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0:23:07

약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鑰匙에 대한 내용은 열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증상
2.1. 약시 환자가 느끼는 증상2.2. 영유아기에 보이는 특징
3. 여담
3.1. 한국의 군대

1. 개요

/ amblyopia, lazy eye

선천성 발달 이상 및 시력 발달 과정에 있어서 여러가지 요소로 인해 의 시력이 병적으로 떨어진 상황. 대부분 양안 모두 이상이 있는 경우보단 한쪽 눈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안경이나 렌즈를 껴도 시력이 잘 교정되지 않는다.

2. 증상

2.1. 약시 환자가 느끼는 증상

약시 환자가 느끼는 시력저하는 안경으로 교정이 가능한 일반적으로 젊은 층에 흔한 근시 증상과는 매우 다르다.

근시의 경우는 애초에 잘 보이던 사물들이 성장 혹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수정체의 이완 등의 영향으로 초점이 맞지 않아 사물이 퍼진 것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반면, 약시의 경우는 시신경 발달 및 양안의 신호 전달에 있어서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아, 약시가 심한 경우에는 건물이나 장롱 같은 커다란 사물들은 어느 정도 보일지언정 사람의 얼굴이라거나 책글씨 같은 복잡한 모양의 내용을 읽으려면 눈을 바로 앞으로 갖다 대도 읽기가 어렵다. 하지만 심각한 수준이 아닌 이상 상당수의 약시 환자는 이것이 뭔가 이상이 있는 것인지조차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태어날 때부터, 혹은 아주아주 어릴 때부터 원래 그래 왔기 때문에 특별히 뭔가 이상하다고 여기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3세 아이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어도 반드시 안과 진료를 한 번은 받아야 한다.

정상인의 눈으로 약시의 증상을 약간이나마 이해하고자 한다면 글씨가 빼곡한 소설책 갖다 놓고 페이지 한가운데 있는 글자 하나에 시선을 집중해둔 상태에서 시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페이지 가장자리의 글씨를 억지로 읽으려고 하는 느낌과 비슷하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시선을 두고 있는 글씨와 그 주변의 글씨는 바로 인식할 수 있지만, 약시 환자의 경우는 시선을 글씨에 집중하더라도 눈을 책에 바짝 갖다 대고 보거나 글씨를 크게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특수한 안경이 아니라면 읽기가 매우 어렵다. 뇌에서 한쪽 눈에만 초점을 맞추고 다른 쪽 눈을 통째로 가장자리로 취급하는 느낌이라, 한 쪽 눈을 감으면 정상인은 뜬 쪽 눈으로만 세상을 보게 되지만, 약시 환자는 뇌에서 뜬 쪽 눈의 풍경보다 감은 쪽 눈의 어둠을 더 우선해서 인식하고 초점을 맞춰서 눈 뜬 장님이 된다.

따라서 근시와 약시는 동시에 올 수도 있고, 근시 증상은 약하더라도 약시가 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약시는 사시나 근시 같은 다른 요인으로 인해 영유아기에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따라서 약시 환자는 사시, 근시, 복시 같은 다른 증상도 거의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2.2. 영유아기에 보이는 특징

약시가 발생하는 경우는 대체적으로 어린 나이다. 뇌 쪽이나 시신경에 병변이 있는 약시가 아닌 이상은 대부분 어릴 때의 시력발달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서 약시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사람의 시력은 태어났을 때부터 매우 좋은 게 아니라 생후 2~3개월 동안 급격히 시력이 발달하고 그 이후로도 꾸준히 발달하여 만 8세 정도에 이르러서 평생 시력이 완성된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바로 사시다. 또한 영유아가 상대방을 응시할 때 한 눈으로만 보는 식으로 시선이 옆으로 쏠리거나, 한 눈은 정상적으로 크게 뜨는데 다른 눈은 초점이 흐리고 작게 뜨는 경우가 보인다면 의심을 해 봐야 한다. 사실 눈이라는 게 중요한 장기라는 것은 모두가 알지만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라는 것은 의료인이 아닌 이상 잘 모른다. 지금 당신이 이 글을 읽고 있는 행위도 수없이 복잡한 신경과 근육의 조화 및 뇌의 협업으로 인하여 가능한 것이다. 4개의 뇌신경을 포함해서 움직이는 상황, 빠르게 정보를 얻어야 하는 상황 등등 다양한 상황에 있어서 안구 운동은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이런 상황에서 사시는 양안의 정보를 다르게 입력시켜 뇌에 혼선을 주는 대표적인 약시 유발 요인이므로 사시가 있는 경우는 반드시 교정이 필요하다.

