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합체형
2.1. 잭커 전격대2.2. 전격전대 체인지맨2.3. 초신성 플래시맨2.4. 초수전대 라이브맨2.5. 공룡전대 쥬레인저2.6. 초력전대 오레인저2.7. 격주전대 카레인저2.8. 전자전대 메가레인저2.9. 구급전대 고고파이브2.10. 미래전대 타임레인저2.11. 백수전대 가오레인저2.12. 인풍전대 허리케인저2.13. 폭룡전대 아바레인저2.14. 염신전대 고온저2.15. 천장전대 고세이저2.16. 특명전대 고버스터즈2.17. 수전전대 쿄류저2.18. 열차전대 토큐저2.19.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2.20. 기사룡전대 류소우저2.21.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3. 단독형3.1. 광전대 마스크맨3.2. 초수전대 라이브맨3.3. 고속전대 터보레인저3.4. 지구전대 파이브맨3.5. 조인전대 제트맨3.6. 오성전대 다이레인저3.7. 초력전대 오레인저3.8. 격주전대 카레인저3.9. 특수전대 데카레인저3.10. 굉굉전대 보우켄저3.11. 수권전대 게키레인저3.12. 사무라이전대 신켄저3.13. 천장전대 고세이저3.14. 해적전대 고카이저3.15. 특명전대 고버스터즈3.16. 수전전대 쿄류저3.17. 열차전대 토큐저3.18. 동물전대 쥬오우저3.19.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3.20. 마진전대 키라메이저3.21. 기계전대 젠카이저3.22. 기사룡전대 류소우저3.23. 폭상전대 분붐저
1. 개요
슈퍼전대 시리즈의 피니시 무장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1985년작 전격전대 체인지맨 때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등장한 슈퍼전대의 필살 무기.[1] 시리즈마다 크게 각 멤버들의 무기를 합쳐서 완성되는 합체형, 그리고 호출에 응하여 약간의 변형을 거치는 단독형,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는 편이다.
그 외에 기본무장으로도 피니시를 내는 경우도 있는데, 등장 횟수가 적은 편은 아니나, 단독형과 합체형에 비해 등장이 적은 편이다.
2. 합체형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의 피니시 무기이자 합체형 무장인 전격전대 체인지맨의 파워 바주카 이래로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무장.슈퍼전대를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일 정도로 자주 등장했으나, 현재는 이런 말이 무색하게도 토큐저를 끝으로 더 이상 등장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2.1. 잭커 전격대
- 빅 봄버
기존 멤버 4인이 어디선가 대포 파츠를 각각 꺼내고 그걸 조립후 빅 원이 가져온 포탄을 집어넣어 발사하는 무기.
일단 각 멤버 별로 부품을 꺼내어 합체시켜 쓰기 때문에 합체형으로 볼 수도 있고 그럴 경우 시리즈 최초의 합체 무기가 되겠지만, 어설프게나마 개별무기로서의 기능이 있는 파워 바주카 등과는 달리 각 부품 별로 무기로서의 기능이 전무한지라 여러모로 애매한 무기.
2.2. 전격전대 체인지맨
- 파워 바주카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의 피니시 무기이자 합체형 무기. 5개의 무기를 합친 뒤, 후부의 해치를 열고 포탄을 삽입, 발사한다. 36화에서는 체인지맨의 힘의 근원인 어스 포스의 힘을 받아 강화된 포탄을 사용. 국내명은 빅 바주카. - 드래곤 주카 - 체인지 드래곤 전용이며, 파워 바주카로 합체 시, 후부를 담당.
- 그리폰 주카 - 체인지 그리폰 전용이며, 파워 바주카로 합체 시, 선두 포신 담당.
- 페가서스 주카 - 체인지 페가서스 전용이며, 파워 바주카로 합체 시, 하부 커버(?) 담당.
- 머메이드 주카 - 체인지 머메이드 전용이며, 파워 바주카로 합체 시, 스코프 담당.
- 피닉스 주카 - 체인지 피닉스 전용이며, 파워 바주카로 합체 시, 상부 커버(?) 담당.
2.3. 초신성 플래시맨
- 롤링 발칸
슈퍼전대 시리즈 2번째로 등장한 피니시 무기이자, '롤링'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무기답게 시리즈 개틀링처럼 포신을 회전시키면서 발사한다. 참고로 이런 식으로 회전하는 무기는 본작이 최초이자 마지막이다.[2] - 레드 발 - 레드 플래시 전용 발칸이며, 롤링 발칸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멤버들의 것들보다 덩치가 꽤 큰 편이다.(...)
레드 불쌍해요 레드 - 그린 발 - 그린 플래시 전용 발칸.
