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09:41:58

서애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a07c9c><colcolor=#fff> 서애덕
A2_Duck
파일:이쁜짓.gif
출생 ???[1] 9월 23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별명 애교덕후[2], 곰나노코, 마교[3], 퍼튜버[4], 애구[5][6]
??? [7][8]
혈액형 AB형
탄생석 아메트린[9]
황금 토끼띠
별자리 천칭자리
MBTI ISFJ[10][11]
퍼스널 컬러 보라색[12]
팬덤명 꿀곰 (구/도덕단)
방송 플랫폼 치지직, 유튜브[13]
방송장르 종합게임, 라디오
채널 개설일 2017년 5월 31일
첫 방송일 2019년 2월 8일
([dday(2019-02-08)]일)
버츄얼 시작일 2022년 10월 15일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1c1d1f>트위치 애덕
팔로워 12.1만 명
치지직 서애덕
팔로워 2.2만 명
유튜브 서애덕
구독자 16.4만 명
조회수 30,286,116회
유튜브 서애덕은 꾸앙거렸다.
구독자 1.59만 명
조회수 1,935,589회
유튜브 서애덕의 꿀단지
구독자 1.06만 명
조회수 6,542,494회
기준: 2025년 10월 11일 }}}}}}}}}
서명 파일:서애덕 서명.svg파일:서애덕 서명 화이트.svg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치지직 아이콘.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14]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1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서애덕은 꾸앙거렸다.[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서애덕의 꿀단지[18]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캐릭터
2.1. 현 아바타2.2. 기타 캐릭터
3. 방송
3.1. 방송 규칙3.2. 방송 특징3.3. 방송 용어 & 밈3.4. 구독 배지
4. 컨텐츠
4.1. Just Chatting4.2. 게임 방송4.3. 긴급! 코타츠 토크쇼
5. 노래
5.1. 커버곡5.2. 자작곡
6. 타 스트리머와의 관계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애덕 소개.gif
요! 밍나 곰방와! 애덕이다요!![19]
소개
그리즐리 베어와 너구리가 섞인 곰구리 영물
백두산에서 살다가 적적하신 할머니를 뵈러 지리산까지 내려와 지리산에 터를 잡았다.

종합 게임 및 토크 방송을 진행하는 버츄얼 스트리머이자 유튜버이다.

본래 애니메이션 리뷰 및 개그더빙으로 유튜브를 시작했으며 2022년부터는 버튜버로 활동 중이다. 방송은 주 3~5회 치지직에서 진행하며, 주로 월,수,금 중에 휴방을 하는 편이다[20]. 매주 일요일 혹은 월요일에 팬카페/X(구트위터)/유튜브(서애덕의 꿀단지 채널)를 통해 일정표가 공지되니 참고하자.

현재 개설되어 있는 공식 유튜브는 총 3개.

2. 캐릭터

기본 의상은 곰 귀가 달린 리본 베레모, 눈물 안경, 오버핏 보라색 가디건[23], 단추가 달린 와이셔츠, 멜빵 반바지, 하얀 니삭스, 검은색 구두다.

그러나 신의상이 나오면 주로 신의상을 기본 의상처럼 매일 입기 때문에, 현재 방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습은 아니다. 그래도 유튜브 썸네일이나 애니메이션 쇼츠 등에서는 기본 의상 캐디가 자주 활용되는 편.

2.1. 현 아바타

여름 신의상 애덕 (3D)
파일:애덕하뚜.gif
25.06.28 공개된 여름 신의상. 서애덕 의상 곰모전에서 선정된 작품이다.
흰색과 진보라의 배합, 청량한 숏팬츠와 어깨의 왕리본, 빵실한 베레모, 곰돌이 체인 브로치, 곰발바닥 버클과 옆으로 땋은 꽁지머리, 긴 더듬이와 시원하게 보이는 이마가 포인트다.
바지가 너무 짧은 것 같다며 민망해했지만 덕분에 상의가 길어도 시원해보인다.
파자마 애덕 (3D)
파일:pajama_aduck.gif
25.04.12 공개된 파자마 의상.
회색 구름무늬가 새겨진 편안해보이는 루즈핏 의상이다. 헤어밴드와 맨발의 보라네일이 포인트.
반 묶음 헤어와 어깨에 닿는 장발 헤어파츠도 생겼다.
신의상 애덕 (3D)
파일:애덕 신의상 전신.gif
24.12.27 공개된 신의상 애덕.
파스텔 톤의 색감과 데코라, 곰구리, 오구리가 있는 키링과 가방까지 착장된 모습. 버튜버스러운 모습과 꿀곰이 좋아하는 니즈를 생각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닐로툰+풀 트래킹 애덕 (3D)
파일:gentle_aduck.gif
24.07.28 공개된 닐로툰 셰이더(NiloToon shader)와 풀 트래킹 기술을 적용한 뉴 애덕 2.0
기본 복장인 가디건과 너구리 꼬리가 흔들리는 게 잘 보이는 부드러운 모델링이 특징.
곰 덕 (3D)
파일:서애덕 곰폼 2.jpg
본모습인 곰 폼.
단체 합방같은 외부 콘텐츠에 참여할 때 주로 곰 폼으로 어필한다.
뉴 애덕 2.0 공개와 함께 곰덕도 업그레이드 되었다.[24]

===# 라투디 아바타 #===
라투디덕 SD ver. (Live 2D)
파일:라투디덕.png
팬에게 선물받은 미니미 모습이다.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있는 것이 특징.
라투디덕 LD ver. (Live 2D)
파일:라투디애덕.gif
24.02.08 팬에게 선물받은 라투디 모습이다.
가끔 합방하는 상대가 2D일 경우 그림체를 맞춰서 하고 올 때도 있다.

