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 자손들 · 소설 · 프리퀄 ·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 (1979년 애니 · 프리퀄 애니 · 2025년 애니) · 드라마 ) |
앤 셜리 (2025) アン・シャーリー Anne Shirley | |||
<nopad> | |||
{{{#6a3906,#6a3906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faf5e5><colcolor=#6a3906,#6a3906> 장르 | 동화 | |
원작 | 루시 모드 몽고메리 저 무라오카 하나코(村岡花子) 역 | ||
감독 | 카와마타 히로시(川又 浩) |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나츠코 | ||
캐릭터 디자인 | 츠치야 켄이치(土屋堅一)[1]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와타나베 유지(渡辺裕二) 마루야마 치에(丸山千絵) | ||
프롭 디자인 | 마스다 치에(増田千絵) 오가와 마리나(小川まりな) | ||
미술 감독 | 쿠도 타다시(工藤ただし) | ||
색채 설계 | 쿠리키 시호(久力志保) | ||
촬영 감독 | 사이토 신지(齋藤真次) | ||
CG 디렉터 | 시마자키 아츠시(嶋崎篤士) | ||
편집 | 마츠바라 리에(松原理恵) 시라이시 아카네(白石あかね) | ||
음향 감독 | 코이즈미 키스케 | ||
음악 | 오오시마 미치루 | ||
음악 제작 | 후지퍼시픽 뮤직 | ||
기획 | 마에다 카즈야(前田和也) | ||
치프 프로듀서 | 나카야마 케이코(中山佳子) 타카세 유키코(高瀬透子) 키소 유카리(木曽由香里) 카네노 사야카(金野沙矢香) | ||
시니어 프로듀서 | 마츠시타 요코(松下洋子) | ||
프로듀서 | 사토 시게히코(佐藤茂彦) 나카타니 마미(中谷真実) 쿠리야마 쿠니히로(栗山邦弘)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사와다 쿄스케(澤田恭介) | ||
애니메이션 제작 | 앤서 스튜디오 | ||
제작 | 앤 셜리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4. 05. ~ 방영 중 | ||
방송국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4화 (예정)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想像すること、とめられない。 상상하는 걸 멈출 수 없어 |
2. 공개 정보
- 2024년 11월 20일,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작이 결정되었다.#
2.1. PV
티저 PV |
본 PV |
2.2. 키 비주얼
|
앤 셜리 비주얼 |
|
키 비주얼[4] |
3. 줄거리
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빨강머리 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빨강머리 앤/등장인물#|]][[빨강머리 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주제가
5.1. OP
OP / 2화 ED 予感 예감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faf5e5><colcolor=#6a3906,#6a3906> 노래 | 토타 | ||
작사 | |||
작곡 | |||
편곡 | 데와 요시아키(出羽良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faf5e5><colcolor=#6a3906,#6a3906> 콘티 | 야마다 나오코 | |
연출 | |||
작화 | 코지마 타카시 등 |
5.2. ED
ED heart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faf5e5><colcolor=#6a3906,#6a3906> 노래 | Laura day romance | ||
작사 | 스즈키 진(鈴木 迅)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faf5e5><colcolor=#6a3906,#6a3906> 콘티 | 야마다 나오코 | |
연출 | |||
작화 | 코지마 타카시 |
6. 회차 목록
<rowcolor=#6a3906,#6a3906> 회차 | 제목[5]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世界って、とてもおもしろいとこね 세상은, 아주 재미있는 곳이에요 | 타카하시 나츠코 | 카와마타 히로시 (川又 浩) | 카와마타 히로시 | 와타나베 유지 (渡辺裕二) 사이토 나오코 (斎藤直子) | - | 日: 2025.04.05. 韓: 2025.04.23. |
제2화 | あたし、きれいなものが好き 전, 예쁜 게 좋아요 |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 사이토 나오코 사토 사나에 (さとう沙名栄) 쿠사카 타케시 (日下岳史) 카네노 켄 (金野 賢) 시바타 치나미 (柴田知波) 미야모토 타케시 (宮本武史) | 日: 2025.04.12. 韓: 2025.04.23. | |||
제3화 | 何かを楽しみにして待つということが、 その嬉しいことの半分に当たるのよ 무언가를 기대하며 기다리는 게, 그 즐거움의 반이라고 생각해요 | 히라미 미하루 (平見 瞠) | 토카와 준이치 (戸川順一) | 스기야마 마사키 (杉山正樹) | 와타나베 유지 | 日: 2025.04.19. 韓: 2025.04.30. | |
