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0:01:59

야마모토 사콘


일본국 제49대 중의원 의원
야마모토 사콘
山本 左近 | Sakon Yamamoto
파일:야마모토 사콘 중의원.jpg
<colbgcolor=#e50038>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1982년 7월 9일 ([age(1982-07-09)]세)
아이치현 토요하시시
현직 제49대 중의원 의원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50038><colcolor=#fff> 학력 난잔대학 (졸업)
소속 팀 <colbgcolor=#e50038> F3 탐스 (2001, 2004)[1]
팀 아반티 (2001)[2]
GM 모터스포트, 팀 콜레스 레이싱(2002)[3]
슈퍼펀드 TME (2003)[4]
F1 조던 그랑프리 (2005테스트 드라이버)
슈퍼 아구리 F1 팀 (2006)
에티하드 알다르 스파이커 F1 팀 (2007)
HRT F1 팀 (2010)
슈퍼 GT 토요타 팀 탐스 (2005)
니스모 (2006)
포뮬러 닛폰 콘도 레이싱 (2005~2006)
GP2 시리즈 BCN 컴페티션 (2007)
ART 그랑프리 (2008)
GP2 아시아 시리즈 ART 그랑프리 (2008-09)
FE 암린 아구리 (2014-15)
F1 커리어
레이스 출전 21회
그랑프리 우승 0회
폴 포지션 0회
패스티스트 랩 0회
포디움 0회
월드 챔피언 0회
첫 경기 2006 독일 그랑프리
마지막 경기 2010 한국 그랑프리 }}}}}}}}}

1. 개요2. 커리어
2.1. 포뮬러 1 이전2.2. 포뮬러 1
2.2.1. 슈퍼 아구리 F1 팀2.2.2. 에티하드 알다르 스파이커 F1 팀
2.3. 다시 하위 리그로2.4. F1 복귀2.5. F1 이후
3. 연도별 성적

[clearfix]

1. 개요

일본 아이치 현 출신 전 F1 드라이버이자 정치인. 2022년 8월 12일 문부과학성과 부흥청 대신정무관으로 임명되었다.

은퇴 후에는 레이싱 드라이버에서 일본 정치계로 전향하였으며 2021년 10월 31일에 중의원에 당선되었다. 지역구는 비례 도카이블록.

2. 커리어

2.1. 포뮬러 1 이전

아이치현에서 태어난 야마모토 사콘은 12살이 된 1994년에 카트 선수로서 레이싱에 입문하였다. 그리고 1999년에는 전일본 카트 선수권의 FA 클래스 챔피언을 따내며 레이싱에서의 재능을 보였고, 18살이 된 이듬해 2000년에는 스즈카 서킷 레이싱 스쿨에 입학하며 더 큰 무대로의 진출을 준비하였다.

2001년부터는 카트에서 벗어나 일본 내 포뮬러 레이스에 발을 내딛기 시작하였다. 톰스 팀과 계약함으로써 일본 F3 챔피언십에 데뷔하게 되었다. 데뷔 시즌임에도 당해 성적은 18경기에 5번의 포디움에 오르며 종합순위 4위를 기록하였고, 이에 야마모토는 본격적으로 유럽 무대에 도전하였다. 독일 F3에선 17경기에 출전했으나, 단 1차례도 포인트 획득에 실패하며 좋지 않은 결과를 내고 말았다. 당해 시즌 독일 F3에는 일본인 드라이버가 총 4명이 출전했는데, 에비하라 시게키와 더불어 유이하게 포인트 획득에 실패한 일본인 드라이버였다. 2003년엔 F3 유로 시리즈에 참가하였으나, 20경기 노 포인트에 그치며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야만 했다.

일본 F3로 돌아온 야마모토는 2004 시즌에서야 포뮬러 클래스 데뷔 첫 우승을 기록하였다. 종합순위는 7위를 기록하며 톰스 팀에서 야마모토를 GT 클래스에 출전시키고자 하였고, 야마모토는 2005 시즌 슈퍼 GT포뮬러 닛폰 시리즈에 출전하였다. 슈퍼 GT 데뷔 시즌으로 8경기동안 1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종합 7위로 나쁘지 않은 데뷔시즌을 가졌고, 함께 병행하여 참가한 포뮬러 닛폰에선 9경기만 참가하여 1번의 포디움을 기록해 종합 10위를 기록하였다.

2.2. 포뮬러 1

일본에서만 활동했던 2005년, F1 일본 그랑프리를 앞두고 조던 그랑프리 소속으로 금요일 FP1 세션에 참가하는 기회를 누렸다. 이 경험은 야마모토가 F1 그랑프리에 정식 참가하는 기회로 이어지게 되었다.

