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16:15

시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만화 다윈즈 게임의 용어}}}에 대한 내용은 [[시길(다윈즈 게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길(다윈즈 게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길(다윈즈 게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만화 다윈즈 게임의 용어: }}}[[시길(다윈즈 게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길(다윈즈 게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길(다윈즈 게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특징3. 시길의 당파

1. 개요

Sigil.

D&D의 지명. 플레인스케이프 세계관에서 등장하는 도시로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의 배경이기도 하다.

2. 특징

파일:external/static.giantbomb.com/1479159-500px_outer_planes.jpg
파일:external/www.nwn2planescape.com/sigil.jpg

완전 중립 성향의 아우터 플레인인 아웃랜드(Outland)에 위치하며, 아웃랜드의 중심에 있는 높이가 무한대인 산봉우리 위에 둥둥 떠있다. 높이가 무한대인데 시길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시길이 존재한다'는 관념이 물리적인 현상이나 감각을 초월하기 때문이라는 다소 아스트랄한(...) 이유로 설명된다. 도시의 형상은 도넛같은 원환체(Torus) 구조물 안쪽에 도시의 각종 건물들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 모습으로, 흡사 헤일로스페이스 콜로니를 연상시키는 묘한 구조다.


이런 식.

'문의 도시', '차원의 교차로'라고 불릴 정도로 다른 차원을 통하는 문이 많다. 다른 플레인에 힘들게 차원을 열거나 '위대한 길(The Great Road)'을 뚫는 것보다 시길에서 가는 게 훨씬 편하다. 이 때문에 시길은 항상 차원을 통과하는 여행자들로 북적북적하다. 하지만 무언가 떡고물이 떨어질만한 곳으로 가는 문은 전부 특정한 열쇠(물건이나 생각, 행동 등)를 알아야만 열 수 있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은 건너편에 어떤 위험이 도사리는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시길은 문을 통해서만 드나들 수 있기에, 문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 시길에 실수로 들어오면 빠져나갈 문을 찾지도 못한 채 문을 드나들기가 겁나서 오도가도 못하는 감옥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 이런 시길의 특성과 시길이 플레인을 잇는 역할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는 The Unity of Rings (1996)[1]가 있다.

시길의 현재 지도자는 레이디 오브 페인이다.

레이디 오브 페인의 절대적인 힘으로 이곳은 다른 아우터 플레인에 비하면[2] 상당히 안전하다. 물론 Ao에게 깝치는 것마냥 레이디 오브 페인이 금지한 것을 위반하면 미로를 헤매거나[3] 온몸의 피부에 베인 상처가 뒤덮이면서 죽는다. 그런데 이 레이디 오브 페인은 보통 존재가 아닌지라 비단 인간뿐이 아니라 수틀리면 신도 죽여버릴 수 있다![4]

2024년 발간된 PHB 2024에 의하면 인간이 이 세계에서 유래했다는 게 학계의 다수설이며 거의 모든 세계의 수많의 종족이 구사하는 공용어 또한 시길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참고로 시길(Sigil)은 D&D의 고유 명사(Product Identity)에 속하며, D&D의 정식 라이센스를 획득하지 않았다면 오픈 게임 라이센스를 준수하더라도 사용은 불가능하다.[5]

3. 시길의 당파

시길에는 각각의 이념을 대표하는 당파들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이념을 가지고 대립한다. 다만 이 대립이란 것도 레이디 오브 페인이 괜찮다고 허용하는 정도까지만 이루어진다. 그래서 대립에 열중하지 않을 때는 각자 도시의 특정한 기능을 맡아서 담당하는 공무원 역할을 겸한다.

시길과 그 당파에 대한 비교적 자세한 정보는 이곳을 참조하는 게 좋다.

허나 이 모든 것도 도를 넘어선 팩션간의 분쟁인 Faction War가 터진 이후는... 이후 상세한건 플레인스케이프 항목 참조.


[1] 해당 만화는 원래 1996년에 발간될 예정이었으나, 원본 페이지가 소실되면서 제 때 발간되지 못했다. 이 원본 페이지는 WotC가 TSR을 인수한 후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어쩌다 발견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WotC가 무료로 호스팅하고 있다.[2] 사실상 지옥이랑 동일한 로워 플레인은 말할 것도 없고, 다른 플레인도 경우에 따라 원래 주민이 아닌 자에게는 꽤 위험한 경우가 있다.[3] 한 플레이어가 레이디 오브 페인을 이겨보고 싶다고 규칙서에도 없는 미노타우로스 캐릭터를 만들고는 레이디 오브 페인에게 까분 일이 있었다. 출처를 밝히지도 않고서 미노타우로스는 미로에서 길을 잃을 수 없다고 진상을 부리는(엄밀히 말하자면 미노타우로스는 종족 자체로는 이미 존재했고 미궁에서 길을 잃지 않는 능력도 구현되었다. 하지만 AD&D 시절에는 플레이가 가능한 PC 종족이 아니었다) 플레이어 때문에 규칙서를 다 뒤져봐야 했던 DM은 "미노타우로스가 갇힌 미로는 일방통행 복도다. 미로의 출구는 복도를 따라 1억 마일 앞에 있다."고 관광을 보냈다.[4] 능력치가 있는 존재는 언젠가 플레이어나 다른 절대적인 존재에게 사냥을 당할 운명이다. 신이라고 해도 신위가 20 이하라 이 세상과 관련이 있다면 힘의 정도가 규칙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세계관의 변동에 따라서 다른 신위 20 이하인 신들과 싸우다 얼마든지 다치고 죽을 수 있다. 그런데 레이디 오브 페인은 모든 판본을 샅샅이 뒤져봐도 능력치가 아예 없다. 능력치라는게 있는 존재는 일단 머리를 박고 설설 기어야 된다는 뜻이다. 게다가 시길을 받치고 있는 아웃랜드 한가운데 있는 봉우리에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그 어떤 신의 아바타도 디바인 랭크가 점점 떨어지며 결국 지나가던 필멸자 1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아웃랜드에서도 힘을 행사하는 레이디 오브 페인에게는 절대로 이길 수가 없다.[5] 원문 The following items are designated Product Identity, as defined in Section 1(e) of the Open Game License Version 1.0a, and are subject to the conditions set forth in Section 7 of the OGL, and are not Open Content: Dungeons & Dragons, D&D, Player’s Handbook, Dungeon Master, Monster Manual, d20 System, Wizards of the Coast, d20 (when used as a trademark), Forgotten Realms, Faerûn, proper names (including those used in the names of spells or items), places, Red Wizard of Thay, the City of Union, Heroic Domains of Ysgard, Ever-Changing Chaos of Limbo, Windswept Depths of Pandemonium, Infinite Layers of the Abyss, Tarterian Depths of Carceri, Gray Waste of Hades, Bleak Eternity of Gehenna, Nine Hells of Baator, Infernal Battlefield of Acheron, Clockwork Nirvana of Mechanus, Peaceable Kingdoms of Arcadia, Seven Mounting Heavens of Celestia, Twin Paradises of Bytopia, Blessed Fields of Elysium, Wilderness of the Beastlands, Olympian Glades of Arborea, Concordant Domain of the Outlands, Sigil, Lady of Pain, Book of Exalted Deeds, Book of Vile Darkness, beholder, gauth, carrion crawler, tanar’ri, baatezu, displacer beast, githyanki, githzerai, mind flayer, illithid, umber hulk, yuan-ti.[6] 언데드와 더스트맨 사이의 협정 때문에 어느 한쪽이 적대적인 행위를 하지 않는 이상 서로 공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