====# 이전 아바타 #====
태초덕 (Live 2D)
파일:태초덕.png
태초의 버츄얼 모습이다.
구애덕 (3D)
파일:프로필샷 (4).jpg
본격적인 버츄얼 데뷔 이후, 초창기 버츄얼 모습이다.[25]
뉴애덕
파일:귀엽죠(작은거).png
23.12.09 새롭게 공개된 버츄얼 모습이다.
공개 방송 때 너무 많은 시청자가 몰려서 당황해했다.

====# 역대 유튜브 프로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애니덕후 시절의 프로필 사진}}}에 대한 내용은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역대 프로필 사진|역대 프로필 사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애니덕후 시절의 프로필 사진: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애니덕후(인터넷 방송인)#역대 프로필 사진|역대 프로필 사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애니덕후프로필사진2.jpg 파일:애니덕후프로필5.jpg 파일:애니덕후프로필사진6.jpg 파일:애니덕후프로필사진7.jpg 파일:channels5_profile.jpg
<rowcolor=#fff> 애덕 프로필 1 애덕 프로필 2 애덕 프로필 3 애덕 프로필 4 애덕 프로필 5

2.2. 기타 캐릭터

<rowcolor=#fff> 팬 캐릭터(꿀곰) 미니 오너캐(곰구리)
파일:꿀곰_그림판.jpg 파일:곰구리와오구리.jpg
꿀벌 옷을 입은 곰으로, 꿀단지를 모은다.
정해지게 된 과정
함께 있는 초록새는 오구리로, 거의 늘 붙어있다.

3. 방송

3.1. 방송 규칙

<colbgcolor=#a07c9c><colcolor=#fff> 1 생방송 중 주제와 상관없는 타인/사건/자신 언급 금지
2 비방, 욕설 금지
3 시청자 수 언급 금지
4 명령, 쥐흔 금지
5 스트리머가 먼저 질문하기 전 훈수/스포일러 금지
6 채팅/이모티콘 도배 금지 (도배 기준 : 2줄 이상)
7 너무 격한 주접 금지 (ㄱㅇㅇ, 볼 쭈압, 뽀뽀 등)
8 가치코이(유사연애)/베이빙 금지

3.2. 방송 특징

결국 우린 스트리머고,
스트리머는 시청자들에게 재미를 줘야 돼요.

언제나 시청자가 재밌는 방송을 추구한다.
대표적인 예로 트래커 장갑이 고장나는 바람에 팔을 움직일 수 없게 되자, 냅다 드러누워서 방송을 켰던 적이 있다.
그냥 장갑이 고장나서 슬프다고 하면 시청자는 "그렇군요." "음음." 같은 채팅밖에 칠 수 없으니까 그럴 바엔 그냥 슬픈 미친 놈이 되자! 하고 일단 누워서 방송을 킨 거라고. 시청자가 "ㅋㅋㅋ"를 쳐야 하는데 "음음"만 올라오는 방송이 되면 안된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방송관은 애덕이 방송을 끌고 나가는 흐름에서 잘 드러나는 편이다.

3.3. 방송 용어 & 밈

방송을 진행하면서 쓰는 용어들과 밈들

3.4. 구독 배지

#!if st1="style=\"width: 16.5%; max-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10px 0px\"", st2="style=\"background-color: #a07c9c;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 90%\""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1개월.png|width=80%]]{{{-2 {{{#!wiki @st2@
1개월}}}}}}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2개월.png|width=80%]]{{{-2 {{{#!wiki @st2@
2개월}}}}}}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3개월.png|width=80%]]{{{-2 {{{#!wiki @st2@
3개월}}}}}}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6개월.png|width=80%]]{{{-2 {{{#!wiki @st2@
6개월}}}}}}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9개월.png|width=80%]]{{{-2 {{{#!wiki @st2@
9개월}}}}}}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1년.png|width=80%]]{{{-2 {{{#!wiki @st2@
1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1.5년.png|width=80%]]{{{-2 {{{#!wiki @st2@
1.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2년.png|width=80%]]{{{-2 {{{#!wiki @st2@
2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2.5년.png|width=80%]]{{{-2 {{{#!wiki @st2@
2.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3년.png|width=80%]]{{{-2 {{{#!wiki @st2@
3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3.5년.png|width=80%]]{{{-2 {{{#!wiki @st2@
3.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4년.png|width=80%]]{{{-2 {{{#!wiki @st2@
4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4.5년.png|width=80%]]{{{-2 {{{#!wiki @st2@
4.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5년.png|width=80%]]{{{-2 {{{#!wiki @st2@
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5.5년.png|width=80%]]{{{-2 {{{#!wiki @st2@
5.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6년.png|width=80%]]{{{-2 {{{#!wiki @st2@
6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6.5년.png|width=80%]]{{{-2 {{{#!wiki @st2@
6.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7년.png|width=80%]]{{{-2 {{{#!wiki @st2@
7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7.5년.png|width=80%]]{{{-2 {{{#!wiki @st2@
7.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8년.png|width=80%]]{{{-2 {{{#!wiki @st2@
8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8.5년.png|width=80%]]{{{-2 {{{#!wiki @st2@
8.5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9년.png|width=80%]]{{{-2 {{{#!wiki @st2@
9년}}}}}}
#!wiki @st1@
[[파일:구독자 전용 배지 9.5년.png|width=80%]]{{{-2 {{{#!wiki @st2@
9.5년}}}}}}

