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영국·아일랜드·프랑스 인터내셔널 클래시피케이션 창설 |
1977 1978 1979 | |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 |
독일·이탈리아 참여 | |
1986 1987 1988 1989 | |
1990 1991 1992 1993 | |
미국·캐나다 참여 | |
1994 1995 1996 | |
일본·아랍에미리트·홍콩 참여 | |
1997 | |
호주·뉴질랜드 참여 | |
1998 1999 | |
| |
국제경마협회(IFHA) 주최 | |
| |
| |
| |
2013년 BHA(영국경마협회)에서 발행되었던 재조정된 레이팅은 현 체제 레이팅과의 비교용으로 공식 레이팅이 아니다. 직접 비교가 필요할 경우 위 첨자만큼 감산할 것. 1999년 이전 레이팅의 거리 종목은 정보 부족으로 확실치 않음.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위 / 147 |
2위 / 145 | |
3위 / 144 | |
5위 / 143 | |
6위 / 142 | |
8위 / 141 | |
9위 / 140 | |
15위 / 139 | |
19위 / 138 | |
27위 / 137 | |
46위 / 136 | |
76위 / 135 | |
타임폼의 네일 오코너가 제공한 호주, 두바이, 유럽, 홍콩, 일본, 북미 그리고 스칸디나비아에서 활동한 경주마들의 공식 역대 최고 순위 2000년 이전 북미에서만 활동한 경주마들은 당시 부여된 값이 아닌 추후에 추산된 값이기 때문에 기재하지 않으며, 유럽에서 활동한 경주마들과 직접 비교할 수 없음 국적은 조교국 기준으로 작성됨 |
1977, 1978년 인터내셔널 클래시피케이션 레이팅 1위 | ||
| ||
이름 | Alleged | |
출생 | 1974년 5월 4일 | |
죽음 | 2000년 6월 23일 (26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갈색 (Bay) | |
아비 | 호이스트 더 플래그 (Hoist The Flag) | |
어미 | 프린세스 파우트 (Princess Pout) | |
외조부 | 프린스 존 (Prince John) | |
생산자 | 준 H. 맥나이트 (June H. McKnight) | |
마주 | J. R. 플루어 & 로버트 생스터 (J. R. Fluor & Robert Sangster) | |
조교사 | 빈센트 오브라이언 (아일랜드) | |
성적 | 10전 9승 (9-1-0-0) | |
총상금 | 49,272 영국 파운드[GB] 2,520,000 프랑스 프랑[FR] | |
주요 우승 | G1 | |
G2 | 갈리눌 스테이크스 (1977) | |
G3 | 로열 윕 스테이크스 (1977, 1978) | |
레이팅 | IC[3] | L138[4] (1977) / L140[5] (1978) |
타임폼 | 137 (1977) / 138 (1978) | |
주요 수상 | 유럽 말 최고 레이트 (국제 분류) (1977, 1978) 유럽 말 최고 레이트 (타임폼) (1977, 1978) | |
주요 자마 |
|
[Clearfix]
1. 개요
미국에서 태어나 아일랜드에서 조교된 경주마. 3세 시즌에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를 뛰고 나서 개선문상을 우승하는 데 성공한[6] 마지막 경주마, 그것도 개선문상을 도주로 우승한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얼레지드 이후 개선문 도주 승리는 1996년 엘리시오 뿐이다.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Hoist The Flag 1968 | <colbgcolor=#ffffe4,#323300>Tom Rolfe 1962 | Ribot |
Pocahontas | ||
Wavy Navy 1954 | War Admiral | |
Triomphe | ||
Princess Pout 1966 | Prince John 1953 | Princequillo |
Not Afraid | ||
Determined Lady 1959 | Determine | |
Tumbling | ||
* War Admiral 3×4 18.75% * Princequillo 5×3 15.625% |
3. 생애
1977년 개선문상 |
4. 종마 생활
현역 은퇴 후엔 미국 켄터키 주에서 종마 활동을 했으며, G1 우승마를 다수 배출했다.5. 경주 성적
- 거리 단위(영국,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 m: 마일(약 1609m), f: 펄롱(1/8 마일, 약 201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AE59><rowbgcolor=#11AE59><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5%>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 1976년 (2세) | |||||||||
11.1 | 커러 | 미승리 | 잔디 7f | <colbgcolor=gold><colcolor=#000> 1 | <colbgcolor=gold> 1착 | T. 머피 | (Asanta Sana) | ||