- 블루 발 - 블루 플래시 전용 발칸.
- 옐로 발 - 옐로 플래시 전용 발칸.
- 핑크 발 - 핑크 플래시 전용 발칸.
2.4. 초수전대 라이브맨
- 트리플 바주카
라이브맨의 개인 무기들 3개를 합쳐서 완성된 형태. 하지만 라이브맨은 피니시를 할 때 주로 바이모션 버스터를 쓰는데다, 트리플 바주카 역시 바이모션 버스터보다 위력이 약간 떨어지는 터라 그렇게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 팔콘 소드 - 레드 팔콘 전용 검이며, 합체 시 라이온 바주카의 윗 부분에 세트된다.
- 라이온 바주카 - 옐로 라이온 전용 바주카이며, 합체 시 트리플 바주카의 포신이 된다.
- 돌핀 애로우 - 블루 돌핀 전용 활이며, 합체 시 트리플 바주카의 양 쪽 사이드 부분이 된다.
2.5. 공룡전대 쥬레인저
- 하울링 캐논
4화에서 새로운 무기를 찾기 위해 찾아간 절망의 대륙에서의 시련을 딛고 얻은 무기.[3] - 용격검 - 티라노레인저 전용 무기이며, 합체 시 하울링 캐논 맨 위에 올려지게 된다.
- 모스 브레이커 - 맘모스레인저 전용 무기이며, 합체 시 하울링 캐논의 메인 포신이 된다.
- 트리케 랜스 - 트리케라레인저 전용 무기이며, 합체 시 좌우 양쪽의 포구가 된다.
- 사벨 대거 - 타이거레인저 전용 무기이며, 합체 시 트리케 랜스와 마찬가지로 좌우 양쪽의 포구가 된다.
- 프테라 애로우 - 프테라레인저 전용 무기이며, 합체 시 활 양쪽에 트리케 랜스와 사벨 대거가 붙게 된다.
2.6. 초력전대 오레인저
- 빅뱅 버스터
- 스타 라이져 - 오 레드 전용 검.
- 스퀘어 크러셔 - 오 그린 전용 너클.
- 델타 톤파 - 오 블루 전용 톤파
- 트윈 바톤 - 오 옐로 전용 쌍절곤.
- 서클 디펜서 - 오 핑크 전용 방패.
2.7. 격주전대 카레인저
- 기가 포뮬러
- 펜더 소드
- 머플러 건
- 엔진 캐논
- 사이드 너클
- 범퍼 보우
- 포뮬러 노바
기가 포뮬러의 각 파츠들을 재조립해서 완성된 형태.
2.8.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 멀티어택 라이플
특이하게도 레드를 제외한 4명의 무기만을 합체시키는 피니시 무장으로, 극중에서는 메가 블랙이 들고 사용한다. 보통 메가 레드의 드릴 스나이퍼 커스텀과 같이 사용한다.
2.9. 구급전대 고고파이브
- 라이프 버드
- 비크 드릴러
- 빌드 디스차저
- 윙 스프레더
- 크로우 앵커
- 테일 인젝터
2.10. 미래전대 타임레인저
- 볼테크 바주카
- 볼 블래스터
- 볼 런처
- 볼 펄서
- 볼 발칸
- 볼 스나이퍼
2.11.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파사백수검
- 라이온 팡
- 이글 소드
- 샤크 커터
- 바이슨 액스
- 타이거 바톤
2.12.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6중련 파이널 가제트
- 5중련 빅토리 가제트
- 3중련 트리플 가제트
- 드라이 건
- 소닉 메가폰
- 퀘이크 해머
- 2중련 더블 가제트
- 혼 브레이커
- 스태그 브레이커
- 닌자미센
- 9중련 슈퍼 다이노 빅토리
빅토리 가제트와 슈퍼 다이노봄버가 합체한 VS버전 특별무기.