4. 컨텐츠

4.1. Just Chatting

시청자들과 대화하며 소통하는, 일명 노가리 방송.
소재는 썰풀이, 카페 탐방 등 다양하다.
합방이나 정해진 콘텐츠가 없으면 대부분은 잔잔한 수다로 소통 방송을 진행한다.[55]

4.2. 게임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애덕/플레이한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애덕/플레이한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애덕/플레이한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긴급! 코타츠 토크쇼

애덕이 게스트를 초대하여, 게스트에 대한 궁금한 점을 인터뷰 하는 토크 컨텐츠[56]

애덕의 분석력과 방송 진행력, 철저한 준비성, 입담이 극대화되는 컨텐츠로, 게스트에 따라 또 다른 케미가 돋보인다.
게스트에 따라 다르게 준비되는 배경과 배달음식[57]들을 보는 게 하나의 묘미.[58]
긴급! 코타츠 토크쇼 게스트 리스트
<rowcolor=#fff> 회차 게스트 다시보기 본 채널
<colbgcolor=#a07c9c><colcolor=#fff> 1 <rowcolor=#1c1d1f,#fff> 김토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rowcolor=#1c1d1f,#fff> 가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rowcolor=#1c1d1f,#fff> 애타&바삭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rowcolor=#1c1d1f,#fff> 민수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rowcolor=#1c1d1f,#fff> 오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rowcolor=#1c1d1f,#fff> 모로스(아델 다우트, 카이론 베르티안, 유키토라 신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rowcolor=#1c1d1f,#fff> 감제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rowcolor=#1c1d1f,#fff> 이오몽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노래

과거에는 타고난 음치, 박치였으나 노래실력이 점점 늘은 뒤로 정규적이진 않지만 가끔 노래뱅을 한다.
분야에 상관없이 두루두루 부르지만 주로 한국곡, 랩을 자주 부르는 편이다.

감상포인트는 상황에 맞는 즉석 개사와[59], 랩할 때 또렷해지는 발음.

24.10.23 금사향, 감제이, 임나은이랑 싱크룸을 했다.#

5.1. 커버곡

2024년 10월 기준, 유튜브에 공개된 커버곡은 "3개 국어로 불러보았다" 시리즈뿐이다.
정직한 발음과 센스있는 가사가 중독적이다.[60]
뜬금없이 《강풍 올백》을 3개국어로 불러보았다.
MV
[61]
<colbgcolor=#a07c9c> 원곡 유코피 - 강풍 올백(feat.카아이 유키)
노래/개사 애덕, 파파고
개시일 2023.06.04
믹싱 우주
기획/일러스트 꿀곰냥, 람지
도움 하루나비
[ 가사 ]
ちょっと 나간 순간 Game over
날씨는 いいのに Can't go
Wind가 너무 세서 すすめない
ていき 정기 Regulary 올백머리

지하에 Want to hide て おもいました
風さえ 사라진다면 it would be warm
계속 座りたいな 라고 Think했습니다
いや 아냐 I went outside saying
꿀곰 Honey Bear くま 대난투

ちょっと 나간 순간 Game over
날씨는 いいのに Can't go
Wind가 너무 세서 すすめない
ていき 정기 Regulary 올백머리

x2

髪の毛 Hurricane 올백머리
《자다깨니 야자수》를 3개국어로 불러보았다.
MV
[62]
<colbgcolor=#a07c9c> 원곡 유코피 - 기상 야자수(feat.카아이 유키)
개시일 2023.08.18
노래/개사/영상 애덕
하루나비
믹싱 우주
애니메이션 RAMGI
[ 가사 ]
あぁ-!

기상
palm tree
뭘 すべき

Timeも
아 미친
오쪼라는거
これ

Ok 일어남
一度 smile

Answer
だいよ

水 샥쌱샥
앗!
Getring
worse

……

まぉ
일단
Take a photo

あぁ
기상
palm tree
뭘 すべき

Timeも
아 미친
오쪼라는거
これ


위 palm tree

뭘 すべき
Timeも
아 미친
오쪼라는거
これ

あぁ-!

기상
palm tree

5.2. 자작곡

가끔 자작곡을 만들어 팬들에게 들려준다.[63]

대부분의 자작곡은 2022년 9월 9일, 애덕 유튜브 멤버십 전용으로 업로드 된 영상에서 들을 수 있다.
대표적인 자작곡으로는 비!!, 보폭, 아쿠아댄스 등이 있다.[64]

자작곡 공개 이후 꿀곰들이 어째서 꿀곰을 주제로는 써주지 않느냐고 하자, 2023년 생일 방송에서 꿀곰송을 공개하였다.
이후 2024년 생일 방송에서 꿀곰송 2탄 '하늘을 향해 뛰어(가제)'를 공개하였다.[65]

다만 방송에서 자작곡은 부르지 않는다고 하니 요청은 삼가도록 하자.

2025년 1월 1일, 치지직 생방송에서 자작곡 <비!!!>를 새해 첫 곡으로 불려줬다.#

====# 버튜버 전환 전 자작곡 #====
2019년부터 버튜버 전환 전까지 사운드 클라우드에 게시한 곡 모음[66].

