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시내버스 | 세종교통 | 세종도시교통공사 | 세종제일운수 |
DRT | - |
동건운수 계열사 | |
동건운수 | 세종제일운수 |
세종제일운수 Sejong Jeil Bus | |
<nopad> 파일:세종제일운수.jpg | |
업종명 | 운수업 |
설립일 | 2024년 4월 24일 |
대표 | 백창욱 |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1008(누리동 194-24) |
전화번호 | 044-868-7701 |
차량번호 | 세종 75 자 70##, 71## |
보유대수 | 55대 |
[clearfix]
1. 개요
광역급행 M1번 | 지선 272번 |
대전광역시 소속의 시내버스 회사인 동건운수에서 2024년 3월에 세종시 시내버스 5개 노선을 낙찰받으며, 이를 운영하기 위한 세종 법인의 필요성에 따라 2024년 4월 세종법인 설립이 세종제일운수의 시작이다.
2. 운행 노선
개통 전 자세한 내용은 2024년 세종 시내버스 개편 또는 해당 노선 문서 참고.<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271 | 누리동 | 산울마을 - 도담동 - 양지중학교 - 산울마을 | 누리동 |
272 | 해밀고 - 늘봄초 - 공정위 - 국립세종도서관 - 세종예고 - 나릿재마을 - 세종시청,이응다리 - 글벗초 - 국책연구단지 - 집현동 | 공동캠퍼스 | |
273 | 해밀동,산울동 - 아름제2중 - 시립도서관 - 정부세종청사 - 국립세종도서관 - 새롬동,나성동 - 첫마을 - 세종버스터미널 - 보람동 - 소담고 - 새나루마을 | ||
274 | 세종소방서 - 정부세종청사 - 세종예고 - 이응다리 - 국립세종수목원.중앙공원 - 세종호수공원 | 누리동 | |
275 | 한별동 - 해밀동,산울동 - 아름초등학교 - 도램마을1단지 - 양지고교 - 국립세종도서관 - 문화체육관광부 - 새롬동.나성동 - 첫마을1단지 - 새롬동커뮤니티센터 - 종촌종합복지센터 | 은하수공원 | |
279 | 해밀동,산울동 - 세종충남대병원 - 범지기마을 - 가재마을 - 가온마을 - 나릿재마을 - 공정위 - 세종호수공원 - 국책연구단지 - 산학연클러스터 | 새나루마을1단지 |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M1[공동배차1] | 누리동 | 해밀동,산울동 - 세종충남대병원 - 아름제2중 - 종촌초 - 다정동커뮤니티센터 - 새롬동커뮤니티센터 - 한솔동(첫마을)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반석역 - 충남대 - 대전교통공사 - 시청환승지 | 정부대전청사광장 |
- 2024년 9월 1일, 271, 272, 273번 3개 노선을 개통해 첫 운행을 개시했다.
- 2024년 9월 10일, 세종교통과 공동배차하는 M1번(세종형 M버스)의 운행을 개시했다.
- 2024년 10월 1일,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운행하려 했던 224번이 279번으로 변경되어 279번의 운행을 개시했다.
- 2024년 10월 28일, 275번이 개통했다.
- 2024년 12월 7일, 274번이 개통하며 예정된 노선을 모두 개통하였다.
3. 차량
3.1. 면허 체계
- 세종 75자 70##호(7000~7046) 총 47대[2]
- 7000~7008 BYD eBus-12
- 7009~7046 BYD eBus11
- BYD의 전기 저상버스 차량들이 배정받는 면허.
- 세종 75자 71##호(7100~7107) 총 8대[3]
- 7100~7107 KGM 스마트 110E
- KGM의 전기 고상 좌석버스 차량들이 배정받는 면허.
3.2. 현재 보유 차종
3.2.1. BYD
3.2.2. KGM커머셜
3.3. 차량 역사
- 노선 운영에 앞서 BYD eBus-12를 2024년 7월 15일에 4대, 19일 5대씩 출고하였고, 2024년 하반기 첫 노선 신설을 목표로 7~8월 동안 노선 견습을 진행했다. #
- 전국 최초로 BYD eBus11을 2024년 8월 14일, 19일, 21일, 23일에 걸쳐 각 5대씩, 총 20대를 출고했다.
- 8월 29일 동일 차종 16대를 추가 출고했다.
- 9월 30일 동일 차종으로 경기도 취소분 2대를 추가 출고했다.
- 2024년 8월 29일 KGM SMART 110E 차량 8대를 출고했다.
4. 여담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임에도 외부 LED 전광판 형식이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의 표출 방식을 따른다. 대전 업체인 동건운수의 자회사인 것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4]
- 전체 차량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정류장에 승차하고자 하는 승객이 있더라도 무시하고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