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한민국의 지명
1.1. 경상남도 사천시(泗川市)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시#|]][[사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강릉시 사천면(沙川面)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면#|]][[사천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청주시 청원구 사천동(斜川洞)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동#|]][[사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경기도 사천현(沙川縣)
현재의 동두천시, 양주시 은현면 일대이다.2. 중국 사천(四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쓰촨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쓰촨성#|]][[쓰촨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은 四川(Sichuan)을 '사천'으로 읽는 것을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사천성'은 불인정하지만 '사천 요리'는 인정하는 식.
2.1. 이 지방에서 생산되는 홍차
위 지방에서 생산되는 홍차. 195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재래종 차나무를 이용한 홍차의 생산은 계속 증가해 1980년대 이후 연간 4만 톤 정도의 홍차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찻잎은 두껍고 금색의 싹이 많이 들어 있다. 진한 맛과 상큼한 향이 특징이며 붉은색의 차가 우러나온다. 향은 사탕수수의 향과 비슷하다.3. 私薦
공 <-> 사 로 대응되는 말로 공천의 반대 의미로 쓰이며, 정당의 공천이 공정성을 잃고, 개인적인 친분이나 이득에 의해 후보가 추천되는 것을 뜻한다.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단어이다.
4. 숫자 4000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00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000#|]][[400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후한 말기의 관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후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후한)#|]][[사천(후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만화 레이브에 등장하는 집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마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마왕#|]][[사천마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