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2:53:40

석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09B, #4682b4 20%, #4682b4 80%, #3D709B);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량 後梁
숙조 경조 헌조 열조
후당 後唐
의조懿祖 헌조 태조 혜조
의조毅祖 열조 덕조
후진 後晉
정조 숙조 예조 헌조
후한 後漢
문조 덕조 익조 현조
후주 後周
신조 희조 의조 경조
}}}}}}}}}

<colbgcolor=#a283ab><colcolor=#ece5b6>
후진 추존 황제
석욱 | 石昱
성씨 석(石)
욱(昱)
부모 부황 숙조
모후 효간공황후
배우자 효평헌황후
자녀 3남
묘호 예조(睿祖)
시호 효평황제(孝平皇帝)
능묘 강릉(康陵)
1. 개요2. 참고 항목

1. 개요

石昱
생몰년도 미상

오대십국시대의 인물로 다른 이름은 석익(石翌)이다. 생전 진무방어사(振武防御使)를 지냈다. 석빈의 아들, 석소옹의 부친, 석경당의 조부이다. 아내 미씨(米氏) 사이에서 석소옹, 석만우(石萬友)[1], 석만전(石萬銓)[2]을 낳았다.

936년, 손자 석경당후진을 건국하자 묘호 예조(睿祖), 시호 효평황제(孝平皇帝), 능호 강릉(康陵)으로 추존되었으며, 동시에 그의 아내 미씨도 효평헌황후(孝平献皇后)로 추존되었다.

2. 참고 항목


[1] 석중귀가 진왕(秦王)으로 추존.[2] 석중귀가 조왕(趙王)으로 추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