2.2.1. 슈퍼 아구리 F1 팀

2.2.1.1. 2006 시즌
2006 시즌이 한창 진행중이던 2006년 6월 8일, 야마모토는 슈퍼 아구리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발탁되었고, 얼마 안가 독일 GP에선 팀의 세컨 드라이버였던 프랭크 몽타니를 대체하여 F1에 데뷔하게 되었다. 하지만 데뷔전에선 레이스카 결함으로 리타이어하며 아쉬움을 삼켰고, 2번째 경기에서도 오프닝 랩에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3번째 레이스인 터키 GP에선 팀메이트이자 F1에서 수년간 몸담았던 사토 타쿠마를 퀄리파잉에서 이기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레이스에선 스핀 후에 리타이어하며 데뷔 후 3경기 연속 리타이어를 기록하였다.

야마모토의 완주는 중국 그랑프리에서 처음 이루어졌다. 레이스카의 성능 자체는 그리드에서 최하위권 수준이었던지라 페이스를 내기엔 매우 힘들어 우승을 기록한 미하엘 슈마허에 4바퀴 뒤쳐진 16위를 기록했다. 이후엔 홈 그랑프리인 일본 GP에서 17위, 최종전인 브라질에서 16위를 기록하며 첫 F1 시즌을 마쳤다.

2.2.2. 에티하드 알다르 스파이커 F1 팀

야마모토는 스파이커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새로 계약을 하였다. 이후, 기존 스파이커 팀의 드라이버였던 크리스티얀 알버스가 팀을 떠나게 되면서 야마모토가 그 자리를 대체하였다.
2.2.2.1. 2007 시즌
11R인 헝가리 GP부터 오랜만에 그리드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복귀 후 4경기동안 성적은 거의 밑바닥이었다. 복귀전인 헝가리에선 4랩만에 크래쉬로 리타이어하기도 하였다. 그나마 홈 그랑프리인 일본 GP에선 수많은 상위권 드라이버들이 차량 문제와 더불어 빗길 속에서 충돌로 리타이어한 덕에 12위라는 좋은 순위로 완주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은 2경기는 다시 17위-DNF를 기록.

F1 이외에도 GP2에 출전하였다. 11경기 출전해 0포인트를 기록해 종합 30위를 기록했다.

2.3. 다시 하위 리그로

2008 시즌엔 ART 그랑프리 소속으로 GP2에 출전하였다. 그래도 지난 시즌 GP2에서보다 조금이나마 성장한 모습으로 3점을 기록할 수 있었다. 2008-09 시즌 GP2 아시아 시리즈에선 11경기동안 1번의 포디움에만 오르며 또 다시 하위권 성적을 기록하였다.

2009년엔 ADAC GT 마스터즈 대회에 출전해 13경기 1점을 획득해 종합 32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4. F1 복귀

2.4.1. HRT F1 팀

2.4.1.1. 2010 시즌
4월 17일, 신생팀인 HRT는 야마모토를 테스트 드라이버로 발탁하였고, 몇 달 뒤인 7월 8일엔 브루노 세나를 대체하여 F1 그리드에 복귀하게 되었다. 물론, HRT의 레이스카가 그리드에서 최하위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기에 경쟁은 불가능이었고, 사실상 나홀로 주행하는 격이었다. 복귀전인 영국 그랑프리에선 20위를, 이후 나머지 4경기에선 노 포인트에 그쳤다. 15R인 싱가포르 GP는 테스트 드라이버이자 F1에 3년만에 복귀하게 된 크리스티안 클리엔이 대신하였고, 이후 2경기인 일본 그랑프리한국 그랑프리를 끝으로 F1 커리어는 끝나게 되었다.

2.5. F1 이후

세계 최초 전기차 포뮬러 대회인 포뮬러 E의 첫 시즌에 암린 아구리 팀으로 2경기만 참여하였고, 오랜 시간이 흘러 2020년엔 슈퍼 포뮬러 라이트와 슈퍼 다이큐에 각각 3경기, 1경기를 출전하였다. 이미 2012년부터 사회 복지 계열에서 발을 넓혀간 야마모토는 레이싱 커리어에서의 행보를 줄여가는 것으로 보였고, 얼마 후 2021년 10월 31일에 본국 정계에 입성하였다.[5]

3. 연도별 성적

3.1. 포뮬러 1

시즌 경기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2006 슈퍼 아구리 F1 팀 7 0 0 0 0 0 26위
2007 에티하드 알다르 스파이커 F1 팀 7 0 0 0 0 0 24위
2010 히스파니아 레이싱 F1 팀 7 0 0 0 0 0 26위

[1] 일본 포뮬러 3[2] 영국 포뮬러 3[3] 독일 포뮬러 3[4] 포뮬러 3 유로 시리즈[5] F1 드라이버 출신이 정치인이 된 경우는 카를로스 레우테만 등의 전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