'인생 막사는 노래', '헬스장갔따 굽네치킨', '나는(prod. 一六)' , '가볍게 둠♪칫♪둠♪칫♪(feat.조항문, prod. Arctic)'
총 4곡의 자작곡이 사운드 클라우드와 유튜브 태웅설 채널에 업로드 되어있다.[67]
버튜버 전향 전 자작곡
<colcolor=#fff><rowcolor=#fff> 번호 제목 링크
<colbgcolor=#a07c9c> 1 인생 막 사는 노래 사운드 클라우드
2 헬스장갔따 굽네치킨 사운드 클라우드
3 나는 (prod. 一六) https://youtu.be/nffmPISpUO8
4 반짝반짝 작은 별(feat.조항문) 비공개
5 가볍게 둠♪칫♪둠♪칫♪ (feat.조항문, prod. Arctic) https://youtu.be/AvMZpgcA24E

6. 타 스트리머와의 관계

방송 경력이 긴 탓에 다방면으로 인맥이 넓다.



현재는 방송 상 교류가 적은 스트리머
[ 멤버 보기 · 닫기 ]
## 교류가 생기면 위 서술로 옮길 것
  • 러끼
    블개의 마크 서버에서 알게 됐으며 놀리기 좋은 누나라고 한다. 러끼가 붙여준 탱구라는 별명이 매우 마음에 들었는지 한동안 자신을 탱구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동안은 러끼님의 마크서버에서 종종 만나다가 트위치 한섭이 섭종된 이후 치지직으로 이전하면서 치지직 반상회# 합방을 통해 다시 만났다.
  • 하루나비
    <하루나비 이 사람... 내 인생 가장 강아지같은 남자... 순혈로다 강아지같은 사람.....> 서애덕의 하루 나비 첫인상. 순수한 암살자 타입이라며 놀렸다. 놀랍게도 같이 주루마블#도 했다.
  • 세노
    애니덕후 시절부터 알고 지내며 서로 힘이 된 든든한 사이. 세노라는 이름도 애덕이 지어줬다고...현재 둘 다 버튜버로 활동하는 만큼 종종 합방을 진행하고 있다. 주로 세노형이라고 친근하게 부르며, 애덕이 살살 긁으며 놀리면 요녀석!하고 혼내주려 달려가는 티키타카가 매우 깜찍하다. 애덕에게는 '광대 형'으로 불리며 타 버튜버와 함께 가좍즈라는 RP가 생겨, 자주 찐형제같은 캐미를 보여준다.
  • 오뉴
    '궁민오덕'의 멤버로, 아웃라스트 4인 합방을 통해 친해졌다. 오뉴는 이전부터 겹지인을 통해 애덕을 알고 있었다 하고 애덕은 아이돌 버튜버인 오뉴에게 친절하고 반짝반짝한 이미지를 상상하고 있었으나, 초면부터 고로시에 자연스럽게 합류하는 장난기 가득한 모습에 와장창 깨졌다고 한다. 크리스마스 술방 합방에서 애덕 왈, 현인상은 사이코패스라고…
  • 경식이할아버지
    23년도 초에 창천비무제에서 '무친도사 하렘물'이라는 팀명으로 함께하며 푸근한 할아버지와 손주같은 캐미를 보였다. 이후 마크, 좀보이드 등 여러 합방을 진행하며 친해졌다.
  • 파크모
    2021년때 서로 합방으로 만난적이 있었으며 가끔가다 서로 만나면 인사를 나누는 사이다.[77] 각자 가는길이 달라졌으며, 그 이후로 2024년 진덕춘이 진행한피코파크합방을 진행하였다.
  • 취한무드등
    취한무드등의 전설의 메이드복 캠방 이후 애덕의 방에 호스팅을 하면서 접점을 맺었으며, 이후 둘 사이 공통점인 씹덕성을 바탕으로 더욱 친해지게 되었다. 당시 애덕 유튜브 영상에서 높은 확률로 취무등의 댓글을 볼 수 있었다.
  • 앵보
    꽤 오래전부터 방송적으로 도움을 많이 주고 받은 사이. [78] 서로 합방도 자주하고 방송 대타도 뛰어주며 생일에도 축전을 보내는 등 사이좋게 지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금사향
    스트리머 애덕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원래 금사향의 팬으로 금사향과 처음 대화했을 때는 마치 좋아하는 연예인을 만난 듯한 기분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친구사이가 됐지만 많은 도움을 받기도 했고 팬이었던 만큼 금사향을 특별하게 생각한다. [79] 금사향의 생일 때는 직접 가사를 붙인 축하 노래를 USB에 담아 선물했다고 한다.
  • 견자희
    첫합방부터 애덕이 초코우유 애교쪼꼬우유를 보여주었던 스트리머이다. 테이블탑시뮬레이터 이후 인사일런스 등의 게임으로 합방을 했다.
  • 공파리파
    첫만남부터 빠꾸없는 공파리파의 드립에 많이 당황했지만 서로 말을 잘 들어주다보니 이상하게 대화 자체는 잘 진행된다. 특색있는 방송의 예시를 들 때 가장 먼저 언급하며 자신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공파리파를 여러 의미로 대단하게 생각한다고 한다.
  • 김규식
    금사향의 소개로 알게 되었으며 항상 애덕을 놀리지만 형으로서 애덕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애덕에게는 금사향과 함께 고마운 스트리머 중 하나. 하지만 지금까지 당한 게 있다 보니 김규식이 호의를 보여도 아니꼽게 보인다고 하며 방송을 하면서 성격이 바뀐 가장 큰 이유는 김규식에게 스트레스를 받아서라고 한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방송 중의 컨셉이고 실제로는 정말 아끼는 형인듯 하다.[80] 김규식을 욕하더라도 진심은 아니라고 하며 오히려 김규식을 욕하는 채팅을 보고 손에 꼽을 정도로 정색하며 부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단즈
