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02:20:12

역발산(프로레슬러)

<nopad> 파일:역발산 OSI.jpg
본명 양승휘(梁承揮)
링네임 양승휘
역발산(力拔山)
스트롱 머신 2호
출생일 1955년
출생지 서울특별시
신장 189cm
체중 128kg
시그니쳐 무브 토페 스이시다
탑 로프 롤링 소바트[1]
피니쉬 무브 샤프슈터
유형 스트롱 스타일
주요 커리어 OSI 세계 헤비급 챔피언 1회
NKPWA 세계 헤비급 챔피언 1회

1. 개요

한국의 프로레슬러. 1990년대 중반 한국 프로레슬링계의 메인 이벤터로 활약했다.

2. 경력

1975년, 김일 체육관 1기 문하생으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했다.

1978년 2월, 전일본 프로레슬링, 국제 프로레슬링, 한국(김일 도장) 3군 대항전 ‘전군 격돌전’을 통해 일본 프로레슬링에 처음 출전했다. 시리즈 도중인 2월 18일, 오대균과 한 팀을 이뤄 마이티 이노우에, 애니멀 하마구치의 아시아 태그팀 타이틀에 도전했다. 8월 2일, 서울 문화체육관에서 열린 김일 도장, 국제 프로레슬링 합동 흥행에서 러셔 기무라의 IWA 세계 헤비급 타이틀에 도전했다. 이후 국제 프로레슬링에 유학생으로 출전했다.

1981년, 김일 도장(김일 후원회)에서 사단법인 대한프로레슬링협회로 이적했다.

1982년, 사단법인 대한프로레슬링협회 회장이었던 강귀태는 그의 이미지가 ‘역발산기개세’와 어울린다면서 그에게 링네임 변경을 권유했는데, 이를 계기로 그는 본명 '양승휘' 대신 ‘역발산’을 링네임으로 사용했다. 같은 해 4월부터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출전했는데, 이왕표와 태그팀을 결성해 배드 뉴스 앨런, SD 존스, 버디 로즈, 헐크 호건 등과 맞붙었다.

1984년 9월 13일,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힐 캐릭터의 복면 레슬러 '스트롱 머신 2호'로 등장했다. 쇼군 KY 와카마츠가 이끄는 머신 군단에 합류해 스트롱 머신 1호, 히로 사이토와 함께 태그팀 전선에서 활동했다. 11월 1일 도쿄 체육관에서 안토니오 이노키와 메인 이벤트 경기를 가졌다.

1985년, 머신 군단 해체 후 다시 '역발산'으로 활동했고, 한국에서는 OSI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올랐다.

1987년 4월 27일, 료고쿠 국기관에서 김수홍과 함께 돈 아라카와, 쵸노 마사히로와 붙은 경기를 마지막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났다.

한편, 한국에서는 극동 프로모션과 한국프로레슬링흥업회사에서 활동했으며, 극동 프로모션 해산 후에는 한국프로레슬링흥업회사에서 계속 활동했다

1989년 5월 6일, KBS 88체육관에서 김수홍과 태그팀을 결성해서 안토니오 이노키, 마사 사이토와 맞붙었다. 이후 1996년 한국프로레슬링흥업회사가 해산할 때까지 한국 프로레슬링계의 메인 이벤터로 활약했다.

한국프로레슬링흥업회사 해산 이후 한동안 프로레슬링계를 떠나 건설업 등 다른 업종에 종사하다가, 2002년, 신한국 프로레슬링 협회(NKPWA)가 출범하면서 선수단 단장으로 복귀했다.

파일:역발산(프로레슬러).jpg
2006년 2월 10일, 랜스 호잇을 꺾고 NKPWA 초대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올랐다.

2008년 5월 6일, 니시무라 오사무, 커트 앵글과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니시무라 오사무에게 패해 타이틀을 잃었다. 경기 도중 역발산의 바디슬램으로 커트 앵글의 목이 링 바닥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해 팬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2009년 3월 21일, 서울에서 김종왕과 태그팀을 결성해서 타카이와 타츠히토, 소야 마나부를 상대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그의 마지막 경기였다.

3. 여담

4. 같이보기



[1] 파일:탑 로프 롤링 소바트.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