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8:41:06

앱파스(AppPaaS)

<colbgcolor=#EAEAEA,#010101><colcolor=#000,#fff> AppPaaS
앱파스
파일:AppPaaS_Logo.png
개발사 NHN Enterprise
제공사 NHN Cloud
용도 클라우드, 서버
지원 언어 한국어
출시 2024년 4월 25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주요 기능3. 특징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AppPaaS_Console.png

NHN Cloud에서 2024년 4월 25일 새롭게 출시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Application Platform as a Service의 줄임말이다.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NHN Cloud)를 제공 중이지만 자회사인 NHN Enterprise에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환경의 이해 부족으로 도입을 주저하거나
도입 후 현실적인 문제로 이탈하는 개인, SMB, 중소기업을 타겟하여
'세상에서 가장 쉬운 클라우드를 제공한다'라는 모토로 개발, 모회사인 NHN Cloud에서 출시하였다.

현재 베타 서비스 중이며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2. 주요 기능

GitHub 계정을 AppPaaS와 연동 후 계정 내 Repository를 즉시 빌드/배포 할 수 있다.
빌드/배포를 실행 하기 전 사용자는 AppPaaS에서 자신이 개발한 개발 언어 및 프레임워크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선택한 언어와 프레임워크에 맞춰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버의 환경이 세팅되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출시 시점의 지원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다.

프레임워크: Spring(프레임워크), Django, React, Vue.js, Angular, Express.js
데이터베이스: MySQL

서버의 스펙은 1vCore/1GB Memory로 매월(30일) 이용 할 수 있는 트래픽도 1GB를 제공한다.
또한 배포 된 서비스의 인프라 자원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 제공 중이다.

3. 특징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인프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로 보여진다.

중견, 대기업의 경우 역할의 세분화로 인프라 영역에 대한 전담 조직이 존재하지만
SMB, 중소기업 또는 스타트업의 경우 IT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구성원으로 기획, 디자인, 개발 역할은 명확한 반면,
인프라 영역은 회색지대로 존재하거나 또는 백앤드 개발자가 겸직하는 상황이 많은데 이 부분을 겨냥한 듯하다.

NHN Cloud는 기업과 직원 모두의 불안요소(운영 중 장애 대응 능력, 인프라 전문성, 학습의 부담)를
자신들의 서비스로 해결 할 수 있으니 서로 잘하는 영역에 집중하자 라는 내용으로 홍보하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향후 업데이트 하려는 계획(오토스케일링, 도메인, 배포 방식 확장 등)과 이용 가이드를 보면
단순히 서버 생성과 빌드/배포로 끝나는 것이 아닌 마이크로 아키텍처 운영과 인프라 관리로 확장하려는 듯 하다.

4. 여담

1. 일반적으로 고객센터를 운영하는 국내 기업들과 달리 외국계 기업처럼 디스코드공식 커뮤니티로 활용하고 있다.
2. 베타 서비스 오픈 전 MVP(Minimum Viable Product) 버전을 앱 개발사에 제공하여 실증 효과를 확인했다고 한다.
3. 서포터즈가 활동 중인 것으로 보이며, 네이버에서 앱파스를 검색하면 서포터즈가 작성한 사용기를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