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2:41:55

파라셀 군도

서사 군도에서 넘어옴


남중국해의 분쟁지역
스프래틀리 군도 (*난사 군도) | 파라셀 군도 (*시사 군도) | 프라타스 군도 (*둥사 군도)
국제적 표기 기준, *표시는 중국 측 표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racelIslands.png
,* 영어: 파라셀 군도/제도(Paracel Islands)
1. 개요2. 영토 분쟁3. 여담4. 관련 문서5. 관련 틀

1. 개요

파일:파라셀 군도.jpg

남중국해 서쪽에 위치한 군도이다.

중국베트남, 그리고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이 지역을 하이난성 싼사시(三沙市)의 일부로 관할하고 있으며, 영유권 주장 국가인 베트남은 다낭 직할시, 대만은 가오슝 직할시 치진 구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가장 큰 섬인 우디 섬(중국명 융싱다오;永兴岛)에는 싼사시(三沙市) 행정청사가 설치되어 있으며 민항기가 이착륙 가능한 싼사 융싱 공항(三沙永兴机场)이 있다.

2. 영토 분쟁

파라셀 군도 영토 분쟁
실효 지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영유권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역사적으로는 중국 어민들이 정박지로 사용했던 곳이었다. 청불전쟁 이후 프랑스의 간섭이 심화되자 1902년 청나라 시기 관리를 보내 자국의 일부임을 선언하는 비석을 세운 것이 근대적 편입의 시작이다. 그러나 193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일방적으로 편입을 선언하면서 영유권 분쟁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고 동남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들 지역에 대한 영유권 분쟁이 시작되었다. 1946년 중화민국이 탈환을 시도하였으나 프랑스가 지켜냈고, 이후 남베트남에 넘어갔다. 그러나 두 개의 중국과 베트남 간의 영토 분쟁 하에 있었다.[1] 베트남 전쟁 와중인 1974년 1월 중국 인민해방군이 파라셀 군도에 군함을 보내 남베트남 해경경비선과 무력 충돌을 벌여 군도 전체를 점령하였다. 이후 중국이 파라셀 군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중국, 베트남, 대만간의 영토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대만의 경우 스카버러 암초스프래틀리 군도 정도에만 군사력을 행사하기에 사실상 중국과 베트남 간의 분쟁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중국 측의 점령 행위가 사실상 불법 침공으로 기인한 것이라 아직도 파라셀 군도 일대가 베트남령이라고 보는 시각도 많다.

2014년 5월 파라셀 군도 부근에서 중국이 석유시추시설을 일방적으로 건설하였고, 중국 해양경비선과 베트남 해양경비선이 물대포를 쏘며 대치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2020년 4월 파라셀 군도 부근에서 중국 해양경비선이 베트남 어선을 당파하여 침몰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 중국은 파라셀 군도 6개 섬[2]에 군사기지를 건설했다. 중국은 군사기지 곳곳에 활주로와 항구 등을 건설해 요새화 한 상태이고, 2018년엔 봄바이 암초에도 감시용 탐지기를 설치했다. 이에 베트남은 중월전쟁으로 시작된 중국의 위협에 대항하고자 과거의 적이였던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GYH2017021000110004401_P2_20170210172101696.jpg

