나... 매주마다 충격적인 수준으로 시청률이 곤두박질치면서 전망이 상당히 어두워졌다.
- 타이틀 롤인 신하균의 연기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히로인 역인 정소민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리는 면이 있다.
- 드라마 자체의 평도 다소 엇갈리고 있다. 특히 몇몇 장면에서의 묘사 때문에 정신질환 환자를 지나치게 미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이번에도 목요일 시청률이 수요일보다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 목요일 10시대 예능의 최강자인 내일은 미스터트롯 스핀오프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가 버티고 있고 인기 드라마이자 같은 의학 드라마인 슬기로운 의사생활과도 초반부 방송 시간이 겹치기 때문이다. 특히 슬기로운 의사생활이 끝나고 이쪽으로 넘어오는 시청자들이 꽤 있는건지 목요일 초반부와 후반부의 시청률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다. 사실 목요일이 눈에 띄게 헬게이트라 그렇지 수요일 역시 트롯신이 떴다, 뽕숭아학당 등 트로트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들이 한 자리를 떡하니 차지하고 있으며[7] JTBC에서 쌍갑포차로 8년만에 수목 드라마를 재개하는 등 접전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 월, 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힘든 자리라는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하다.
이쯤되면 맨홀 - 이상한 나라의 의학..... 아니 거의 빠져버렸다
7. 논란
극 중 정신과 의사와 환자가 로맨틱한 관계로 그려지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는 명백한 의료윤리 위반으로, 환자는 정신과 의사에게 의존적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의사는 환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최대한 통제하도록 교육받는다.[8] 문제는 시준-우주의 관계가 단순히 내담자-상담자 이상의 로맨틱한 관계로 묘사되고 있다는 것. # 이에 관련 청원까지 등장하였다. # KBS 측은 이 지적에 대해 최대한 고민하고 있으며 전개 과정을 지켜봐달라고 해명했다. #정신과 의사들이나 임상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부분에서 대단히 엄격한 윤리성을 요구받는다. # 정신과 의사들과 임상심리사들의 기본 신조는 한 마디로 요약해 '한 번 환자는 영원한 환자다'(Once a patient, always a patient.)라는 것이다. 환자가 완치가 되어도, 상담가는 내담자의 가장 비밀스러운 약점과 개인적 상처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는 상태이다. 환자가 오래 전에 완치되어 정상적인 멘탈을 갖고 있다고 할 지라도 이런 비밀스러운 내용을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상대와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이미 볼 수가 없게 된다. 사실 대다수의 정상적인 정신과 의사들은 자신이 담당하던 환자가 완치되었다고 해도 연애 관계는커녕 친구 관계조차 맺으려 하지 않는다. 성적인 관계가 아닌 경우 처벌 대상이 아니긴 하여도 의사나 상담가 스스로가 그것이 비윤리적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애를 하는 것은 물론 당연히 규정 위반이기 때문에 징계 대상이고, 제명을 당하기도 한다.[9] 정신과 의사의 자문까지 받았다고 주장하는 본작의 제작진들이 이러한 사실을 아예 모를 확률은 낮으며, 단지 정신건강의학이라는 소재를 흥미 본위로 가져다 사용하면서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연애 노선을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외국의 경우 스스로 의사면허를 반납하고 환자와 결혼한 사례가 있다.
이 외에도 고증이 지켜지지 않은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는 평이 많다. 정신과 의사이자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는 정신과 의사 형제 양재진 의사와 양재웅 의사가 본인들이 운영하는 유투브 채널에 드라마 속 정신과 캐릭터들에 대해 팩트체크하는 영상을 올린 적 있는데 영혼수선공을 보며 많은 부분들을 크게 비판하였다.[10] 정신과 의사를 멋있게 그려준 건 감사하지만 여러 부분이 상당히 판타지 같다고.*
8. 여담
- 이성민 또한 위에 전술된 ‘브레인’의 인연으로 5월 7일 방영된 2회분(70분 기준)에 특별출연했다. ‘브레인’에서 맡은 배역명인 고재학으로 출연했지만 신경외과 과장이었던 전작과 달리 이번엔 응급의학과 전문의로 등장했다.
- 신하균과 박예진은 드라마 미스터 백 이후로 5년 반 만에 재회한다.
- 전작이 상당히 낮은 화제성과 시청률로 종영했던 만큼 이 드라마가 수목드라마를 살릴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일.
인데... 시작부터 네이버TV 클립 댓글에서 욕을 듣고 있다
- 정소민의 아버지가 이상해 이후 3년 만의 KBS 드라마 복귀작이다.
- 박예진은 나의 나라 이후 6개월 만에 복귀했으며, KBS 드라마에는 미워도 다시 한번 2009 이후 11년 만에 복귀했다.
- 의학 상식들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 닥터프렌즈에서 영혼수선공을 다룬적이 있다.
[1] 35분씩 2회 연속방송.[2] 브레인, 공부의 신, 내 딸 서영이 등을 연출.[3] 쩐의 전쟁, 동네변호사 조들호 시즌 1 등을 집필.[4] 각각 1부, 2부 시작 전 연령고지 화면에 쓰인다.[5] 경계선 성격장애를 앓고 있다.[6] 2019년 12월 23일 발매한 원곡을 리메이크.[7] 특히 뽕숭아학당은 사랑의 콜센타처럼 미스터트롯의 파생프로그램이라 첫 방영하자마자 당연하다는 듯이 10%를 넘겼다.[8] 무한도전에도 출연한 바 있는 대구의 정신과의사 김현철(유아인에게 경조증이 있다고 비난했다가 엄청난 욕을 먹은 그 사람이다.)이 이를 악용하여 여러 명의 내담자들을 성폭행한 사건이 이슈가 된 적이 있다.[9]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는 유아인에게 경조증이라 비난해 직업 윤리를 위반한 김현철을 제명했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이 터지면서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로 판단해 아예 의협에 전문의 자격 박탈과 면허 취소까지 요청했다. 그가 사망함으로써 유야무야 되었지만, 의사들이 아무리 잘못이 큰 자라고 해도 같은 의사의 면허를 박탈하는 것을 대단히 꺼리는 현실을 고려하면 정말 적극적으로 처벌하려고 한 것이다. 정신과 의사들 스스로가 의사가 자기 환자와 성적 관계나 연애를 하는 것을 극도로 부정적으로 본다는 것.[10] 정신과 의사가 환자에게 반말을 하는 등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