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1:05:54

브릭링크

브릭링크
Brick Link
파일:브릭링크_로고.svg
설립 2000년
설립자 다니엘 예제크(Daniel Jezek)
현재 상태 운영 중
외부 링크 홈페이지
1. 개요2. 온라인 장터3. 장점4. 브릭링크 디자이너 프로그램(BDP)
4.1. 라운드 14.2. 라운드 24.3. 라운드 34.4. 시리즈 14.5. 시리즈 24.6. 시리즈 34.7. 시리즈 44.8. 시리즈 54.9. 시리즈 6
5. 유사한 사이트

[clearfix]

1. 개요

온라인 공식 레고 마켓이다. 전세계 레고인들의 성지이다.

다니엘 예제크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2010년에 그가 사망한 이후 그의 가족들이 사이트 운영을 계속해 오고 있었으나 운영에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었다. 이후 레고 덕후였던 넥슨 창업주 김정주 회장이 이 사이트를 사들인 이후 대대적인 개편을 해서 유동 인구가 더욱 늘어났다.

이후 여러 기술자들을 섭외해 전용 레고 CAD 프로그램인 stud.io[1]를 개발해 연동시켰다.

현재 이 사이트에는 670만 종류의 1억 8천만개에 달하는 레고 브릭을 취급하는 7140개의 스토어가 존재한다.

NXMH의 브릭링크 인수 이후 김정주 회장이 직접 엔엑스브릭스라는 대체브릭 생산업체를 만들었다. 그 후 소호브릭으로 사명을 바꾸고 창작가들의 수요에 맞춰서 영업을 했으나 레고의 브릭링크 인수 직후 바로 청산절차를 밟고 해체됐다.[2]

그러다 2019년 11월 26일(현지시각), 레고 그룹은 NXC의 자회사인 NXMH로부터 브릭링크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3] 이어 브릭링크에서 커스텀 부품과 3사들의 밀리터리 부품을 퇴출시킬 것이라고 선언했다.

2023년 11월 4일부터 11월 8일까지 이례적으로 며칠동안 사이트가 일시 폐쇄됐다. 해킹 공격이 있었던 걸로 추정되는데, 비트코인으로 5만 유로(2023년 11월 기준 환율로 7036만원)를 입금하지 않으면 서버에 있는 있는 모든 자료를 삭제하겠다고 해커가 남긴 협박성 메세지가 발견됐다. 그래서 브릭링크 운영진이 보안 점검을 위해 사이트를 폐쇄했다고 공지를 올렸다. 브릭링크에서 물건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셀러들과 유저들은 부품 조회를 못하거나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없는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11월 9일 새벽에 사이트가 정상화됐다.

2. 온라인 장터

레고 브릭 구매와 판매를 모두 할 수 있다. 한때 레고를 이용한 개인창작품이나 정품이 아닌 커스텀 형식의 레고도 취급했으나, 레고가 브릭링크를 인수하면서 현재는 호환 및 커스텀 부품은 거래할 수 없다. 결제는 다양한 수단이 있으나 판매자가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관계로 페이팔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된다.

국내 미출시 제품, 오래전에 나와서 현재는 단종 및 품절된 제품, 소품, 브릭 등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곳이다. 물론 희귀할수록 가격은 높다. 다만 같은 제품이나 소품이라고 해도, 스토어와 셀러에 따라 가격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나는데 시스템이 가장 저렴한 가격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나열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게 구매를 선택할 수 있다.

거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백미는 피드백으로, 피드백에는 좋음, 중립, 나쁨의 세 가지가 있는데 당연히 배송누락, 다른 부품의 발송, 배송 도중에 분실 등의 트러블이 생기면 구매자는 중립이나 나쁨으로 피드백을 주게 되고, 판매자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역시 중립이나 나쁨 피드백을 주게 되는 혈전이 벌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이 피드백은 기록이 남기 때문에 나쁨 쪽이 많이 쌓이면 판매자의 경우 신용도가 하락하고 일정 수 이상 쌓이면 판매가 불가능해진다.

구매자라면 스토어를 선택할 때 피드백을 확인하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나쁨 피드백이 많으면 당연히 판매에 악영향이 미친다. 때문에 클레임을 걸면[6] 수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워낙 전 세계에 천차만별의 인간들이 존재하는지라 적반하장 격으로 같이 걸고 넘어지는 경우도 있다.