    배틀 그라운드 합방을 하면서 빠르게 친해졌다. 단즈의 말투가 중독성이 있다고 좋아하며 때문인지 일부 말투가 옮었다. 애덕이 편하게 대하는 스트리머 중 한 명이다.[81] 애덕의 생일이 되자마자 가장 먼저 연락해서 왜 태어났냐며 축하해 줬다고 한다.
  • 룬레이
    처음에는 매운 맛에 많이 당황했지만 여러 번 보게 되면서 귀여운 동생처럼 대하게 됐다. 서로가 만만하다고 생각하는 몇 안 되는 사람이어서 나름 좋아한다.
  • 망개
    단즈와 자주 합방을 하다가 친해졌으며, 애덕과 함께 합방을 하면 누가봐도 재밌어하며 즐거워 하는 모습이 확연하게 보여진다.
  • 수담
    어느 날 수담에게 메일로 고백을 받고 친구가 됐다고 한다. 동년배 친구이기 때문에 많이 챙겨주는 편이다. 오요와 함께 담요덕으로 묶어서 합방하기도 한다.[82]
  • 악녀
    김규식의 소개로 알게 되었으며 첫 합방 때 인형에 낚여 내기했다가 악녀를 주인님이라고 부르게 된다.[83] 이후 한동안은 악녀를 피해 다녔으나 결국 실패하여 노예의 입장을 받아들이게 된다. 퉁명스러운 태도를 보이며 악녀를 골탕 먹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순종적인 코시와 캐릭터가 겹치는 걸 피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실 사심 채우기다[84] 악녀의 졸업 제안을 받아들여 2020년 1월 1일부로 노예를 졸업하게 됐다.[85] 애덕 본인이 금사향, 김규식과 함께 방송하면서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 중 하나라고 했다. 이후 2023년 3월 26일 Rounds게임 내기에 져서 3개월동안 다시 노예가 되기도 했다.
  • 양아지
    금사향의 소개로 친분이 생겼으며 트최탱[86]이라는 별명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본인은 그렇게 불리는 걸 싫어한다.[87] 지금은 방송을 못 챙겨보지만 양모노였다고 한다. 디스코드 친추한 지 1년만에 말을 놓았다.# 2020년 7월 30일 방송에서 51 Worldwide Games 내기에서 야추를 제외한 모든 경기에 패배해 양아지에게 소원권을 줬다. 전투력 측정기
  • 이초홍
    과거 수담의 우결상대로 처음 대화를 해봤고 이후 테이블탑시뮬 레이터나 어몽어스 등 여러 게임으로 합방을 해오고있다.
  • 코시
    악녀의 소개로 알게 되었으며 노예 선후배 사이로 코시형 혹은 '코시선배'라고 부르며 상당히 잘 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원래는 애덕이 선배라고 불렸으나 악녀에게 최초 내기는 노예빵이 아닌 호칭빵이라고 주장하며 재도전 했다가 후배가 됐다. 노예로서의 접점이 가장 많은 조합으로 서로를 귀여워하며 장난을 치기도 한다.[88][89]
  • 탬탬버린
    초면부터 서로 누가 덜 오타쿠인지 기싸움을 벌였다...결론은 패드립 덕후와 애니쨩 최약체를 만나더니 다른 곳에서 당한 걸 그대로 써 먹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술 먹고 말하길 탬탬버린은 좋은 사람이고 존경하지만 첫 만남 때 이미지가 너무 강해 지금 와서 잘해주면 어색할까 걱정돼 못되게 굴고 있다고 한다. 2020년 7월 27일 방송에서 51 Worldwide Games 내기에서 야추는 이겼지만 볼링을 져 탬탬버린의 1일 노예가 되었다. 노예덕후
  • 오요
    서로에게 편하게 대하는 친구 같은[90] 사이며, 애덕과 함께 악녀의 노예였다.[91] 수담과 함께 담요덕으로 묶여 합방하기도 했다.[92] 오요가 미츄에 소속된 뒤로는 코타츠 토크쇼 게스트로 데려오거나, 미츄가 주최한 폴가이즈 운동회에도 팀으로 나가는 등 다시 교류가 많아졌다.
  • 이오몽
    찐남매 캐미가 돋보이는 사이. 누가 더 애 같은가 공포게임 내기를 했다가 이오몽에게 져서 한달 간 애기애덕 프사를 달았다.도찐개찐 애덕이 나이로는 동생이지만 항상 누나에게 대드는 포지션이다. 그렇게 서로 약올리며 딜을 주고 받는 관계지만 선을 넘지 않는 투닥거림이 유쾌하게 보이고, 엉뚱하고 귀여운 두 사람의 매력이 마치 로켓단과 같은 악동 이미지로 비춰져서 몽덕남매, 마교남매, 애기즈 등으로 불린다.[93]
  • 향아치
    졸졸 따라다니며 성질긁는 얄미운 꼬마와 어르신 캐미가 좋다. 먼 옛날 '애덕이네 홈쇼핑' 콘텐츠의 게스트로 나와서 양반 족보를 판(?) 이력이 있다.# 특히 토크에서 탱커 역할을 자주 하는 애덕이지만 잘 받아주는 향아치에게는 딜을 잘 넣는 편이다. 여러 합방을 통해 캐미를 맞추고 접점이 많았지만 아직까지는 단독으로 합방한 적은 없는 듯하다. 항상 애칭으로 친근하게 '대감님'혹은 '대가미','대가미형'으로 부른다. 둘다 본래 상냥한 성격이라 방송에선 실컷 투닥거리지만 묘하게 포근한 분위기가 감돌아 그 점이 캐미적으로 매력적이다.

