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순백의 베일, 일어판명칭=<ruby>白<rp>(</rp><rt>しろ</rt><rp>)</rp></ruby>のヴェール, 영어판명칭=White Veil, 효과1=장착 몬스터가 공격할 경우\, 상대 필드 위의 모든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하고 파괴한다. 장착 몬스터가 파괴되어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은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순백의 베일, 일어판명칭=<ruby>白<rp>(</rp><rt>しろ</rt><rp>)</rp></ruby>のヴェール, 영어판명칭=White Veil, 효과1=①: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효과3=③: 장착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4=④: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자신은 3000 데미지를 받는다.)]
원작보다 여러모로 강력해졌지만, 위험성도 그만큼 강해졌다. 여러모로 상대의 마법 / 함정 견제에 치중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비트 다운으로 승부를 보는 덱에서 채용하면 나쁘지 않은 카드. 원작과 달리 이 카드 자체가 필드에서 벗어나면 효과 데미지를 받고 받는 데미지는 원작에서 이 카드를 장착했던 암드 드래곤 LV10, 푸른 얼음의 백야룡에 맞춰 3000 고정으로 바뀌어서 공격력이 3000을 초과하는 몬스터한테는 상향으로 보인다.
①②③의 효과가 전부 전투에 관한 효과로,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을 봉쇄 / 효과를 무효화하는데다 전투 파괴에 성공하면 아예 전부 파괴할 수 있다. 공격 선언에 반응하는 함정 카드는 물론 스킬 드레인 등 기습적으로 발동해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 시킨 경우라도 장착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있게 된다. 상대에게 공격받은 경우에도 효과가 적용되므로, 지속 카드에 의한 전체 강화 등 전투 보조를 주축으로 한 덱에서는 공격 억제 효과도 생긴다.
하지만 이 카드 자체가 필드에서 벗어나거나 장착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 이 카드가 파괴되는 경우엔 자신에게 막대한 데미지가 돌아오게 된다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파괴되기가 쉬운 나머지 본전도 건지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진다.
컴뱃 트릭도 프리 체인인 것이 많아 배틀 페이즈 개시시 같은 타이밍에 맞으면 전투 파괴가 힘들어진다. 공격 선언이 실행되지 않으면 무효화도 할 수 없어 데먼즈 체인 등으로 공격 선언 자체가 봉쇄되면 효력이 대폭 깎이게 된다. 몬스터 효과에도 무력하며, 어니스트 같은 카드에 요격을 당할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가뜩이나 허점이 많은 효과인데, 거기다 장착된 상태에서 필드에서 벗어나면 ④의 효과에 의해 3000씩이나 되는 데미지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를 역이용하여 대역전 퀴즈 등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A·O·J 싸이크론 크리에이터에 장착하면 바운스와 자폭 특공을 실행하여 1턴에 6000 이상의 데미지를 받을 수 있으므로 콤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부스터 팩 블레이징 보텍스에서 암드 드래곤 LV10-화이트가 나왔는데, 효과를 보면 대놓고 이 카드랑 같이 쓰라고 만든 듯이 보인다.
상대 몬스터에 장착한 경우에도 ①②의 효과는 적용할 수 있다. 다만 ③의 효과는 이 카드의 컨트롤러 시점에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필요가 있으므로, 컨퓨전 채프 등이 없으면 써먹을 수가 없다.
④의 효과는 체인 락을 만들지 않는다. 효과가 무효가 되었을 때 필드에서 벗어나면 데미지는 생기지 않는다. 카드의 발동에 체인하여 싸이크론 등으로 파괴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데미지는 없다. 한편, '필드에서 벗어나는 것'이 조건이므로 덱으로 되돌아간 경우라도 데미지는 발생한다. 체인 락을 만들지 않으므로 데미지는 지옥문 저편의 총이나 정령의 거울로 반사가 불가능하다.
인잭트론 파워드라면 싱크로 소환한 턴에 파괴되지 않으며, 효과 데미지도 일절 받지 않으므로 장착 몬스터로 적당하다.
기고당당과 상성이 좋으며, 공격시 발동하여 장착시키면 ①과 ③의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면 발동이 안 되므로 싸이크론 등을 쓰게 하지 않고 제거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고당당의 효과로 장착한 카드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되므로 데미지를 받아야 한다.
수출판 일러스트에서는 옆가슴의 노출이 없어졌으며 엉덩이 라인이 사라졌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사이오와 안젤라로 플레이할 시 전용 대사가 나온다. 한국 서비스판에서는 첫 등장 당시 현재의 번역이 아닌 '백색의 베일'로 번역되었으나, 이후 패치로 OCG와 동일한 번역으로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