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25:57

앙굴렘 국제만화제/그랑프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앙굴렘 국제만화제|앙굴렘 국제만화제]]


1. 개요2. 수상 목록
2.1. 1970년대2.2. 1980년대2.3. 1990년대2.4. 2000년대2.5. 2010년대2.6. 2020년대
3. 외부 링크

1. 개요

Grand prix de la ville d'Angoulême

앙굴렘 국제만화제그랑프리만화가들에게 수여하는 평생공로상으로, 국제만화제가 시작된 1974년 이래 매년 수여하고 있다. 따로 상금은 없지만, 프랑스-벨기에 만화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으로 여겨진다. 수상자는 이듬해 만화제의 포스터를 디자인하거나 심사위원장이 될 수 있다.

2. 수상 목록

2.1. 197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1974년 (제1회) 앙드레 프랑캥(André Franquin)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975년 (제2회) 윌 아이스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6년 (제3회) 르네 펠로스(René Pello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77년 (제4회) 지제(Jijé)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978년 (제5회) 장 마르크 레제르(Jean-Marc Reiser)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79년 (제6회) 마리작(Marijac)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2. 198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1980년 (제7회) 프레드(Fre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1년 (제8회) 뫼비우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2년 (제9회) 폴 길론(Paul Gillo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클레르 브르테셰(Claire Bretécher)[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3년 (제10회) 장 클로드 포레스트(Jean-Claude Forest)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4년 (제11회) 장 클로드 메지에르(Jean-Claude Mézière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5년 (제12회) 자크 타르디(Jacques Tardi)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6년 (제13회) 자크 로브(Jacques Lob)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7년 (제14회) 엔키 빌랄(Enki Bilal)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8년 (제15회) 필리프 드뤼예(Philippe Druillet)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휴고 프라트(Hugo Pratt)[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89년 (제16회) 르네 페티용(René Pétillo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3. 199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1990년 (제17회) 막스 카바네스(Max Cabane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1년 (제18회) 고트립(Gotlib)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2년 (제19회) 프랑크 마가린(Frank Margeri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모리스(Morris)[3]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993년 (제20회) 제라르 루지에르(Gérard Lauz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4년 (제21회) 니키타 만드리카(Nikita Mandryka)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5년 (제22회) 필리프 비유맹(Philippe Vuillemi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6년 (제23회) 앙드레 쥘라르(André Juillar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7년 (제24회) 다니엘 구센스(Daniel Goossen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8년 (제25회) 프랑수아 부크(François Boucq)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9년 (제26회) 로버트 크럼(Robert Crumb)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알베르 우데르조(Albert Uderzo)[4]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4. 200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2000년 (제27회) 플로렌스 세스타크(Florence Cestac)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1년 (제28회) 마르탱 베롱(Martin Veyro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2년 (제29회) 프랑수아 스퀴텐(François Schuiten)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003년 (제30회) 레지 루아젤(Régis Loisel)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4년 (제31회) 젭(Zep)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005년 (제32회) 조르주 볼린스키(Georges Wolinski)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6년 (제33회) 루이스 트론헤임(Lewis Trondheim)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7년 (제34회) 호세 무뇨스(José Muño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08년 (제35회) 필리프 뒤피(Philippe Dupuy),
샤를 베르베리앙(Charles Berberian)[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9년 (제36회) 블러치(Blutch)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5. 201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2010년 (제37회) 바루(Baru)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1년 (제38회) 아트 슈피겔만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2년 (제39회) 장 클로드 데니스(Jean-Claude Deni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3년 (제40회) 빌럼(Wille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토리야마 아키라[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14년 (제41회) 빌 워터슨(Bill Watterso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5년 (제42회) 오토모 카츠히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샤를리 엡도[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6년 (제43회) 에르만(Hermann)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017년 (제44회) 코제(Cosey)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018년 (제45회) 리처드 코벤(Richard Corbe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9년 (제46회) 타카하시 루미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6. 2020년대

년도(회차) 수상자 국적
2020년 (제47회) 에마뉘엘 기베르(Emmanuel Guibert)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21년 (제48회) 크리스 웨어(Chris Ware)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2년 (제49회) 줄리 다우쳇(Julie Doucet)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23년 (제50회) 리아드 사투프(Riad Sattou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24년 (제51회) 포지 시먼스(Posy Simmonds)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 외부 링크



[1] 10주년 기념상[2] 15주년 기념상[3] 20주년 기념상[4] 새천년 특별상[5] 만화팀 "뒤피-베르베리앙"으로서 공동 수상[6] 40주년 기념상[7] 특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