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8:09:37

소양강 처녀

소양강처녀에서 넘어옴
소양강 처녀
파일:소양강 처녀.jpg
<colbgcolor=#f5f5f5,#1f2023><colcolor=#373a3c,#ddd> 가수 <colbgcolor=#fff,#2d2f34>김태희
음반 소양강 처녀 / 밤차로 떠난 사람
발매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970년 10월 5일
러닝타임 ??:??
장르 트로트
작사 반야월
작곡 이호
노래방 금영엔터테인먼트 <colbgcolor=#fff,#2d2f34> 504
TJ미디어 158

1. 개요2. 영상3. 가사4. 커버5. 소양강 처녀 모델6. 소양강 처녀상

[clearfix]

1. 개요

반야월이 작사하고 이호가 작곡한 대한민국가요이자 한국인의 대표 애창곡. 1969년에 만들어졌으며 1970년 발표되었을 때 가수 김태희[1]가 불러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로서는 엄청난 앨범 10만 장 판매액을 올렸다. 처음에는 제목을 춘천 처녀라고 하려 했으나, 어감이 더 괜찮은 소양강 처녀라고 지었다고 한다. 노래배경이 된 소양강이 춘천시내를 흐르는 강이기에 춘천시를 대표하는 가요[2] 중 하나로 꼽힌다.

2. 영상

3. 가사

가사
해저문 소양강에 황혼이 지면
외로운 갈대밭에 슬피우는 두견새
열여덟 딸기같은 어린애 순정
너마저 몰라주면 나는 나는 어쩌나
아아 그리워서 애만 태우는 소양강 처녀

동백꽃 피고 지는 계절이 오면
돌아와 주신다고 맹세하고 떠나셨죠
이렇게 기다리다 멍든 가슴에
떠나고 안오시면 나는 나는 어쩌나
아아 그리워서 애만 태우는 소양강 처녀

달 뜨는 소양강에 조각배 띄워
사랑의 소야곡을 불러주던 님이시여
풋가슴 언저리에 아롱진 눈물
얼룩져 번져나면 나는 나는 어쩌나
아아 그리워서 가슴 태우는 소양강 처녀

4. 커버

이후 한때 흥한 유행가로 잊히나 싶었지만 1992년에 가수 김재희[3], 한서경[4]이 이 노래를 잇따라 커버하여 발표하였고 때마침 대한민국에서 노래방 열풍이 시작되면서 부르기 쉬우면서도 흥겨운 이 노래가 다시 크게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한서경이 이 노래를 커버하였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하던 어르신들이 노래방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국민학생[5]을 보고 '네가 이 노래를 어떻게 아는 거냐'며 당황하는 해프닝이 생기기도... 지금까지도 온 국민에게 사랑을 받는 인기 애창곡이다.

2018년 11월 26일 WINNER의 멤버 송민호가 발표한 첫 솔로앨범 <XX>의 타이틀곡 '아낙네'가 소양강 처녀를 샘플링한 것으로 큰 화제를 모았다.

5. 소양강 처녀 모델

이 노래에 등장하는 소양강 처녀의 모델이 된 인물은 1969년 당시 가수지망생이었던 윤기순(1953년생)이라는 실존 인물이다. 반야월1990년, KBS전국노래자랑과 한 인터뷰에서 소양강 처녀의 노래 모델인 윤기순의 실명을 거론했다.

윤기순은 춘천에서 서울로 상경하여 명동 근처에 있던 한국가요반세기가요작가동지회 사무실에서 일하던 사람이었는데 7남매(2남 5녀)의 맏딸으로 돈 많이 벌어서 동생들 학비나 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상경했다. 애초에는 전화 교환원을 꿈꾸었다고 한다.

서울에 도착한 직후 그녀는 전화 교환원을 양성하는 통신학원에 다녔으나 전화 교환원 월급으로 가족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새로운 일거리를 찾기 위해 한 달만에 통신학원을 그만뒀다.

그리고 가수가 되면 좋아하는 노래도 할 수 있고 돈도 많이 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무작정 김종한 작곡사무실을 찾아갔다고 한다. 김씨는 작곡가 박시춘, 작사가 반야월이 소속돼 있는 서울 가요작가 동지회 사무실을 소개해 줬고 그녀는 가요작가 동지회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전화도 받고, 심부름도 하고, 노래도 배웠다.