제4화 | ものごとの明るいほうを考えましょう | 린린 (リンリン) | 오쿠무라 요시아키 (奥村よしあき) | 마타노 히로미치 (又野弘道) | 야마자키 노리요시 (山崎展義) 치자키 고 (地崎 剛) 마츠모토 카츠지 (松本勝次) | 日: 2025.04.26. 韓: 2025. | |
제5화 | 日: 2025. 韓: 2025. | ||||||
제6화 | 日: 2025. 韓: 2025. | ||||||
제7화 | 日: 2025. 韓: 2025. | ||||||
제8화 | 日: 2025. 韓: 2025. | ||||||
제9화 | 日: 2025. 韓: 2025. | ||||||
제10화 | 日: 2025. 韓: 2025. | ||||||
제11화 | 日: 2025. 韓: 2025. | ||||||
제12화 | 日: 2025. 韓: 2025. | ||||||
제13화 | 日: 2025. 韓: 2025. | ||||||
제14화 | 日: 2025. 韓: 2025. | ||||||
제15화 | 日: 2025. 韓: 2025. | ||||||
제16화 | 日: 2025. 韓: 2025. | ||||||
제17화 | 日: 2025. 韓: 2025. | ||||||
제18화 | 日: 2025. 韓: 2025. | ||||||
제19화 | 日: 2025. 韓: 2025. | ||||||
제20화 | 日: 2025. 韓: 2025. | ||||||
제21화 | 日: 2025. 韓: 2025. | ||||||
제22화 | 日: 2025. 韓: 2025. | ||||||
제23화 | 日: 2025. 韓: 2025. | ||||||
제24화 | 日: 2025. 韓: 2025. |
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KT스튜디오지니에서 수입하여 대원방송 계열 애니원에서 자막으로 방영한다. 4월 넷째 주(4/23) 한정으로 1·2화 연속 방송을 진행하며 3화 이후 부터 전화 재방후 본방을 한다.구작을 재더빙 한적이 있어 더빙 가능성이 있다.
8. 평가
8.1. 방영 전
일본 본국을 비롯해 의아해하는 반응이 많다. 구작 애니메이션부터가 감독 타카하타 이사오를 비롯한 미야자키 하야오, 오쿠다 세이지, 토미노 요시유키 등 거장급 연출가들의 힘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명작 애니메이션이라 굳이 리메이크를 할 필요가 없다고 여겨지는데다, 하필 본작의 제작사인 앤서 스튜디오가 전작 신의 탑 2기를 저퀄리티로 만들어 혹평을 받은 바 있기 때문이다. 다만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츠치야 켄이치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 날씨의 아이, 너의 이름은.,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작화감독을 맡은 실력파이므로 적극적으로 작화에 참여한다면 구작의 퀄리티에는 못 미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반면 감독 카와마타 히로시는 단편으로 몇 번 감독 경험은 있으나 TV 장편 애니 감독은 본작이 처음인지라 우려가 크다.그럼에도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리메이크에 대한 기대가 있었으나, 결정적으로 시리즈 구성 담당이 원작 파괴범으로 비난받는 타카하시 나츠코로 공개되자 가망이 없다며 체념하는 반응이 우세해졌다.[6]
8.2. 방영 후
a shabby, old-fashioned carpet-bag
너덜너덜한, 구식 천 가방[7]
너덜너덜한, 구식 천 가방[7]
Redheaded people can't wear pink, not even in imagination.
빨간 머리라면 상상 속에서라도 분홍색 옷을 입지 않는다.[8]
방영 전 우려가 맞아떨어지며 1화부터 빨간머리 앤의 원작을 아는 사람들이 탈탈 까기 시작하는 중이다. 특히 1화에서 앤이 분홍색 옷을 입고 역에 있는 장면[9]은 가방과 옷 모두가 원작과 정면으로 모순되기 때문에 더욱 까이는 중이다. 그 외에도 원작과 모순되는 부분이 여럿 발견되어 감독과 각본가가 원작을 제대로 안 읽고 만드는 거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타카하시 나츠코의 악명이 워낙 높다 보니 타카하시에게 모든 책임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했다.[10] 빨간 머리라면 상상 속에서라도 분홍색 옷을 입지 않는다.[8]
원작을 제대로 연구를 안 하고 만들었으니 캐나다 문화에 대한 고증도 엉망이다. 사실상 캐나다인의 탈을 쓴 일본인이 나오는 애니메이션이며, 캐나다인들이 보기엔 캐나다인이라면 절대 하지 않을 행동을 한다고 한다.[11] 타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구작 애니메이션이 원작을 철저하게 반영하여 캐나다에서도 명작으로 인정받는 것과 정반대.[12]
24화 안에 원작의 모든 내용을 다루고 싶은지 전개가 굉장히 빠른데, 구작 애니메이션과 비교하면 최대 5배 정도 진행 속도가 빠르다. 당연히 많은 내용이 생략되며 섬세한 묘사는 기대하기 힘들다. 이게 다른 작품이었다면 빠르다는 게 강점이 될 수도 있겠지만, 빨강머리 앤은 옛날 캐나다를 배경으로 느긋하게 벌어지는 코미디와 성장 드라마가 중요한 작품이므로 빠른 전개와 생략은 전혀 강점이 되지 못한다.
