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21:39:37

심판(영화)

'심판'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외국어영화상
제74회
(2017년)
제75회
(2018년)
제76회
(2019년)
엘르
(프랑스)
심판
(독일)
로마
(멕시코)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외국어영화상
제22회
(2017년)
제23회
(2018년)
제24회
(2019년)
엘르
(프랑스)
심판
(독일)
로마
(멕시코)

}}} ||
심판 (2017)
Aus dem Nichts
In the Fade
파일:2017 심판 국내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A29D9A><colcolor=#000> 장르 범죄, 드라마
감독 파티흐 아킨
각본 파티흐 아킨
하크 봄
제작 파티흐 아킨
누르한 세케르시-포스트
안 크리스틴 호만
헤르만 바이겔
출연 다이앤 크루거
촬영 레이너 클로스만
편집 앤드류 버드
미술 타모 쿤츠
음악 조쉬 호미
의상 카트린 아센도르프
제작사 파일:독일 국기.svg 코라존
파일:투명.png 워너 브라더스 저머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테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배급사 파일:독일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다날엔터테인먼트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17년 5월 26일
파일:독일 국기.svg 2017년 11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1월 14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시간 46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5,104,963
북미 박스오피스 $321,011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082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
3.1. 기타 영상
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9.2. 북미 (미국·캐나다)9.3. 중국9.4. 대만9.5. 일본9.6. 영국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

1. 개요

파티흐 아킨 감독 및 각본, 다이앤 크루거 주연의 2017년작 독일 범죄 영화.

제70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아 주연 다이앤 크루거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겼다.

2. 포스터

파일:2017 심판 국내 티저 포스터 1.jpg
파일:2017 심판 국내 티저 포스터 2.jpg
파일:2017 심판 국내 리뷰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리뷰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북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n to the Fade 2017.jpg
북미 포스터 }}}}}}}}}

3. 예고편

▲ 30초 예고편
▲ 메인 예고편

3.1. 기타 영상

▲ 다이앤 크루거 최고의 순간
▲ 박찬욱 러브레터

4. 시놉시스

모든 것을 잃은 여자, 그녀의 마지막 심판이 시작된다.

의문의 폭발 테러로 하루아침에 남편과 아들을 잃은 카티아.
견딜 수 없는 고통에도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자 법정에 증인으로 나선다.
하지만 끝이 보이지 않는 법정 싸움은 결국, 그녀에게 마지막 선택을 하게 만드는데…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5723272, IMDb_user=7.1,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in_the_fade, 로튼토마토_tomato=75, 로튼토마토_popcorn=71,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in-the-fade, 메타크리틱_critic=65, 메타크리틱_user=7.3,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in-the-fade, 레터박스_user=3.6,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31371, 알로시네_presse=2.9, 알로시네_spectateurs=3.6,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74100, Filmarks_user=3.7,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26930375, 도우반_user=7.4,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Oo0N8P, 왓챠_user=3.5,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62135, 키노라이츠_light=92.5, 키노라이츠_star=3.5,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82518, CGV_egg=97, ## CGV_highlight=display,
MRQE=aus-dem-nichts-m100120701, MRQE_user=69, ## MRQE_highlight=display,
TMDB=423646-aus-dem-nichts, TMDB_user=69,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aus-dem-nichts, 무비파일럿_user=6.9,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in-the-fade-2017, RogerEbertcom_user=2.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씨네21=50985, 씨네21_expert=6.33, 씨네21_user=7.67,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fade-review,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In the Fade proves Diane Kruger is more than up to the task of carrying a movie -- even if the end result doesn't quite live up to her remarkable work.
<심판>은 비록 최종 결과물은 다이앤 크루거의 놀라운 연기에 부합하는 작품이 아닐지라도, 그녀가 단순히 한 영화의 주연급을 맡을만한 배우라는 것 그 이상임을 증명하는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심판 그 이후

폭탄 테러로 아들과 남편을 잃은 카티아(다이앤 크루거)는 용의자를 목격한 증인으로 법정에 선다. 그러나 범인을 잡아주리라 믿었던 재판은 예상과는 다르게 흘러가고, 그는 눈앞에서 가족을 죽인 이들이 풀려나는 것을 지켜본다. 정의를 구현하고 죄의 무게를 달아준다고 믿었던 법의 허점은 그렇게 한 인간을 기저에서부터 집어삼킨다. 생의 목적을 상실한 이의 슬픔과 분노, 허무를 뼛속까지 체득한 듯한 다이앤 크루거의 연기가 영화를 한 단계 격상시킨다.
- 이지혜 (★★★)
정의는 누구의 것인가

폭발 테러 사건으로 하루아침에 남편과 어린 아들을 잃은 여인은 정의마저 자신을 저버리자 스스로 결단을 내린다. 터키계 독일인 감독 파티 아킨은 인종 혐오와 차별, 법 제도의 문제가 우리 삶을 어떻게 뒤흔들고 파괴하는지를 한 개인에 초점을 맞춰 고발한다. 가족의 역사를 돌이키게 하는 영상의 활용이나 치밀하게 촬영한 법정 장면은 슬며시 감정의 파고를 일으킨다. 결말에 닿을수록 복수라는 행위에 대한 물음이 거대해진다. 다이앤 크루거의 맨 얼굴은 고통의 상흔보다 삶의 파도에 정면으로 맞서는 한 인간의 결연한 의지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칸영화제가 여우주연상을 안긴 이유일 테다.
- 정유미 (★★★☆)
영혼의 풀무질 그리고 ‘올해의 파국’
- 박평식 (★★★☆)
칸 여주 수상작치고는…
- 이용철 (★★★)
다이앤 크루거의 단단한 표정에 설득된다
- 이화정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1]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 이 때문에 다이앤 크루거는 연기를 위해 실제 사건의 피해자 분들을 찾아가 직접 대화를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