구매자는 판매자에 비하면 피드백으로 받는 영향은 거의 없으나 아무래도 자기 신용도가 까이면 기분이 나쁜지라... 따라서 피드백이 나쁜 셀러에게서는 어지간하면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아무리 자기가 원하는 제품이 있고 가격이 싸더라도 그게 무사히 도착한다는 보장이 없다(...).

참고로 배송이 안 와서 피드백을 아예 줄 수 없는 상황이 오기도 한다. 이때는 배송상태를 거래 완료로 바꾼 뒤 나쁜 피드백을 주면 된다.

스토어 자체에는 결제 취소 기능이 없으므로 꼭 필요한 지출인지 알아보고 사는 것이 좋다. 해외배송 특성상 배송비가 상당하기 때문에 잘 찾아보면 국내에서 더 싸게 구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3. 장점

대규모 창작을 위해 브릭이 많이 필요한 경우, 벌크만 대량으로 구매할 수 있는 브릭링크의 존재가 유용해지며 과거 단종되어 프리미엄이 붙어 엄청나게 비싸진 제품을 사는 대신 조립설명서만 구해서 브릭링크를 통해 필요한 벌크를 구매, 제품 전체를 복원하는 용자도 간간히 보인다. 또한 브릭링크에 수배목록을 이용하면 원하는 브릭 판매자를 금방 찾을 수 있어 다양한 브릭을 소량 구매하기도 편하다

그 외에 특정 소품만을 구하는데, 그 하나를 위해 몇 만원에서 십 몇만원짜리 제품을 통째로 사야하는 경우, 브릭링크를 이용하면 해당 소품이나 피겨만 구할 수 있다.

물론 개별 단가로 치면 제품으로 사는 것보다야 아무래도 비싸겠지만 그건 제품의 기타 브릭들도 같이 필요할 경우의 이야기고, 오직 해당 소품만 필요할 경우 쓸모도 없는 제품을 통째로 사는 것보다야 훨씬 싸게 치므로 소품 매니아들에게도 유용하다.

4. 브릭링크 디자이너 프로그램(BDP)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레고 로고.svg레고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25년 2월 공식 홈페이지 기준 판매 중인 시리즈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레고® 동물의 숲™ 아키텍처 레고® 아트 레고® 아바타
배트맨™ 보태니컬 컬렉션 LEGO® Braille Bricks 브릭헤즈
시티 클래식 크리에이터 3in1 크리에이터 엑스퍼트
DC 슈퍼 배드 4 디즈니 도트
레고® 드림즈™ 듀플로® 레고® 듀플로® 페파 피그 레고® 에듀케이션
프렌즈 레고® Fortnite® LEGO® 개비의 매직 하우스 해리포터™
레고® Icons 아이디어 레고® 인디애나 존스™ 쥬라기 월드
Lord of the Rings™ 마블 마인크래프트® 미니피겨
몽키 키드™ 닌자고® 오버워치® 파워드업
파워퍼프걸™ 소직 더 헤지혹™ 스피드 챔피언 스파이더맨
스타워즈™ 레고® 슈퍼 마리오™ 테크닉 레고® 젤다의 전설™
레고® 웬즈데이 레고® 위키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개별 문서가 있는 단종된 시리즈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Agents 캐슬 Orient Expedition Pharaoh's Quest
마인드스톰 믹셀 엘프 킹덤
히든사이드 바이오니클 부스트 엑소 포스
히어로 팩토리 키마의 전설 넥소 나이츠 }}}}}}}}}
개별 문서가 없는 시리즈 · 브릭링크 디자이너 프로그램

2021년부터 현재까지 운영 중인 프로젝트로, 2022년까지 IDEAS의 10K Club에서 5개를 뽑아서 각 디자인 당 최대 1만개까지 제품화했지만 2023년부터는 라운드에서 시리즈로 이름이 바뀌면서 IDEAS 10K Club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모든 유저들에게 디자인을 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똑같이 5개를 뽑아서 2024년까지 최대 1만개까지 생산했다가 2025년부터 최대 3만개까지 생산한다.[7]
BDP부턴 크라우드 펀딩의 형태로 주문을 받으며, 주문이 3000개를 넘지 않으면 제품화가 안되고 자동으로 주문이 취소된다고 하지만 정작 2021년에 BDP가 시작된 이래로 모두 3000개 이상 펀딩을 달성했기에 최종 5개의 제품 중 펀딩이 모자라서 제품이 안 되는 걸 걱정할 필요는 없다.
시리즈 7부터 창작자는 1년에 1번 씩만 당선될 수 있다는 규칙이 추가됐다. 이는 실력이 너무 뛰어난 창작자가 고정 마니아를 가져서 연속으로 당선되는 일이 생겨서 추후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다.[8]