7. 여담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24><tablebgcolor=#124>
파일:치레동 로고_white.svg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color: #124"]]
선수카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 60px"
평균 퀄리파잉 순위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 60px"
평균 레이스 순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남궁혁|
파일:치레동 선수카드_남궁혁.gif
No. 14

남궁혁]]{{{#!wiki style="margin: -10px -7px"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형독|
파일:형독 1:1.jpg
No. 07

형 독]]{{{#!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V-llage#s-3.2|
파일:요나 1:1.gif
No. 02

요나]]{{{#!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0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강지형(인터넷 방송인)|
파일:유튜버 강지형.jpg
No. 38

강지형]]{{{#!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4.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파일:김레오 1:1.jpg
No. 25

김 레 오{{{#!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4.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5.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늦잠(인터넷 방송인)|
파일:늦잠 1:1.jpg
No. 31

늦잠]]{{{#!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7.0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7.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쵸쵸우|
파일:쵸쵸우-better.png
No. 03

쵸쵸우]]{{{#!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0.0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6.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오버더월#1기생 러브다이아|
파일:양메이 프로필.png
No. 77

양메이]]{{{#!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7.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8.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헤라(인터넷 방송인)|
파일:헤라 1:1.jpg
No. 55
{{{#!wiki style="letter-spacing: -2px"]]{{{#!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9.0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8.5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서애덕|
파일:Gomduck.gif
No. 99

서애덕]]{{{#!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6.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오단밍|
파일:오단밍 프로필2.png
No. 61

오단밍]]{{{#!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햄쿠비|
파일:햄쿠비 프로필2.png
No. 44

햄쿠비]]{{{#!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5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ABC70, #83E5B6, #4ABC70);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Unranked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ackground: #4B4B4B; border-radius: 0px 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뽀구미|
파일:뽀구미 1:1.jpg
No. 92

뽀구미]]{{{#!wiki style="margin: -10px -7px"
<tablewidth=100%><tablebgcolor=#4B4B4B,#4B4B4B><tablebordercolor=#4B4B4B,#4B4B4B><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치레동 로고.png
}}}}}}}}}
}}}}}}}}}


#!if 팀 == "투자는남궁혁처럼"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40cfff,#40c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40c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40c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40c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40cfff,#40cfff '''{{{+1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남궁혁|{{{#!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14[br]'''남궁혁'''}}}}}}]] ||<nopad> [[오단밍|{{{#!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61[br]'''오단밍'''}}}}}}]] ||<nopad> [[김토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08[br]'''김토키'''}}}}}}]] ||<nopad> [[뽀구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92[br]'''뽀구미'''}}}}}}]] ||<nopad> [[햄쿠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44[br]'''햄쿠비'''}}}}}}]] ||
#!if 팀 == "오버테이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d47fff,#d47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d47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d47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d47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형독 - 오버테이크|{{{#d47fff,#d47fff {{{+1 '''TEAM 오버테이크'''}}}}}}]] ||
}}} ||
||<rowbgcolor=#fff,#1c1d1f><nopad> [[형독|{{{#!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7[br]'''형독'''}}}}}}]] ||<nopad> [[서애덕|{{{#!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99[br]'''서애덕'''}}}}}}]] ||<nopad> [[오버더월#러브다이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77[br]'''양메이'''}}}}}}]] ||<nopad> [[박인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6[br]'''박인수'''}}}}}}]] ||<nopad> [[박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69[br]'''박지'''}}}}}}]] ||
#!if 팀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bbf5b,#fbbf5b><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bbf5b.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bbf5b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bbf5b;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fbbf5b,#fbbf5b {{{+1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 ||
||<nopad><rowbgcolor=#fff,#1c1d1f> [[강지형(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38[br]'''강지형'''}}}}}}]] ||<nopad> [[쵸쵸우|{{{#!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03[br]'''쵸쵸우'''}}}}}}]] ||<nopad> [[제황|{{{#!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21[br]'''제황'''}}}}}}]] ||<nopad> [[노돌리|{{{#!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72[br]'''노돌리'''}}}}}}]] ||<nopad> [[이글콥|{{{#!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89[br]'''이글콥'''}}}}}}]] ||
#!if 팀 == "레요헤호케"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f5173,#ff5173><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f5173.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f5173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517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요나 - 레요헤호케|{{{#ff5173,#ff5173 {{{+1 '''TEAM 레요헤호케'''}}}}}}]]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02[br]'''요나'''}}}}}}]] ||<nopad> [[헤라(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55[br]'''헤라'''}}}}}}]] ||<nopad>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25[br]'''김레오'''}}}}}}]] ||<nopad> [[문호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97[br]'''문호준'''}}}}}}]] ||<nopad>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11[br]'''케인'''}}}}}}]] ||

