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03:25:24

영경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영경'''{{{#!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런던의 한자명 英京}}}에 대한 내용은 [[런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런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런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런던의 한자명 英京: }}}[[런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런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런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괭이갈매기 울 적에에 나오는 매직 아이템의 한 부류.

비슷한 종류의 아이템으로는 전갈 마법진의 키홀더, 황금 나비의 브로치 등이 있다.

최초 언급은 EP2에서 베아트리체샤논에게 신사 안의 영경을 깨트려 달라는 부탁에서부터 된다. EP2 작중에서 베아트리체의 힘을 약하게 만드는 것은 영경이라고 언급된다. 베아트리체는 샤논에게 조지와의 사랑을 이루어주는 대가로 이 영경을 깰 것을 요구한다. 그리하여 작중 묘사에 따르면 1985년 12월에 샤논은 사당에서 영경을 깨고 마침내 조지와의 사랑이 시작되게 된다. 그러나 이건 베아트리체의 페이크였고 이 덕에 힘을 되찾아 실체화한 베아트리체에 의해서 1986년 롯켄섬 몰살극이 일어났다는 것이 EP2 작중 이야기.

그 존재는 EP6에서 다시 언급, 언니 베아트리체, 동생 베아트리체 모두 이 영경에 대해서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 때의 영경은 위에서 언급된 것은 아니고, 나츠히가 시집올 때 가지고 온 물건으로 영력이 강하다고 한다.

마녀 베아트리체는 이 영경-거울-과 거미줄에 약하다고 한다.

밑은 작중 범인을 포함한 중요 스포일러.

위에 언급된 영경에 관련한 마녀환상이 의미하는 바를 서술하고 있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롯켄지마는 과거 여러 가지 악령전설이 있었으며 그 중 하나가 해안가 바위섬에는 악령을 봉인하고 있는 영경이 설치되어있으며, 이때문에 악령은 영경에 약하다는 성질을 가진다... 라는 내용.

베아트리체는 이 롯켄지마 악령전설을 자신에게 습합시키면서 '약점이 없는 최강은 재미없다'라는 이유로 악령의 약점까지 자신이 흡수했다.[1] 하는김에 영경자체가 드문것이니 아예 거울자체에 약하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 여기에는 본래 자신이 거울을 꺼림칙해한다는 취향도 포함되어있었다고.[2]

또한 EP2 작중에서 샤논이 베아트리체의 유혹으로 영경을 깨는 장면은 실제론 신사 폭파 실험을 하던것이라고 한다. 롯켄섬에 매장되어 있던 900t의 폭탄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폭풍우와 번개를 빌미로 삼아 영경이 있던 그 신사에서 폭탄의 작동시험을 해봤으며 결과는 성공적이였다. 그 신사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문제편에서 "올해 초에 신성한 신사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불길하다"는 뉘앙스의 대사가 나올 때가 있는데, 그 원인이 바로 이것이다. 애니판 오프닝에서는 대놓고 스포일러를 하는데 이미 아무것도 없는 절벽에서 뒤늦게 번개가 내리치고 샤논이 비를 맞고 바깥에서 서있다. 결국 이 장면은 폭풍우치는 밤 샤논이 폭탄을 실험했다는 진상을 그대로 드러내는 장면이다.


[1] 이것의 연장선으로 쿠마사와가 알려준 주술에 맞춰 거미줄을 싫어한다는 성질에서 거미를 천적으로 하는 나비를 자신의 모티브로 삼았다고 한다. 여기에는 고용인 생활당시 저택의 거미줄 때문에 나츠히한테 꾸증을 들었던 트라우마가 반영되기도 했다고.[2] 왜냐면 아무리 베아트리체라는 설정을 갈고닦아봐야 거울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만을 비춰주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