※ 캐슬은 ♠표시
※ 중세는 ♣표시
※ 해적은 ☠️표시
※ 서부는 ၦ표시
※ 모듈러는 ≡표시[9]
※ 미니피겨 스케일과 완전히 동떨어진 사물, 동물 등의 정물을 표현한 제품은 다른 테마 표시 없이 ♯표시

4.1. 라운드 1

====# 910001 Castle in the Forest(♠≡) #====
파일:라운드 1 숲 속의 성.jpg
BDP의 기념비적인 첫 세트.
이 제품이 BDP 첫 세트로 선정됨으로서 레고에 캐슬러들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해줬고 BDP가 캐슬 시리즈의 맥을 잇는 창구역할이 되는데 일조했으며 라운드가 끝난 이후에도 캐슬러들이 BDP에 많이 유입되서 캐슬 풍 디자인이 계속 선정됐다.
이후 시리즈로 팔콘 쪽의 산속 요새가 나와서 좀 묻힌 감이 있지만 여전히 숲 진영 세트로는 이만한 제품이 없어서 중고가가 높다.
====# 910010 Great Fishing Boat #====
파일:라운드 1 커다란 낚싯배.jpg

====# 910017 Kakapo(♯) #====
파일:라운드 1 카카포.jpg

====# 910028 Pursuit of Flight #====
파일:라운드 1 비행 추격전.jpg

====# 910016 Sheriff's Safe(♯) #====
파일:라운드 1 보안관의 금고.jpg

4.2. 라운드 2

====# 910015 Clockwork Aquarium(♯) #====
파일:라운드 2 클락워크 아쿠아리움.jpg

====# 910009 Modular LEGO Store(≡) #====
파일:라운드 2 모듈러 레고 스토어.jpg
최초의 한국인 BDP 당선작
최대한 실제 레고 스토어에 가깝게 모듈러 스타일로 재현한 것이 특징. 최소 한쪽 방향은 디테일이 전무했던 기존 모듈러와 다르게 사방의 디테일을 전부 살리고 내부도 레고 스토어에 실제로 존재하는 여러 조형물, 가구를 재현했다.
====# 910003 Mountain Windmill #====
파일:라운드 2 마운틴 윈드밀.jpg

====# 910013 Retro Bowling Alley(≡) #====
파일:라운드 2 레트로 볼링장.jpg

====# 910023 Venetian Houses(≡) #====
파일:라운드 2 베네치안 하우스.jpg

4.3. 라운드 3

====# 910011 1950s Diner(≡) #====
파일:라운드 3 1950's 레스토랑.jpg

====# 910008 Modular Construction Site(≡) #====
파일:라운드 3 모듈식 건설 현장.jpg

====# 910027 Mountain View Observatory(≡) #====
파일:라운드 3 산속의 천문대.jpg

====# 910002 Studgate Train Station(≡) #====
파일:라운드 3 스터드게이트 기차역.jpg

====# 910004 Winter Chalet #====
파일:라운드 3 겨울 산장.jpg

4.4. 시리즈 1[10]

====# 910032 Parisian Street #====
파일:시리즈1 파리의 거리.jpg

====# 910031 General Store(ၦ≡) #====
파일:시리즈 1 잡화점.jpg

====# 910030 Snack Shack #====
파일:시리즈1 간식 가게.jpg

====# 910033 Old Train Engine Shed(≡) #====
파일:오래된 기차 창고.jpg

====# 910029 Mountain Fortress(♠≡) #====
파일:시리즈 1 산속 요새.jpg
BDP 역대 최고의 캐슬
사실 캐슬 내에서 뿐만 아니라 BDP 전체 제품을 따져봐도 이만한 퀄리티를 찾기 힘들다. MOC 답지 않게 너무 복잡하지도 않고 너무 심플하지도 않으며 미니피겨의 동선을 막지 않고 각종 기믹을 살려냈다. 눈이 쌓인 산위의 성벽을 화려하게 재현한 것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당연히 프리미엄이 많이 붙었고 현재 정가의 거의 두배 이상을 줘야 제품을 구할 수 있다. 다행인 점은 사용된 브릭들이 대부분 쉽게 구할 수 있고 스티커도 적은 편이라서 BL에서 복원하는 게 다른 제품보단 수월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4.5. 시리즈 2

