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알비레오(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비레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비레오(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알비레오(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비레오(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비레오(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백조자리#구성원|백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데네브 Deneb | 베타성 알비레오 Albireo | 감마성 사드르 Sadr | 델타성 파와리스 Fawaris | |
엡실론성 알자나 Aljanah | 제타성 백조자리 제타 ζ Cyg | 에타성 백조자리 에타 η Cyg | 세타성 백조자리 세타 θ Cyg | |
이오타성 백조자리 이오타1·2 ι Cyg | 카파성 백조자리 카파 κ Cyg | 람다성 백조자리 람다 λ Cyg | 뮤성 백조자리 뮤1·2 μ Cyg | |
누성 백조자리 누 ν Cyg | 크시성 백조자리 크시 ξ Cyg | 오미크론성 백조자리 오미크론1·2 ο Cyg | 파이성 백조자리 파이1·2 π Cyg | |
로성 백조자리 로 ρ Cyg | 시그마성 백조자리 시그마 σ Cyg | 타우성 백조자리 타우 τ Cyg | 웁실론성 백조자리 웁실론 υ Cyg | |
피성 백조자리 피 φ Cyg | 카이성 백조자리 카이 χ Cyg | 프시성 백조자리 프시 ψ Cyg | 오메가성 백조자리 오메가1·2 ω Cyg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백조자리 1 | 백조자리 2 | 백조자리 3 | 백조자리 4 | |
백조자리 5 | 백조자리 7 | 백조자리 30 | 백조자리 61 | |
그 외 백조자리에 속한 항성 | ||||
백조자리 P | HDE 226868 | 백조자리 NML | - |
}}}
}}}
- [ 심원천체 ]
- ||<-5><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nopad>산개성단
틀:별자리 · 백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백조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 ||||
α Cyg 백조자리의 청백색초거성 | ← | β Cyg 백조자리의 이중성 | → | γ Cyg 백조자리의 황색거성 |
β Cyg 알비레오 Albireo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30m 44.93s |
적위 | +27° 57′ 41.48″ | |
별자리 | 백조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a: 적색휘거성 Ab: ? Ac: B형 특이별 Ad: M형 주계열성 B: B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Aa: K2II Ac: B8:p B: B2Ve | |
거리 | A: 364.8+15.6-15.3 광년 B: 395.4+2.9-3.3 광년 A: 111.9+4.8-4.7 파섹 B: 121.3+0.9-1 파섹 | |
반지름 | Aa: 58.69+2.83-3.12 R⊙ Ac: 2.96 R⊙ B: 2.59 R⊙ | |
질량 | Aa: 5.2 M⊙ Ac: 2.7 M⊙ Ad: 0.085 ± 0.007 M⊙ B: 3.7 ± 0.8 M⊙ | |
평균 온도 | Aa: 4,383 K Ac: 10,000 K B: 11,185.9 K | |
나이 | B: 1억 년 | |
운동 | 시선속도 | A: -23.54 km/s B: -18.8 km/s |
자전 속도 | Aa: 8.34 km/s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2.96 | |
절대 등급 | Aa: -2.45 Ac: -0.25 B: -0.31[1] | |
광도 | Aa: 1,259 L⊙ Ac: 79 L⊙ B: 230 ± 90 L⊙ | |
명칭 | ||
β Cygni, 6 Cygni, ADS 12540, CCDM J19307+2758, WDS 19307+2758 A: β¹ Cygni, BD+27 3410, HR 7417, HD 183912/183913, HIP 95947, SAO 87301, FK5 732, MCA 55 Aac, NSV 12105 B: β² Cygni, STF 4043B, BD+27 3411, HD 183914, HIP 95951, HR 7418, SAO 87302 | ||
출처 | ||
위키피디아&Gaia achive [1] [math(m0 = 5.11 - 0.000774 = 5.109226)] [math(M = 5.109226 + 5 - 5 \times 2.084)] |
1. 개요
알비레오 / Albireo백조자리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 쌍성. 최소 100,000년의 주기를 갖는 안시 쌍성이다.[2]
2. 설명
알비레오란 이름은 원래 '닭의 부리' 라는 뜻으로 '알미나르 알다자자'라고 불렀으나 로마 학자들이 이 낱말을 식물의 일종이라고 오해하여 이를 압 이레오(ab ireo)로 번역했다. 이후 사람들이 알로 시작하는 아랍 낱말을 잘못 쓴 것이라고 하여 알비레오가 된 것이다. 백조자리의 베타별이지만 실제로는 감마성인 사드르 뿐 아니라 델타성과 엡실론성[3]보다 어두워, 실제로는 백조자리에서 5번째 정도로밖에 밝지 않다. 겉보기 등급은 3등급[4] 정도로 대도시의 밤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별은 아니지만, 이중성의 아름다움 때문에 이름은 매우 유명하다.상술했다시피 이중성으로서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별들 중 하나. 주성인 알비레오 A는 노란색, 동반성인 알비레오 B는 파란색으로 색의 대비가 아주 뚜렷하고 두 별의 각거리도 약 34“떨어져 있어 소구경 망원경으로도 잘 보인다.
알비레오 A도 굉장히 서로 근접해있는 쌍성으로, 최소한 하나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정되어있다. 거기다가 동반성이 한두개 더 있을수 있다는 추측도 존재한다.
알비레오 Ab는 발견 당시 Aa로부터 0.1" 떨어진 5.15등급의 항성이었으나 현재 Aa에 가려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알비레오 B는 Ba, Bb로 나눠지는 항성으로 추정되었으나, 잘못된 관측이라고 하여 다시 단성으로 정정되었다.
알비레오는 400만년 후에는 지구에서 80광년 정도까지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접시기의 겉보기등급은 -0.53 등급으로 대략 100만년 동안 지구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될 예정이다.
알비레오가 안시 쌍성인지 겉보기 쌍성인지는 불명이다. 알비레오가 안시 쌍성인지 겉보기 쌍성인지 판별하기 위해 2013년 가이아 우주 망원경이 발사되었고 관측을 통해 베타별A와 베타별B가 서로 61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5], 측정의 오차 때문에 알비레오가 겉보기 쌍성이라고 단정짓기엔 아직 충분하지 않다.
3. 기타
PULLTOP의 에로게 올려다 봐, 밤 하늘의 별을에서 초반부 이야기를 풀어가는 소재 중 하나로 등장한다.로쿠데나시의 신곡인 Albireo의 모티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