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의 재래시장 | |
주요 재래시장 | 세종전통시장 ‧ 금남대평시장 ‧ 부강전통시장 ‧ 전의전통시장 |
세종전통시장 世宗傳統市場 Sejong traditional Market | |
| |
| |
종류 | 재래시장 |
시장유형 | 상설시장 |
홈페이지 | 세종전통시장 |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새내10길 일대 |
[clearfix]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 정리[1]에 위치해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최대 규모의 재래시장.2. 상권
- 파닭의 원조라고 여겨지는 왕천파닭이 시장 안에 있다. 백종원의 3대 천왕 같은 음식 프로그램에 원조라고 나온 적이 있다. 과거에는 닭을 직접 그 자리에서 잡아서 튀겼기 때문에 가게에 가서 주문하면 그 자리에서 닭모가지가 날아가고 닭이 털 뽑는 기계에서 푸드덕거리는 광경을 눈 앞에서 볼 수 있었다.[2] 주문을 받아야 닭을 잡았기 때문에 30~40분의 기다림은 덤. 지금은 무허가 도살이 금지되어 납품을 받는다고 한다. 왕천닭집은 8시에 문을 닫는데 워낙 주문이 많아서 대기시간만 1시간 정도 잡아야 하므로 미리 전화를 해두는 것이 좋다.
3. 특징
- 조치원복숭아축제를 세종전통시장상인회에서 주최한다.
- 상설시장이지만 매 4, 9일에는 오일장이 선다. 조선시대부터 4, 9일에 조치원장을 하던 것이 계승되었다.
□ 시장개요 1931년 개설, 점포수 427여개 (점포325, 노점102)
◦ 83년의 전통을 지닌 세종전통시장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이 후 2013년 4월에 조치원시장, 우리시장, 재래시장 3개의 시장이 통합.
- “활력있는 경제문화 공간”으로 행복도시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발전.
- 2014년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되며 세종시의 비젼을 실현하는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볼거리 (시장 인근)
◦ 세종호수공원과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의 배경인 조치원 권투체육관.
◦ 베어트리파크 및 교과서박물관은 가족단위 방문객들에게 적합한 장소.
◦ 조치원 복숭아 축제(2014년 8월 2일, 3일 - 세종전통시장 인근).
□ 먹거리
◦ 왕천파닭 : 1970년대 중동건설현장의 요리사였던 김연규 사장이 파닭‘이 현지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자, 귀국후 세종전통시장에 ’왕천파닭’을 열었다. 국내 파닭의 원조.
◦ 광진짜장 : 광진짜장과 탕수육을 먹으러 조치원에 온다할 정도로 최고.
◦ 순대골목 : 10여개의 순대집들이 모여 있는 시장의 끝자락. 쫄깃하고 부드러운 순대의 맛.
4. 교통
4.1. 도로
시장 주변 도로는 왕복 4차로로 건설되었지만, 갓길주차가 심해 사실상 왕복 2차로로 다녀야 한다. 장날이나 명절 등 사람이 붐빌 때에는 차가 엄청 막힌다. 그래서 시장 서편에 주차타워를 건설했고, 이것으로 부족해 시장 남쪽에도 주차타워를 건설했다.
4.2.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 조치원전통시장(11062) ||
효성세종병원 방면 | |
광역 | |
간선 | |
일반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 조치원전통시장(11063) ||
조치원역 방면 | |
광역 | |
간선 | |
일반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 조치원전통시장북측(2348) ||
조치원터미널 방면 |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 조치원전통시장북측(11099/2492) ||
조치원역 방면 |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 조치원역(11071/2192) ||
조치원전통시장/조치원터미널/세종중·고등학교 방면 | |
급행 | |
광역 | |
간선 | |
일반 | |
지선 | |
마을 | |
두루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