====# 910035 Logging Railway(ၦ) #====
파일:시리즈 2 벌목 철도.jpg

====# 910034 Brick Cross Train Station(≡) #====
파일:시리즈 2 브릭 크로스 기차역.jpg

====# 910038 Ominous Isle(☠️) #====
파일:시리즈 2 으시시 섬.jpg

====# 910036 The Ocean House #====
파일:시리즈 2 바다 집.jpg

====# 910037 Mushroom House #====
파일:시리즈 2 버섯집.jpg

4.6. 시리즈 3

====# 910040 Harbormaster's Office(≡) #====

====# 910039 The Art of Chocolate(≡) #====

====# 910043 Forest Stronghold(♠) #====

====# 910041 Camping Adventure #====

====# 910042 Lost City #====

4.7. 시리즈 4

====# 910046 Merchant Boat(≡)[11] #====

====# 910044 Wild West Train #====

====# 910047 Medieval Seaside Market(♠≡) #====

====# 910045 Siege Encampment(♠) #====

====# 910048 Riverside Scholars(♣) #====

4.8. 시리즈 5

====# The Thieves of Tortuga(☠️) #====

====# Mushroom Village #====

====# Antique Shop(≡) #====

====# Adventure in Transylvania(♠≡) #====

====# Popcorn Wagon #====

4.9. 시리즈 6

====# Off-road Adventure #====

====# The Art Factory(≡) #====

====# Gold Mine Expedition(ၦ≡) #====

====# Outlaw Forest Den(♠≡) #====

====# Sequoia Tree Trail(≡) #====

5. 유사한 사이트

해외에는 브릭아울, 국내에는 브릭투게더튜브앤스터드라는 브릭링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사이트가 있다. 국내스토어는 아무래도 전세계의 부품들이 모이는 브릭링크에 비해 브릭의 라인업이 좁은 편이고 가격도 조금 비싼 편이나, 배송을 더 빠르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작업실을 뜻하는 스튜디오와 레고 브릭의 돌출부를 일컫는 관용어 스터드를 이용한 언어유희.[2] 소호브릭을 과대평가했던 여론도 있었다. 하지만 품질이 옥스포드 등 다른 대체브릭 업체들 가운데에서 뛰어난 것이지 레고에 못 미쳤던 건 똑같았기에 대부분의 국내 레고 팬들도 그냥 지나간 일로 치부한다.[3] NXMH는 넥슨지주회사이자 김정주 대표가 실소유한 NXC가 100% 출자한 유럽 법인이다.[4] 구매자가 신청한 경우에 한한다.[5] 일반적으로 국제배송이 되므로, 짧게는 1주, 길게는 3주 정도 시간이 걸린다.[6] 물론 정당한 클레임에 한해서다.[7] 레고도 BDP에 너무 빨리 P가 붙는 걸 의식해서 생산량을 확 늘린 것이다. 덕분에 2025년부터 BDP로 뽑힌 웬만한 제품들은 재고가 남을 것으로 보인다.[8] 대표적으로 SleeplessNight. 이 사람은 시리즈 1부터 캐슬마니아들의 주목을 받아서 2023~2024년에 연속으로 당선됐다. 즉, 시리즈 7에서 이 사람이 당선되면 시리즈 9까지는 이 사람 제품을 다시 볼 일이 없다는 뜻이다.[9] 사방이 벽으로 막힌 온전한 건물이고 미니피겨를 실내에 여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모듈러 스케일이어야 한다. 열리는 형태의 건물이어도 닫혔을 때 실내가 완벽히 격리된다면 모듈러다.[10] 2022년까지 라운드로 불리다가 2023년부터 시리즈로 명칭을 바꿨다.[11] 주택과 배가 합쳐져서 모듈러와 선박 모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