<rowcolor=#fff> 1977년 (3세) | |||||||||
4.20 | 레퍼즈타운 | 밸리도일 스테이크스 | 잔디 1m 2f | 1 | 1착 | T. 머피 | (Hard Road) | ||
5.13 | 커러 | 로열 윕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m 4f | 7 | 1착 | 피더 매튜스 | (Valinsky) | |
5.28 | 커러 | 갈리눌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4f | 1 | 1착 | 레스터 피곳 | (Orchestra) | |
8.17 | | 그레이트 볼티저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4f | 2 | 1착 | (Classical Example) | ||
9.10 |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6½f | 1 | 2착 | Dunfermline[7] | ||
10.2 |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1 | 1착 | (Balmerino) | ||
<rowcolor=#fff> 1978년 (4세) | |||||||||
5.12 | 커러 | 로열 윕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m 4f | 1 | 1착 | 레스터 피곳 | (Irish Riddle) | |
9.17 | | 프랭스 도랑주상 | G3 | 잔디 2000m | 1 | 1착[R] | (Louksor) | ||
10.1 |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1 | 1착 | (Trillion)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771240; font-size: .7em;" 1920 1921 · 1922 크사르 | 1923 1924 마신 | 1925 프리오리 | 1926 비리비 | 1927 몽 탈리스망 | 1928 칸타르 | 1929 |
1930 모트리코 | 1931 펄 캡 | 1932 모트리코 | 1933 1934 브랑톰 | 1935 사모스 | 1936 · 1937 코리다 | 1938 에클레르 오쇼콜라 | --1939 · 1940 없음-- | |
1941 르 파샤 | 1942 제벨 | 1943 베르소 | 1944 아르당 | 1945 니켈로라 | 1946 카라칼라 | 1947 르 페용 | 1948 1949 코로네이션 | |
1950 · 1951 탕티엠 | 1952 누초 | 1953 라 소렐리나 | 1954 시카 보이 | 1955 · 1956 1957 오로소 | 1958 1959 생크레스팽 | |
1960 퓌이상 셰프 | 1961 1962 솔티코프 | 1963 엑스버리 | 1964 프랭스 루아얄 | 1965 시버드 | 1966 봉 모 | 1967 토표 | 1968 베이글리 노블 | 1969 | |
1970 사사프라스 | |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 |
1971 1972 산 산 | 1973 1974 알레 프랑스 | 1975 1976 이바니차 | 1977 · 1978 1979 스리 트로이카즈 | |
1980 데트루아 | 1981 골드 리버 | 1982 아키다 | 1983 올 얼롱 | 1984 사가스 | 1985 1986 1987 트랑폴리노 | 1988 1989 | |
1990 소마레 | 1991 수아브 댄서 | 1992 수보티차 | 1993 어번 시 | 1994 카네기 | 1995 1996 엘리시오 | 1997 팽트르 셀레브르 | 1998 사가믹스 | 1999 몬쥬 | |
2000 2001 2002 2003 달라카니 | 2004 바고 | 2005 허리케인 런 | 2006 레일 링크 | 2007 2008 자르카바 | 2009 | |
2010 2011 2012 솔레미아 | 2013 · 2014 트레브 | 2015 2016 2017 · 2018 2019 발트가이스트 | |
2020 소트사스 | 2021 2022 2023 에이스 임팩트 | 2024 |
[GB] [FR] [3] 론진 레이팅은 국제경마협회가 주최하기 시작한 2003년부터 레이팅 책정 기준이 달라져 2002년 이전과 2003년 이후는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4] 현 체제 기준으로 계산 시 7파운드가 차감된 L131[5] 현 체제 기준으로 계산 시 6파운드가 차감된 L134[6] 경마가 현대화되고 거리 분류가 엄격해진 현 경마에서 중장거리 경주와는 양상이 다른 초장거리 경주의 특성, 또 길어야 2주 정도인 두 경기 사이 기간 등 여러 이유로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를 뛰고 개선문상을 우승하는 건 현대 경마에서는 시도 자체도 적을 뿐더러 난이도는 더욱 높은 희귀한 사례이다.[7] 통산 12전 3승(G1 2승). 1977년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우승. 마주가 엘리자베스 2세다.[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