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5:27:41

산호랑나비

산호랑나비(구대륙호랑나비, 구세계호랑나비[1])
Old World Swallowtail
파일:Papilio machaon.jpg
학명 Papilio machaon
(Linnaeus, 175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곤충강 Insecta
나비목 Lepidoptera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호랑나비속 Papilio
산호랑나비 P. machaon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산호랑나비 암수.jpg
암수 표본
1. 개요2. 상세
2.1. 아종2.2. 거의 똑같이 생긴 근연종2.3. 호랑나비와 비교
3. 대중 매체4. 여담

[clearfix]

1. 개요

나비목 호랑나비과의 곤충. 한국, 러시아, 중국, 대만, 일본, 히말라야 포함 인도 일부, 알래스카, 캐나다 및 미국 전역에 서식하는 나비의 일종으로 호랑나비속의 모식종이다.

2. 상세

영어 이름에 Old World(구세계 = 아프로-유라시아 = 아프리카 + 아시아 + 유럽)가 들어가지만 북아메리카에도 서식하고, 아프리카에서는 중동 문화권인 북아프리카에만 서식한다. 원래 종명과 실제 서식지의 괴리는 흔하지만 오차가 이렇게나 큰 경우는 드물다.

이는 환경이 너무 달라서일 가능성이 높다. 땅이 이어져있다고 해도 한 종이 아시아/유럽/아프리카에 모두 적응하는 건 그 인간조차 쉽지 않다.[2] 이게 가능한 동물은 상당히 적어서 나비 중에는 작은멋쟁이나비 정도밖에 없다. 반면 북아메리카는 대양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크게 환경이 다르지 않고, 건너갈 방법도 충분히 있다.[3]

분류학이 잘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Papilio라는 단어가 라틴어로 '나비' 그 자체를 뜻하는 것에서 짐작가듯이 나비란 나비를 죄다 호랑나비속으로 분류했었다. 웬만한 나비의 동물이명에는 Papilio ○○○가 있다.[4]

2.1. 아종

극지방을 제외한 북반구 전체에 가까울 정도로 많은 곳에 서식해서 아종이 엄청나게 많다. 영문 위키백과에 따르면 41가지의 아종이 있다.#

아종간 생김새 차이는 상당히 적다. 비유하자면 한국인 • 중국인 • 일본인 • 대만인 간 외모 차이와 비슷하다. 사전 지식이 없으면 다른 아종인지도 모를 정도다. 원명아종은 중부 유럽에 서식하고,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아종은 일본에도 서식하는 히포크라테스 아종P.m.hippocrates이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개체는 본토 개체와 생김새가 다르나, 별개의 아종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5]

2.2. 거의 똑같이 생긴 근연종

호랑나비속의 모식종인 만큼 거의 똑같이 생긴 근연종이 좀 있다. 모두 한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2.3. 호랑나비와 비교

파일:호랑나비.jpg파일:산호랑나비.jpg
호랑나비 산호랑나비
일반적인 호랑나비와 닮은 생김새이나, 날개의 더 노란 색감과[6] 앞날개의 점 무늬, 더 큰 크기로[7] 구분할 수 있다. 또 호랑나비 수컷의 경우 위 사진처럼 뒷날개 맨 윗부분에 진한 검은색 점이 있지만, 산호랑나비는 암컷과 수컷 모두 날개 무늬로는 구분이 없어 배 끝 생식기 모양으로만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성충과는 달리 애벌레는 주황색 점이 박힌 검은 줄무늬가 몸 마디마다 하나씩 그려져 있는 모습으로 호랑나비 애벌레와는 매우 다르게 생겼다.[8] 식생활에도 호랑나비 애벌레는 귤나무, 탱자나무, 황벽나무, 산초나무 등의 잎을 먹지만 산호랑나비의 애벌레는 당근, 미나리, 파슬리 등을 먹는 차이가 있다.

또한, 호랑나비의 번데기는 돌기가 있고 뾰족한 느낌이지만 산호랑나비의 번데기는 돌기가 없고 뭉툭한 느낌이다. 언뜻 봐서는 잘 구별할 수 없으나 둘을 비교해보며 자세히 관찰하면 조금씩 다르다.

3. 대중 매체

4. 여담

미국의 나비 사이트 Butterfly Identification에 따르면 영국에서 가장 큰 나비이다(...).

[1] 영어 명칭을 직역한 것.[2] 한 종이 핵심이다. 아프리카에도 호랑나비속 나비는 많지만, 거의 다 아프리카에만 서식하는 종이다.[3] 빙하기에 드러났던 베링 육교도 있고, 가벼운 나비이니 바람에 휩쓸려 넘어갈 수도 있다.[4] 호랑나비속 문서에 들어가야 하지만, 아직 작성되지 않아 모식종인 산호랑나비 문서에 임시로 적는다.[5] 사람도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전부 같은 아종H.s.sapiens인 것처럼 같은 아종이어도 특징이 판이해질 수 있다.[6] 위 사진은 좀 과하게 보정되었으나, 실제로도 호랑나비보다 노란빛이 더 진하다.[7] 날개뿐 아니라 몸통의 크기도 호랑나비보다 약 1.5배 정도 크며 복부가 더 통통하다.[8] 다만 같은 호랑나비과라서 전반적인 몸 형태는 비슷하며, 자기방어가 필요할 때 뻗는 냄새 나는 큰 돌기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9] 초기에는 Tiger Swallowtail로 번역했는데, 이는 북아메리카 동부에 서식하는 호랑나비속 나비이다. 산호랑나비도 미국 전역에 서식하는데 굳이 현지화한 이유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