3. 여담

4. 관련 문서

5. 관련 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4
현급행정구
시할구 10, 현급시 5, 4, 자치현 6
하이커우시
성도
海口市
슈잉구
秀英区
룽화구
龙华区
충산구
琼山区
메이란구
美兰区
싼야시
三亚市
지양구
吉阳区
하이탕구
海棠区
톈야구
天涯区
야저우구
崖州区
싼사시[1]
三沙市
시사구
西沙区
난사구
南沙区
단저우시
儋州市
현급행정구 없음
성직할
현급행정구
우즈산시
五指山市
충하이시
琼海市
원창시
文昌市
완닝시
万宁市
둥팡시
东方市
딩안현
定安县
툰창현
屯昌县
청마이현
澄迈县
린가오현
临高县
바이사 리족 자치현
白沙黎族自治县
창장 리족 자치현
昌江黎族自治县
러둥 리족 자치현
乐东黎族自治县
링수이 리족 자치현
陵水黎族自治县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保亭黎族苗族自治县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琼中黎族苗族自治县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베트남 남중부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서북부 · 동북부 · 홍강 삼각주 · 북중부 · 남중부 · 서부고원 · 동남부 · 메콩강 삼각주
다낭시
Tp. Đà Nẵng
껌레군
Cẩm Lệ
하이쩌우군
Hải Châu
리엔찌에우군
Liên Chiểu
응우하인선군
Ngũ Hành Sơn
선짜군
Sơn Trà
타인케군
Thanh Khê
호아방현
Hòa Vang
호앙사현[1]
Hoàng Sa
꽝남성
Quảng Nam
땀끼시
Tam Kỳ
호이안시
Hội An
디엔반시사
Điện Bàn
박짜미현
Bắc Trà My
다일록현
Đại Lộc
동장현
Đông Giang
주이쑤옌현
Duy Xuyên
히엡득현
Hiệp Đức
남장현
Nam Giang
남짜미현
Nam Trà My
농선현
Nông Sơn
누이타인현
Núi Thành
푸닌현
Phú Ninh
프억선현
Phước Sơn
꾸에선현
Quế Sơn
떠이장현
Tây Giang
탕빈현
Thăng Bình
띠엔프억현
Tiên Phước
꽝응아이성
Quảng Ngãi
꽝응아이시
Quảng Ngãi
득포시사
Đức Phổ
바떠현
Ba Tơ
빈선현
Bình Sơn
민롱현
Minh Long
모득현
Mộ Đức
응이어하인현
Nghĩa Hành
선하현
Sơn Hà
선떠이현
Sơn Tây
선띤현
Sơn Tịnh
짜봉현
Trà Bồng
뜨응이어현
Tư Nghĩa
리선현
Lý Sơn
빈딘성
Bình Định
꾸이년시
Qui Nhơn
안년시사
An Nhơn
호아이년시사
Hoài Nhơn
안라오현
An Lão
호아이언현
Hoài Ân
푸깟현
Phù Cát
푸미현
Phù Mỹ
떠이선현
Tây Sơn
뚜이프억현
Tuy Phước
번까인현
Vân Canh
빈타인현
Vĩnh Thạnh
푸옌성
Phú Yên
뚜이호아시
Tuy Hòa
동호아시사
Đông Hòa
송꺼우시사
Sông Cầu
동쑤언현
Đồng Xuân
푸호아현
Phú Hòa
선호아현
Sơn Hòa
송힌현
Sông Hinh
떠이호아현
Tây Hòa
뚜이안현
Tuy An
카인호아성
Khánh Hòa
냐짱시
Nha Trang
깜라인시
Cam Ranh
닌호아시사
Ninh Hòa
깜럼현
Cam Lâm
지엔카인현
Diên Khánh
카인선현
Khánh Sơn
카인빈현
Khánh Vĩnh
쯔엉사현[2]
Trường Sa
반닌현
Vạn Ninh
닌투언성
Ninh Thuận
판랑탑짬시
Phan Rang–Tháp Chàm
박아이현
Bác Ái
닌하이현
Ninh Hải
닌프억현
Ninh Phước
닌선현
Ninh Sơn
투언박현
Thuận Bắc
투언남현
Thuận Nam
빈투언성
Bình Thuận
판티엣시
Phan Thiết
라지시사
La Gi
박빈현
Bắc Bình
득린현
Đức Linh
함떤현
Hàm Tân
함투언박현
Hàm Thuận Bắc
함투언남현
Hàm Thuận Nam
푸꾸이현
Phú Quý
딴린현
Tánh Linh
뚜이퐁현
Tuy Pho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1] 양안 모두 중화의 전통적인 영역이라 보았는지 섬이 월남 영토가 되자 장제스가 타진하기로 북경이 여력이 안되면 우리가 대신 탈환하겠다고 말할 정도였다.[2] 덩컨 섬, 트리 섬, 링컨 섬, 우디 섬, 트라이톤 섬, 머니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