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5:26:00

세종대학교/학부/생명과학대학/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종대학교/학부/생명과학대학
파일:세종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상징 역사 학부 대학원 캠퍼스
학생 정보
입학 학사제도 동아리 학내언론 학식
기타 정보
출신인물 학교법인 사건사고 평생교육 웹사이트
}}}}}}}}} ||
세종대학교 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
世宗大學校 바이오産業資源工學專攻
Sejong University
Bioindustry and Bioresourse Engineering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학과장<colbgcolor=#ffffff,#1c1d1f> -
학생회단비
학위명공학사
FM불패바산자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3. 주요 연구 분야

1. 개요

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은 생명체의 생명 현상과 원리를 응용하여 산업에 적용하는 식물 관련 전공이다. 2학년 과정에서는 분석화학, 식물학, 바이오자원공학, 일반생화학, 일반미생물학 및 실험, 유기화학, 일반유전학, 재배학 및 실습, 분자생물학 및 실험 등의 과목을 통해 생명공학과 식물학의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3학년 과정에서는 식물유전공학 및 실험, 식물육종학 및 실험, 식물발달생물학, 채소학, 바이오폴리머공학, 식물세포생물학, 생화학 및 실험, 식물생리학 및 실험, 식물병리학, 유전체학개론, 화훼학개론 등의 과목을 이수한다. 4학년 과정에서는 환경생물학, 식물기능유전체학, 항체공학, 식물분자육종학, 식물스트레스생물학, 종묘생산학, 생체신호전달, 약용식물학, 품종개발 및 보호출원 등의 과목을 이수하며, 이를 통해 생명 현상을 산업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바이오산업자원공학 전공자는 졸업 후 국내외 종자회사, 대규모 종묘/영농기업 등 생명 관련 산업체로 진출하거나 한국농어촌공사, 국립종자원, 농촌진흥청, 국립산림과학원 등 정부기관에 종사할 수 있다.[1] 이외에도 유전자 동정이나 분자 마커 개발 등을 연구하는 교수가 많아 자대 대학원 진학 이후 분자진단회사, 유전체 분석 기업 등에도 취업이 가능하다. 마크로젠, 삼성바이오로직스, 농촌진흥청 연구사 등의 취업 사례가 있다.

2.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3. 주요 연구 분야


[1]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