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7ab537><colcolor=#ffffff> 실크 로드 Silk Road | |
| |
운영자 |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1] |
국가 |
|
종류 | 블랙 마켓 |
언어 | 영어 |
회원가입 | 선택[2] |
설립일 | 2011년 2월 |
폐쇄일 | 2013년 10월[3] |
1. 개요
실크 로드(Silk Road)는 2011년 1월 부터 운영하다, 2013년 10월에 폐쇄된 다크 웹의 유명한 블랙 마켓(black market)이다.2. 운영
|
<colbgcolor=#7ab537,#212529> 실제 실크로드 접속 스크린샷[4] |
실크로드 설립 초창기에는 유저의 수가 많지 않았다. 운영자 로스 울브리히트는 사이트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 Shroomery # 라는 인터넷 커뮤니티와 각종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현지 사용자인 척 연기해, 실크 로드라는 익명으로 무엇이든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하려는데 이용해 본 적 있는 사용자가 있냐며 간접적으로 홍보했다.[6] 이런 홍보로 수많은 사용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었으며, 유입된 사용자들의 실크 로드 홍보로 인해 사이트의 규모는 더욱 더 불어나게 되었고 사이트가 폐쇄되기 전 구매자는 146,946명에 달했다. 거래액 또한 1조원을 돌파하여 인터넷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마약이 실크로드를 통해 유통되게 되었다.
2년 10개월이라는 사이트 운영 기간동안, 다양한 물품을 팔았지만[7] 주요 품목은 마약이었다.
실크 로드에서의 거래는 당시로서는 익명 보안이 철저하다고 알려진 비트코인으로 했다. 실크 로드는 비트코인 거래를 허용한 최초의 P2P 거래소 중 하나였다. 이 영향으로 본격적인 수요가 생긴 비트코인의 가격은 2011년 6월 32달러로 급등하게 되었으며, 초창기 비트코인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3. 폐쇄
2025년 1월 2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후 자신의 대선 공약을 지키기 위해 로스 울브리히트를 "전면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사면하였다.#
4. 여담
- 실크로드 웹사이트를 제작한 로스 울브리히트에 관한 영화가 2021년에 개봉했으며, 영화 제목도 실크 로드이다. 제작에 6백만 달러가 들었지만 수익은 14만 달러에 불과해 흥행에는 실패했다.
- 사이트의 개설 목적은 자유지상주의 때문이었다고 한다.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으며 모든 유저들이 익명으로 무엇이든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었다.
- 실크 로드의 사이트가 폐쇄되고나서 로스 울브리히트의 지시로 Slik Road 2.0이라는 파생 사이트가 운영되었지만 이들 역시 모두 체포되었다.
- 2024년 12월 30일, 미국 법무부는 2020년 11월에 실크로드에서 압수한 비트코인 69,370개의 매각을 허가했다. 이는 2025년 1월 기준 65억 달러(약 9조 4731억원)어치이다.#
5. 관련 문서
[1] 로스 울브리히트 외에도, 수많은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운영자들이 체포되었다.[2] 사이트 내 상품들을 둘러보는 것은 가능했지만, 주문, 판매자와 채팅 등은 회원가입이 필수였다.[3] 체포 후 바로 폐쇄되었다.[4] 마약 외에도, 마이클 잭슨의 음반같은 일반적인 물건도 판매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5] Silk Road founder loses his appeal, will serve a life sentence for online crimes (May 31, 2017) #[6] 이렇게 로스 울브리히트가 여러 커뮤니티에 남긴 흔적이 훗날 추적과 체포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7] 처음에는 마약을 위주로 판매하였지만, 사이트의 규모가 커진 후부터는, 악성코드, 불법 콘텐츠, 도난당한 SNS 계정, 위조 지폐, 신용 카드 정보, 해킹 기술 등을 판매하여 수익금을 더욱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