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Super Rugby Pacific | |||
| |||
<colbgcolor=#19a9b4><colcolor=#fff> 기간 | 2025.2.15 ~ 0.00 | ||
팀 수 | 11팀 | ||
참가 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
준우승 | |||
리그 1위 | |||
2024 | 2026 |
1. 개요
슈퍼 럭비의 30번째 시즌.시간은 한국 시간(UTC+09)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2. 참가 클럽
<rowcolor=#fff> 국가 | 클럽 | 연고지 | 경기장 | 감독 |
뉴질랜드 | 블루스 | 오클랜드 | 이든 파크 | |
크루세이더스 | 크라이스트처치 | 아폴로 프로젝츠 스타디움 | ||
하이랜더스 | 더니든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 ||
허리케인스 | 웰링턴 | 스카이 스타디움 | ||
치프스 | 해밀턴 |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 | ||
모아나 퍼시피카[1] | 오클랜드 | 노스 하버 스타디움 | ||
호주 | 퀸즐랜드 레즈 | 브리즈번 | 선콥 스타디움 | |
ACT 브럼비스 | 캔버라 | GIO 스타디움 | ||
와라타스 | 시드니 | 알리안츠 스타디움 | ||
웨스턴 포스 | 퍼스 | HBF 파크 | ||
피지 | 피지언 드루아 | 수바 | HFC 뱅크 스타디움, 처칠 파크 |
3. 선수 이적
4. 시즌 운영
승점은 SANZAAR 시스템을 따른다. 승리 4점, 무승부 2점, 패배 0점을 기본으로 상대 팀보다 트라이를 3개 이상 많이 했을 때 추가 1점, 1~7점차로 패배했을 때 1점을 각각 추가로 부여한다.정규시즌은 각 팀이 홈&원정 각 7경기씩 치르며 작년 대비 총 15라운드에서 16라운드로 조정되었다. 즉, 2번의 휴식주를 가진다는 뜻. 팀이 줄면서 포스트시즌도 8팀에서 6팀으로 조정되었다.
포스트 시즌은 리그 상위 6개팀이 진출한다. 여느 리그처럼 준플레이오프를 가지지 않고, 1위vs6위, 2위vs5위, 3위vs4위로 단판전을 치른 뒤 승리 팀 및 패배 팀 중 정규시즌 순위가 가장 높았던 1팀이 4강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즉, 1위 팀은 지더라도 4강 진출이 보장된다.
5. 정규시즌
<rowcolor=#fff> 클럽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7승 | 2패 | 316/212 (+104) | 32점 | ||
7승 | 2패 | 313/250 (+63) | 32점 | ||
6승 | 3패 | 291/248 (+43) | 28점 | ||
5승 | 3패 | 236/231 (+5) | 23점 | ||
4승 | 1무 | 4패 | 279/283 (-4) | 22점 | |
5승 | 4패 | 218/272 (-54) | 21점 | ||
3승 | 1무 | 5패 | 259/237 (+22) | 18점 | |
3승 | 6패 | 215/238 (-23) | 17점 | ||
3승 | 6패 | 237/265 (-28) | 17점 | ||
3승 | 6패 | 291/330 (-39) | 15점 | ||
2승 | 7패 | 216/305 (-89) | 11점 |
플레이오프
5.1. 라운드별 순위
||<tablebordercolor=#2b628e><rowbgcolor=#2b628e><rowcolor=#fff>||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과거와 달리 팀 수가 홀수가 되어 매라운드 휴식을 가지는 팀이 있기 때문에 경기 수가 다른 것은 고려하지 않고 액면 그대로 순위 비교를 하였다.5.2. 클럽별 요약
<rowcolor=#000> 홈 경기 | 원정 경기 |
6. 플레이오프
7. 통계
- 최다 득점 :
- 최다 트라이 :
- 총 트라이 :
8. 기타
- 2라운드에서 웨스턴 포스가 ACT 브럼비스를 원정에서 잡아낸 건 5060일만의 일이다. 이때 브럼비스는 45실점을 하여 호주 팀간 경기 중 최다 실점을 기록했다. 또한 42득점을 하고도 져서, 지금까지 패배한 경기 중 가장 많은 득점을 하기도 하였다.
- 초반에 뉴질랜드 팀의 상태는 영 좋지 않은데, 브럼비스는 2013년 이후 처음으로 이든 파크에서 블루스를 이겼다. 그리고 블루스는 지난 시즌 우승팀이라는 칭호가 무색하게 개막 2연패를 당했다.
- 와라타스는 6라운드에서 브럼비스전 13연패를 끊어냈고, 9라운드에선 2014년 이후 처음으로 홈 경기 5연승을 달성했다. 지난 시즌 최악의 성적을 거둔 것에 비하면 괄목할 일이다.
- 모아나 퍼시피카는 8라운드에서 창단 이래 첫 2연승을 달성했다.
- 이번 시즌 초반부터 중반까지 이어지고 있는 호주 팀의 선전이 눈에 띄는데, 모든 팀이 8경기를 치른 9라운드까지 호주의 4팀은 3~6위에 포진되어 있다. 이런 호성적에 힘입어 지난 시즌 대비 전체 관중 수가 30% 이상 늘어났다고 한다.
- 이번 시즌 첫 무승부 경기인 10라운드 포스vs허리케인스 경기가 무승부가 되는 과정이 꽤나 극적이다.
[1] 명목상으로는 남태평양 섬나라 연합팀이지만 선수단 구성만 폴리네시아인이 다수일 뿐, 경기장은 뉴질랜드에 있으며 행정적으로도 뉴질랜드 럭비 소속이라 실질적으로 뉴질랜드 팀이라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