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0:37:35

중서령

영문하부사에서 넘어옴
1. 개요2. 중국의 중서령3. 고려의 중서령

1. 개요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정립된 3성 6부제에서 중서성의 장관을 지칭한다.

2. 중국의 중서령

중국 한나라 시기를 거치며 승상(사도)의 권력이 약해지고 황제 측근인 내조(內朝)의 권력이 강해졌다. 황제의 문서를 관리하는 상서의 비중이 커졌고, 이를 지휘하는 녹상서사가 생겨났고 이것이 상서령으로 이어진다. 중서령은 황제의 비서실장격으로, 비서기구의 수장이 재상화된 것이었다.

당나라 시기 중서령은 시중, 상서령과 함께 3성의 장관으로, 명실상부한 재상이었다. 다만 가장 지위가 높은 상서령은 당 태종이 맡은 적 있기에 기피되어 그 아래 상서복야가 상서성의 실질적 장관이었다.

당제(唐制)에서 중서성은 정책을 입안하거나 황제의 명령을 기초하는 역할이었고, 문하성은 그것을 심사하고 봉박할 권한을 가졌기에 비효율적인 문제로 정사당에 모여 합동회의를 했다. 재상회의인 정사당을 주로 이끄는 건 중서령과 문하시중이었는데, 점차 중서성과 문하성이 통합되며 문하시중이 주도가 되기도 하였다.

중서령은 송제(宋制)에서는 법률상으로 존재할 뿐 실직이 아니었다. 즉, 송제는 겉으로 보기에는 당제였으나 실질 운용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중서령이 법률상 중서성의 장관이었으나, 실제 송대의 재상은 당대 이래 재상의 권한을 의미하는 동중서문하평장사였다.

원나라 때 중서성의 장관으로 중서령을 두긴 했으나 황태자가 맡는 자리였고 명예직이다보니, 그 아래의 우승상, 좌승상이 실질적 장관이었다. 명나라 때는 중서령을 두지않고 좌승상이 장관이었으나, 홍무제가 재상제도를 폐지하며 사라졌다.

3. 고려의 중서령

고려에선 정부중서문하성의 종1품 관직으로 명목상 기관장이다.

같은 기관의 실질적 기관장인 문하시중과 같은 품계이지만 명예직에 해당한다. 같은 품계의 상서령(尙書令)이 왕족에게만 수여되는 명예직이었다면, 중서령은 관료에게도 수여되었다. 중서령과 상서령을 영공(令公)이라고도 한다.

중서령은 고려초 내의성의 내의령(內議令), 내사성의 내사령(內史令)[1]이 개편된 것이다. 원 간섭기에 관제가 격하되면서 기존 3성[2]의 수장인 중서령, 문하시중, 상서령을 통폐합해서 첨의중찬이라 불리다가, 이후 첨의부가 도첨의사사로 개편되면서 영도첨의사사사[3]와 도첨의정승[4]으로 직이 나뉘었다. 공민왕 때 중서령으로 잠깐 되돌아갔다가, 최종적으로 문하부[5]의 영사(판사), 즉 영문하부사(판문하부사)[6]로 바뀌었다.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중서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내의령
[ruby(윤봉, ruby=내사령)] 왕주 서필 왕융 [ruby(왕선, ruby=내사령)] [ruby(순질, ruby=내사령)] [ruby(신질, ruby=내사령)] 최지몽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내사령
[ruby(최지몽, ruby=내사령)] [ruby(이몽유, ruby=내사령)] 서희 유윤부 왕가도 왕흠 왕형 최사위 왕서 왕서 서눌 왕휘 왕기 최충 최충 왕기
[중서문하성] 중서령
왕기 왕총지 최충 이자연 최유선 왕운 왕비 왕희 최사추 이자겸 이위 임원후
무신정권
(1170~1270)
두경승 최항
원 간섭기
(1270~1356)
도첨의령·판도첨의사사사·영도첨의사사사
홍자번 김방경 왕원 조인규 왕후 채하중 채하중 이능간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령·영도첨의사사사
염제신 김일봉 이공수 신돈
영문하부사·판문하부사
염제신 이인임 홍영통 최영 조민수 홍영통 이색 이색 이성계 심덕부
※ 루비 문자로 표기된 내사령은 내사문하성 소속이 아니다.
}}}}}}}}}}}} ||

대표적인 인물로 이자겸(중서령), 신돈(영도첨의), 이인임(영문하) 등이 있다.

[1] 다만 내사령은 국초에 궁궐 내의 내사방 소속이었던 것이, 내의성이 내사성으로 개편되면서 내사성에 속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내의령이 내사령으로 통폐합되기 전에 내의령과 내사령이 병존하던 시기도 있었다. 덧붙여 내사방은 권력 분산 목적으로 설치한 기관인데, 경종~성종초에 귀족대표를 좌우집정으로 두고 궁궐내에 위치한 내사방의 내사령을 겸직시킴으로써 권력을 분산시켰다.[2]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다만 중서성과 문하성이 중서문하성으로 통합되어 운영되었다는 2성 6부제를 주장하는 것이 현재의 다수설이다. 여전히 3성 6부제를 주장하는 소수설도 있다.[3] 도첨의사사의 영사. 영도첨의사사, 영도첨의 등으로 약칭하기도 한다.[4] 첨의정승, 정승 등으로 약칭하기도 한다. 우정승, 좌정승 2인을 두었다.[5] 문하부는 중서문하성의 후신으로 충렬왕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친 첨의부→도첨의사사→도첨의부에서 고려 후기인 1369년(고려 공민왕 18년)에 문하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초기에 의정부에 통합되어 영의정부사, 영의정으로 개편되었다.[6] 각각 영문하, 판문하로 약칭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