증상이 확인되면 대체로 정상인 눈을 가리고 나머지 눈으로 생활하게 하여 눈의 발달을 촉진하는 가림 법을 사용해 교정한다. [1] 영유아가 나이를 어느 정도 먹고 늦게 발견하면 별 대책이 없다. 성장기가 끝남과 동시에 그 시력으로 고정되는 데다(나빠질 수는 있다)[2], 눈은 멀쩡하기 때문에 안경을 껴도 시력이 좋아지지 않는다. 단, 만5세 이전에 발견하면 치료로 증상이 많이 완화될 수 있다

3. 여담

약시 안경은 굴절률이 높은 좋은 렌즈를 쓰더라도 기본적인 시력이 많이 낮아 몸에 맞는 안경을 맞추기 어렵다.

양안 약시인 경우가 아예 없지는 않다. 이 경우 가림 법으로 고치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거나 어린 시절 트라우마가 될 정도의 노력과 잦은 안과검사, 치료가 수반된다.

양안 약시에 부등시, 난시, 고도 근시, 안구진탕증과 같은 이상증세가 겹치면 많이 불편하다. 거기다 교정 불가라서 저렇게 이상증세가 중첩되는 경우, 안경을 껴도 부동시, 안구진탕, 난시, 고도근시다. 이러한 경우 대학병원, 안과 전문병원, 일반안경원 보다는 검안전문안경원을 가는 것이 좋다. 왜 대학병원보다 검안전문안경원이지 라고 의아해 하는 사람들이 많을덴데 해외와 달리 검안의사제도가 없는 국내의 맹점이자 현실이다.

3.1. 한국의 군대

교정시력이 0.6 이하로 나오는 약시는 공익근무요원 대상이다. 하지만 이걸로 걸리는 경우는 별로 없다.[3] 일단 원칙은 0.6 이하가 4급, 0.1 이하가 5급이다. 당연하지만 안경 끼고 0.2~0.6이어야 4급, 0.1이거나, 0.1이 안 되어야 5급이라는 소리다. 2010년 기준으로 저기에 '좋은 눈의 교정시력이 0.2 이하'가 추가되기는 했지만 5급 나올 정도면 이미 한 눈은 제 구실 못 한다고 봐야 한다. 사실 이 기준을 만족할 정도면 시각장애인이라고 봐야 한다. 장애등급 기준(2017년 개정판)

신검이라는 게 다 그렇지만 약시인 사람은 법령을 스스로 참고하여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관련 서류를 스스로 잘 챙겨야 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이 이 과거 병원기록, 즉 안과 진료 기록이다. 약시는 현재로서는 가림 법을 제외하면 치료나 시력향상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과거 기록에서 시력측정 결과의 변동을 꽤 주의 깊게 살피는 편이다. 심지어 초등학생 시절 급우들 시선 때문에 시력검사 때 속인 결과도 기록에 남기 때문에, 자신이 약시이거나 교정 불가일 경우는 그냥 시력측정 시엔 보이는 대로 검사에 임하는 것이 가장 좋다.

4급, 5급 받은 사람이 다 그렇지만 복잡하게 자신의 질병사유를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고 그냥 '눈 때문에 4급 맞았다'라고 하기 마련인데 이러면 주변 반응이 나도 눈 나쁜데?라고 하기 일쑤인지라 기분이 엄청 상하고 우울해진다.

게다가 교정이 불가능하다는 걸 이해 못하는 사람들도 의외로 많다. 안경을 안 쓰면 아예 일상생활이 힘들고, 쓰면 그나마 가까운 곳의 글자라도 보이니까 쓰는 것이다. 따라서 "교정 불가인데 안경 왜 씀?"같은 질문은 어불성설이다.

2022년 전 LoL 프로게이머 큐베가 현역판정을 받아 군입대를 했다가 훈련소 내에서 군의관의 검진에 따라 약시판정을 받아 귀가조치 후 재검사를 받아 신체등급이 4급으로 변경되어 보충역 판정을 받은 사례가 나왔다.
[1] 어릴 때 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대라는 존재감 넘치는 물건을 장비하게 되는지라 애꾸라고 놀림감이 되기 일쑤다. 그래서 특수 안경이나 아트로핀 점안 같은 존재감이 덜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2] 외국에서는 성인에서도 재활치료하는 느낌으로 시도하기도 하는 듯하지만3, 현재 한국에서는 성장기가 끝날 때 쯤 되면 포기하는 게 편하다는 게 정설.[3] 안과 4급은 3년치 이상의 병무용진단서가 필요한 약시보다는 병무용진단서 없이 현장에서 판정이 가능한 굴절이상으로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