[1] 대충 3만살인 영물로 생각하면 된다.[2] 다른 스트리머들이 애덕이 무슨뜻이냐고 물을 때 꿀곰들이 원래 뜻인 애니덕후 대신 은애덕후, 애기덕후 등이라고 속인다.[3] 주로 사악한 행동을 할 때 불린다.[4] 퍼리 버튜버라는 뜻[5] 애덕 구여워라는 뜻[6] 과거 감제이가 이렇게 불렀었다[7] 도력으로 키를 늘였다 줄였다가 가능해 공식으로 ???로 소개하였다[8] 본인은 인간폼 170cm 이상, 곰폼 200cm 이상이라고 주장하며, 꿀곰들은 인간폼 138cm, 곰폼 183cm라고 주장한다.[9] 캐릭터 눈색과 동일하다. 보라+노랑 조합[10] 2025년 1월 18일에 진행한 신의상 유입 설명회에서 INFP → ISFJ라고 소개하였다. I와 F는 확실하지만, S와 J는 50% 근처라고 한다.[11] 24년부터 매주 계획표를 작성하여 실행하는 등 J 스러운 모습은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N스러운 망상 가득한 토크를 많이 하기에 꿀곰들은 절대 S를 인정해주지 않는다.[12] 애니덕후 시절에는 연분홍색이었다가 어느샌가 보라색으로 바뀌었다.[13] 멤버십 방송 송출.[14] 국내 서비스 종료로 현재 미활동 중[15] 애덕이 아이디를 잃어버려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6] 게임/썰 등의 편집본이 업로드되는 채널이다.[17] 생방송 다시보기 또는 녹화본이 업로드되는 채널이다.[18] 방송 하이라이트 클립이 올라오는 채널[19] 줄여서 요밍곰이라고 부른다.[20]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21] 올라오는 시간은 정해져있지 않은 듯 하다.[22] 줄여서 서꾸앙이라 부른다[23] 모에 소매가 포인트[24] 꼬리는 곰일 때도 있고, 너구리일 때도 있다.털이 맨들한 버전과 보송보송한 버전 2가지가 있다.[25] 가끔 그리워하는 팬이 있으면 이미 묻혔다고 답한다.[26] 정확히는 선호하지 않는 건 아니고 실제로 수요가 적은 편이라고. 지표 상으로 귀여움보다 재미로 보러 오는 사람이 더 많았다고 한다.[27] 버튜버판에서 빨간약은 지뢰로 느끼는 사람이 많다.[28] 본인 피셜 방송 재미를 위해 일부러 아주 가끔 그러는 것이라고 수정을 요청했다.[29] 팬카페 가입인사를 보면 "이젠 인정해야 할 것 같다"라며 터덜터덜 걸어오는 신규 꿀곰들이 많다. 하지만 기왕 올거면 당당하게 와달라고 언급했다[30] 쥐흔하려는 메일을 보면 어째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됐을지 분석하게 된다고...[31] 오히려 낯설어한다[32] 자세한 내용은 노래 목차 참고[33] 본인은 추리 게임을 잘한다고 주장하지만 단간론파 플레이 당시 꽤나 헤맨 모양.[34] 주로 젤다[35] 줄여서 똥겜마[36] 신규 구독을 할 시 "1kg 신규 꿀단지 호롤로로로-!" 라고 한다.[37] 밈으로 자주 쓰이기도 하고, 팬들이 좋아하는 것도 이해하지만 ts(여성화)는 하지말아달라고 하니 과한 언급은 자제하자.[38] 예시: 오늘도 애소리하네.[39] 갈고리 수집가라고도 한다.[40] 본인은 착하다며 절대로 부정하는 말이다.[41] 꿀곰은 어떻게 우냐는 말에 꿀앙꿀앙이라고 답한 적이 있다.[42] 남궁혁, 민수하, 오뉴, 애덕[43] 유튜브에 추한남자를 검색하면 가장 위에 뜬다.[44] 추한남자 유입이 있었을 정도로 한동안 추한남자라고 놀림을 당하였다.[45] 추남이라는 줄임말이 사용되기도 한다.[46] 말하다가 방종하거나 매번 신박하게 방종을 하여 주로 물음표를 치는 상황이 생긴다.[진짜] 뭔가를 준비해야 될 것 같은 위기감이 생겼다고 한다.[48] 웹 기준 월 14,900원[49] 근데 진짜 연기톤이었다;; 애랄과 마찬가지로, 어감이 안 좋다는 의견이 나와서 최근 방송에서는 '꿀소리'라고 한다.[50] 비속어와 합성한 언어기 때문에 어감이 안좋다는 의견이 나와서 최근 방송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51] 예를 들어 비가 오지 않는데 "오늘도 비오나?" 라고 말하면서 레이니 데이를 튼다던가.....[52] 이름을 들은 꿀곰들은 이거 실화냐 라는 반응이거나 엉덩이 진짜 좋아하네 라는 반응이었다.[53] 근데 마꿀이의 목소리가 어디서 많이 들어본 목소리다.[54] 신규 구독 꿀곰 배지는 포대기에 쌓인 꿀곰의 모습이어서 포대기 꿀곰, 애기 꿀곰이라고 부른다.[55] 리액션 맛집으로 유명하다[56] 진짜 개인적인 의문을 풀어 꽤나 신박한 질문이 많다.[57] 즉석에서 고기를 구워주기도 함[58] 상황극을 하면서 연기를 해주기도 한다.[59] 개사의 신이라고 불릴 정도로 즉석 개사를 잘한다.https://youtu.be/zParU7ZGiyc[60] 개사 천재 모먼트가 잘 드러난다.[61] 3개 국어 커버곡 시리즈 중 첫번째로 투고한 곡이다. 애덕의 개사 센스가 돋보이는 곡이다.[62] 3개 국어 커버곡 시리즈 중 두번째로 투고한 곡이다. 애덕의 개사 센스와 더불어 "아옭"이라며 덧붙이는 추임새가 포인트다.[63] 엄밀히 말하면 작곡은 아니고 비트를 구매해 멜로디와 작사만 한다고 언급하였다.[64] 모두 애덕 유튜브 멤버십에서 들을 수 있다.