구작 애니메이션보다 연출, 각본 퀄이 떨어지고 평가할 수 있는 건 최신 트렌드에 맞는 작화밖에 없다. 캐릭터는 확실히 예쁘고 귀엽다는 호평이 많다. 그나마 이것도 캐릭터 디자인이 잘 됐을 뿐이지 작화는 사실 구작에 비해 한참 밀린다. 구작은 미야자키 하야오, 콘도 요시후미 등 훗날 스튜디오 지브리에 들어가는 애니메이터들이 작화를 맡은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당초 기대되었던 캐릭터 디자이너 츠치야 켄이치의 작화는 일부 중요한 장면의 원화를 한 정도로 거의 없다.
캐릭터 디자인과 색감 외에는 구작과 차별화되는 리메이크만의 장점이나 재해석이 있는 것도 아니다. 즉 이 작품은 비주얼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구작의 열화판에 지나지 않는다. 구작 애니메이션 특유의 옛날 느낌이 싫어서 못 보겠다는 사람이 아니면 굳이 시간 내서 볼 필요가 없는 작품이다. 옛날 애니메이션도 문제 없이 볼 수 있다면 구작을 보기를 권한다. 다만 구작에 비교하면 그렇다는 것이고, 원작 자체가 좋은 작품이며 작품의 퀄리티도 큰 문제는 없으므로 옛날 애니를 잘 못 보는 사람들은 보고 호평하기도 한다.[13] 그런 사람들을 위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야마다 나오코가 연출한 오프닝과 엔딩은 호평이다.[14] 타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구작 연출을 적극 오마주했으므로 오프닝 엔딩은 한 번 볼 가치가 있다. 다만 이것도 분홍색 옷을 입은 장면이 나오거나 어린 시절의 앤과 길버트가 함께 춤을 추는 장면[15]이 있는 등 그렇게 깊은 연구를 하고 만든 것은 아니다.
[1] 신카이 마코토 작품에 작화감독으로 많이 참여한 애니메이터.[2] KT스튜디오지니 판권 위탁방영.[3] 1·2화 한정, 첫방송 오후 3시.[4] 좌측부터 길버트 블라이스, 앤 셜리, 다이애나 배리.[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원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6] 심지어 이 시리즈 구성 담당은 첫 제작진 발표 때는 비공개였다가 방영 직전에야 뒤늦게 발표되었다. 타카하시 본인 또는 제작진이 악명을 의식하여 공개를 미룬 것일지도 모른다.[7] 앤 셜리 1화에서는 사각으로 각진 가방을 들고 있는데, carpet-bag은 양탄자로 만든 여행용 가방이다. 당연히 각진 가방이 아니다.[8] 소설이 나올 당시 캐나다에는 빨간 머리는 분홍색 옷을 입어선 안 된다, 안 어울린다는 문화가 있었다. 타카하타 이사오의 구 애니메이션은 앤이 분홍색 옷을 입는 장면이 없다시피 하며, 야타베 카츠요시 감독의 빨강머리 앤이 어렸을 적에 애니메이션도 없다.[9] 키 비주얼 문단의 앤 셜리 비주얼 이미지가 해당[10] 통상 각본가는 감독의 지시를 따라야 하므로 스토리 문제는 감독의 책임이 크다지만, 타카하시 나츠코의 경우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에서 월권을 저질러 감독을 강판한 전적이 있고 각본도 늦게 제출해 현장을 망치며 같이 일해본 감독들이 그 직후 손절한다는 정황 증거가 다수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타카하시 나츠코 문서 참고. 다만 이 작품은 각본 외에 연출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카와마타 감독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11] 그런데 의외로 1화의 기차역에서 벚나무 운운하는 장면은 원작에서도 그대로 있는 내용이다.[12] 1화를 예로 들면 옷은 카키색이었고 가방은 천 가방이었다. 얼마나 사소한 부분까지 고집해서 만든 작품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작은 1화 외에도 원작을 거의 고스란히 옮겨놓은 작품이다. 나이 지긋한 성인 남성인 제작진이 어린 소녀에게 감정 이입하기 힘들자 아예 원작을 그대로 옮기는 방식을 택했기 때문. 원작의 고풍스러운 문어체까지 거의 그대로 살려냈다.[13] 빨강머리 앤 자체가 고전으로서 높은 작품성을 지니고 있기에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보는 입장에서는 무난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구작을 본 사람들이 기대가 커서 구작과 비교하며 상대적으로 저평가하는 경향은 있는 것 같다.[14] 오프닝의 마지막에 앤의 가족의 집을 비춰주는 장면은 빨강머리 앤의 원제인 '초록 지붕 집의 앤'(Anne of Green Gables)를 연출으로 표현한 모습이다. 일어에서 빨강머리 앤으로 제목을 정하고 한국에 들여올 때 일어의 제목을 중역했기에 국내 명칭도 빨강머리 앤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길버트 블라이스는 앤을 계속 좋아했지만 앤이 길버트를 용서한 건 성장한 뒤이다. 어린 시절엔 저런 분위기가 절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