1968년 6월 어느 날 소양강 상류에서 민물고기잡이를 하는 아버지가 사는 춘천의 고향집으로 자신이 일하던 사무실 사람들을 초청하였고 회장인 반야월을 비롯해 작사가 고명기·류노완·월견초 선생 등 가요 작가 사무실 일행 10여 명이 초청에 응했다. 이 때 얻은 시상을 반야월이 노랫말로 옮겨서 작곡 작업과 음반 녹음 작업을 거쳐 1970년에 발표한 노래가 "소양강 처녀"이다. 실제로도 가요작가 사무실 동지회 사람들 사이에서 윤기순의 별명이 소양강 처녀였다고 한다.

노래는 크게 히트했지만 정작 주인공인 윤기순은 잊혔다. 1970년에 음반을 발표하기는 했지만 별 소리 소문 없이 묻혔고 이후 전국을 돌며 밤무대 가수를 했다고 하며 혼인도 하지 않았다. 노래를 너무 불러서 목이 상해 성대결절수술을 두 번이나 받기도 하고 돈을 모아 아버지께 젖소를 사드렸지만 우유 파동으로 목장이 망하는 등 상당히 험난한 삶을 살았다.

그렇게 잊힌 실제 소양강 처녀는 1995년 노래비를 세울 때 작사가 반야월이 직접 밝힌 뒷이야기로 말미암아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다. 춘천시가 경찰청의 협조로 윤기순을 찾아냈을 당시 고향을 떠나 광주에 살고 있었으며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서 밤무대 가수로 한동안 활동하다가 2006년 어머니를 모시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지금은 춘천시 사북면 지암리 집다리골에서 '풍전가든'이란 민박을 겸하는 음식점을 경영한다.

춘천시에서는 온 국민에게 사랑받는 히트곡소양강 처녀를 기념하기 위해 2005년에 5억 5천만 원을 들여 소양강 강변에 기념비를 세웠다.

또 다른 소양강 처녀의 주인공으로는 1967년 3월 당시 18세로 춘천여자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박경희(1950년생)라는 얘기도 있다. 박경희는 춘천시 소양1교 인근에서 호수여관과 선박업을 운영하는 부모님과 함께 살았다. 당시 반야월은 이 여관에 1달 가량 머무르며 곡을 썼고 소양강 상류 작은 섬인 고산이라는 곳을 자주 찾았다. 이때 박경희는 반야월을 섬까지 한두 차례 배로 데려다 줬다고 한다. 반야월은 여관을 떠날 때 박경희에게 “네 사연을 노랫말로 썼으니 나중에 레코드가 만들어지면 춘천에 와서 전해 주겠다”는 말을 남기고 호수여관을 떠났다고 한다. 반야월은 생전에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소양강 처녀는 어느 특정 인물의 얘기를 쓴 게 아니라 소양강 인근에 살던 모든 처녀를 주제로 한 것”이라고 밝힌 사실도 있다.

박경희는 소양강 처녀 노래를 자주 듣지는 않는다고 했다. 노래를 듣게 되면 그 시절의 기억이 생생하게 되살아나 가슴이 먹먹해지기 때문이다.

시기상으로도 가사를 지은 것이 두 사람을 모두 만난 후의 일이어서 두 사람 다 반야월의 작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강원도청과 춘천시청에서는 두 사람 모두 소양강 처녀의 주인공으로 인정한다.[6]

6. 소양강 처녀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양강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LJ.jpg
춘천시 근화동에 있는 소양강 처녀상. 뒤에 있는 다리는 강북지역과 시내를 잇는 대표적인 다리인 소양2교이다.


[1] 1951년 생 가수로 본명은 박영옥.[2] 춘천가는 기차도 춘천을 대표하는 가요로 유명하다.[3] 본명은 김남화. 김흥국의 히트곡인 '59년 왕십리'의 원곡인 '왕십리'를 부른 가수. 그 외에 알려진 노래는 아네모네, 애증의 강, 외로워 말고 행복해 주오 등이 있다. 부활의 보컬이었던 김재기의 동생과는 동명이인이다.[4] 본명은 고연숙. 제주도 출신으로, 앞서 낭랑 18세의 커버곡으로 알려졌다.[5] 초등학생이 아니다.[6] 하지만 아무래도 반야월이 실명을 언급한 적이 있는 윤기순 쪽으로 기운다. 더군다나 반야월은 상당히 장수했다. 96세였던 2012년까지도 생존하였는데 반야월이 죽기 전까지 박경희를 언급한 기록을 찾아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