[65] 얼마 안있어 진행된 버튜버 생존 프로젝트 좀보이드 컨텐츠인 <좀버이드>가 끝나고, 엔딩곡으로 들려주기도 했다.[66] 애덕이 직접 작사했다.[67] 2020년 10월 30일에 업로드된 자작곡 '나는(prod. 一六)'은 사운드 클라우드 계정을 잃어버려 유튜브로 옮겨졌다.[68] 남궁극장 - 추한 남자(w.애덕) (남궁혁 애니메이션)[69] 애덕이 1살 동생이지만 남궁혁의 23년도 생일 축하영상에 만나이로 치면 1달은 임시 동갑이라며 "혁아~!" 하고 반말을 썼다. 곧바로 눈치를 봤지만ㅋ[70] 하버드대 남궁혁성질머리긁기학과수석입학[71] 남궁혁 서애덕 실제로 만나다.[72] 치유계 아이돌이었던 이미지가 깨졌다고...[73] https://youtu.be/8WqBaQqMyHY[74] 이 전에도 겹지인으로 알고는 있었으나 방송적 교류는 이 때가 처음[75] 보라색 둘 흰색 둘 (머리색)[76] 22원 포도알 남매라는 별명이 붙었다 (적포도, 청포도)[77] 이 영상의 1시 06분 38초경에 나온다[78] 22년 8월 27일 풀트래킹을 착용하고 VRC를 세팅할 때에도 함께 풀트 체험 합방을 진행했다. 1편,2편,3편[79] 금사향을 실제로 만나 유튜브에 실물 영접 썰을 풀기도 하고 싸인받은 걸 트위터에 메인 트윗으로 박제하는 등 성덕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80] 녹화 방송 풀영상에서는 방송 때처럼 투닥거리지 않고 조용하게 협동해야 될 때는 협동하면서 게임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무엇보다 김규식의 생일 때 무려 120만원짜리 전동 킥보드를 보냈다. 김규식 입장에서도 방송에서 노가리 중 던진 농담에 가까운 것인데 진짜로 와서 당황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가까운 사이라는 걸 보여준다.[81] 다른 사람이 편하게 대할 수 있게 해주는 누나라고 한다.[82] 남자 둘이 묶이는 것이 부담돼서 사이에 오요를 넣었다고 한다.[83] 의외로 김규식, 오요와 함께한 첫 통화에서는 초면부터 구글 드라이브에 먹을거 숨기셨냐고 한 직후 스트레스 받는다고 먹는 걸로 푸시면 안 된다라고 악녀에게 콤보 어택 극딜을 박았던 전적이 있다. 물론 그 이후부터는 전용 샌드백 수준이 되었다.[84] 악녀가 곤란해 할 때의 모습이 귀엽다고 한다.[85] 노예 졸업을 받아들인 이유는 노예 컨셉을 싫어하는 시청자들이 있었고 자신 때문에 다른 사람까지 같이 욕먹는 게 힘들었다고 한다.[86] 트위치 최고 탱커[87] 볼 때마다 자신보다 더 잘 맞는 사람이 있다고 말한다.[88] 아이러니하게도 악녀의 노예들 중 유일하게 노예가 되기 전까지는 서로 모르는 사이였다. 코시 말로는 노예 졸업 이후에는 딱히 연락을 안 한다고 한다.연락 안하냐 서애덕![89] 코시가 편하게 장난을 치는 몇 안 되는 인물이어서 "저 형은 나 한정으로 강해진다"라며 투덜대기도 한다.[90] 오요는 과거 나이공개를 하지 않았기에 진짜 친구인지는 몰랐지만 일단 케미는 잘 맞다. 이후 오요도 동갑이라는 점이 밝혀졌다.[91] 평소 연락을 자주 안 하는 애덕에게 몇 번씩 먼저 연락을 했다고 하며, 그것에 대해서 오요에게 고마움을 느낀다고 한다.[92] 오요를 수담과 사이에 완충재로 넣으려는 원래 의도와는 반대로 오요가 애덕과 수담을 엮고 팝콘을 뜯기도 한다.[93] 그래도 오몽님이 노래를 부를 땐 멋있어 보인다고...[94] 크면서 감정표현을 많이 못 했는데 그에 대한 반동이라고 한다. 친척집이 가까워서 친척 형, 누나한테는 많이 귀여움 받았다고 한다.[95] 가이코, 강수, 망개, 코시가 그 피해자이다.[96] 행동할 때 일일이 생각을 했다간 머리가 터져버릴 거라고(...)[97] 계산은 계산기로 하니까 괜찮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10을 곱하는데 계산기를 찾기도 했다.[98] 인형을 좋아하는 건 집안내력인지 대형 인형들을 많이 선물받자 가족들이 하나씩 뺏어가 지금은 방마다 인형이 하나씩 있다고 한다.[99] 도시락을 만들기 위해 계란말이를 연습한 적도 있다고 한다.[100] 계란광인[101] 한입 먹고 토할 뻔 했다고 하며 개 입냄새가 바로 사료 맛이라는 걸 그 때 알았다고 한다.[102] 2023년 8월 경 측정. 체격은 곰 가문의 유전이라고...[103] OBS를 처음 사용한 날, 설정을 잘못해서 720p30 프레임으로 방송했다.[104] 오랫동안 채널 포인트를 닫았다가 최근에 다시 열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포인트를 이전부터 방송을 봐왔던 고인물들이 가지고 있었다.[105] 오전 12시 20분경 고양이의 화장실을 청소해 주고 있던 중 메일을 받았다.[106] 유튜브 측의 메일 답변에 따르면 정확한 이유는 불분명하나 일단 실수라고 한다.[107] 인쇄 사고로 부득이하게 200개의 아크릴 스탠드 하자 재고를 떠맡게 되고 추후에 이벤트로 풀 예정이라고...[108] 이때는 애덕이 아닌 설태웅이라는 닉네임이였다.[109] 2016년 7월 2일에 학업문제로 탈퇴했다.[110] 본인 몸이 니코틴 프리라고 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