2.13.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슈페리어 다이노봄버
- 슈퍼 다이노봄버
- 다이노봄버
- 티라노 로드
- 트리케라 벙커
- 프테라 대거
- 다이노 스러스터
- 윙 팬텍트
2.14. 염신전대 고온저
- 슈퍼 하이웨이 버스터
- 하이웨이 버스터
- 로드 사벨
- 개러지 런처
- 레이싱 블릿
- 정크션 라이플
- 블릿지 액스
- 카울 레이저
- 어텐션 윙 부스터
- 로켓 부스터+윙 트리거
- 캉캉 만땅건
- 캉캉바+만땅건
2.15. 천장전대 고세이저
2.16.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이치간버스터 스페셜 버스터 모드
- 이치간버스터
- 소우간블레이드
- 라이온 블래스터 파이널 버스터 모드
- 라이온 블래스터
- 소우간블레이드
2.17. 수전전대 쿄류저
- 가블캐논
- 가브리볼버
- 가브리칼리버
- 가브리카니발
- 가브티라 데 카니발
- 가브리볼버
- 얼티밋 하울링 캐논
- 하울링 캐논
- 용걱검
- 모스 브레이커
- 트리케 랜스
- 사벨 대거
- 프테라 애로우
- 다이노 봄버
- 티라노 로드
- 트리케라 벙커
- 프테라 대거
- 켄트로스파이커
- 가브티라 팡
- 파라사 샷
- 스테고 실드
- 자크토르 슬래셔
- 드리케 랜스
- 잔더 썬더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에서 등장. 쥬레인저, 아바레인저, 쿄류저의 합체무기를 전부 합체시켜 만들었다. 그런데 이름이 얼티밋 하울링 캐논인데도 불과하고 네오 그리포자를 공격하는 방식은 그 거대한 대포를 밀어서 타겟을 그냥 찌르는 거다. 그런데 이후 그리포자가 이 공격을 흡수해 우주 대 공룡 보르도스를 부활시켜서 활약성이 없다(...)
2.18. 열차전대 토큐저
- 렌케츠 바주카
- 레일 슬래셔
- 홈 트리거
- 신호 해머
- 터널 액스
- 텟쿄 클로
2.19.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2.20.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 모사 브레이커
- 모사 체인저
- 모사 블레이드
2.21.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 키라메이 버스터
- 키라메이 샷
- 키라메이 소드
3. 단독형
1987년작인 광전대 마스크맨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피니시 무기. 보통은 전대 멤버가 호출하여 날아와 약간의 변형을 거쳐 완성되는 경우가 많다.초기작을 시작으로 대부분 커다란 바주카 형태의 무장이 등장하였으나, 현재는 고카이 갤리온 버스터를 마지막으로 명맥이 끊긴 상태. 최근 작품에서는 대부분 메카와 연동되거나 강화 폼 변신에 사용되는 등 부가적인 기능을 탑재한 무장이 많아졌다.
기본무장으로 피니시를 하는 경우는 서술하지 않는다.
3.1. 광전대 마스크맨
- 쇼트 봄버
- 제트 캐논
3.2. 초수전대 라이브맨
- 바이모션 버스터
3.3.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V터보 바주카
3.4. 지구전대 파이브맨
- 어스 캐논
3.5. 조인전대 제트맨
- 파이어 바주카
3.6.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슈퍼 기력 바주카
3.7. 초력전대 오레인저
- 오레 바주카
- 자이언트 롤러
3.8. 격주전대 카레인저
- 기가 부스터
3.9.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D 리볼버
3.10. 굉굉전대 보우켄저
- 듀얼 크러셔
3.11.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3.12.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열화대참도 대통 모드
3.13. 천장전대 고세이저
3.14. 해적전대 고카이저
3.15.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라이온 블래스터
3.16. 수전전대 쿄류저
- 가브티라 데 카니발 - O[8]수전 빅토리 (+맥시멈) 피니시
3.17. 열차전대 토큐저
- 대회전 캐논 - O연결 슛
3.18. 동물전대 쥬오우저
- 웨일 체인지 건
3.19.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3.20.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3.21. 기계전대 젠카이저
3.22.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 맥스 류소우 체인저
- 류소우 칼리버
3.23. 폭상전대 분붐저
[1] 체인지맨 이전의 전대들은 대부분 동료들이 힘을 합쳐 쓰는 합체기였다.[2] 덩치가 크고 내부에 전동 모터가 있어 무게도 무거우며, 포신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 때문에 중심 잡기도 힘들었다. 롤링 발칸 이후로 회전하는 피니시 무기는 등장하지 않고 있다.[3] 이곳은 절망하게 되면 돌이 되어버린다. 또한 정해진 기간 안에 무기를 얻지 못해도 돌이 된다.[4] 파라사 샷, 스테고치 실드, 자크토르 슬래셔가 합체해 슬래시 실드샷이라는 무기가 되기도 했는데, 최종화에서 딱 한 번 사용되었다.[5] 단독형이긴 하나 피니시를 위해 변형할 때 키 본(Key Bone)을 입에 문다.[6] 단독형이긴 하나 피니시를 낼 때 신켄 마루를 장착한다.[7] 완구 버전에서는 텐소우더를 장착해도 인식이 안될 뿐더러, 음성 기믹 역시 고세이 텐소드가 아닌 미라클 고세이 다이나믹 카드를 삽입하는 텐소우더에서 흘러 나온다.[8] 사람 수에 따라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