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도시를 주도로 삼는 주}}}에 대한 내용은 [[브레스트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레스트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레스트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브레스트(벨라루스)를 연고로 하는 축구팀}}}에 대한 내용은 [[FC 디나모 브레스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FC 디나모 브레스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FC 디나모 브레스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도시를 주도로 삼는 주: }}}[[브레스트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레스트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레스트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브레스트(벨라루스)를 연고로 하는 축구팀: }}}[[FC 디나모 브레스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FC 디나모 브레스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FC 디나모 브레스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8313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8313e>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스크시 | ||
민스크주 | 브레스트주 | 비텝스크주 | |
그로드노주 | 모길료프주 | 고멜주 |
브레스트 Брэст | |||||
| | ||||
<rowcolor=#ffffff> 시기 | 문장 | ||||
<colbgcolor=#007D2C> 국가 | <colbgcolor=#fff,#191919>
| ||||
주 | 브레스트주 | ||||
면적 | 145㎢ | ||||
인구 | 346,061명[A] | ||||
인구 밀도 | 2,400명/㎢[A] | ||||
시간대 | UTC+3 | ||||
1. 개요
브레스트는 벨라루스 브레스트주의 주도로 소련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도시 중 하나였다.2. 언어별 표기
벨라루스어 | Брэст |
러시아어 | Брест(브레스트) |
폴란드어 | Brześć(브제시치) |
리투아니아어 | Brasta(브레스타스) |
이디시어 | בריסק |
3. 역사
브레스트는 키예프 루스가 폴란드로부터 요새를 점령했을 때 브레스트가 처음 언급되었다. 1020년 폴란드에 의해 탈환되었지만 1022년 야로슬라프 1세가 탈환하려고 했지만 실패하였다. 하지만 1042년 또는 1044년에 요새를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1164년에 리투아니아인들에게 잠시 점령당고 그 이후 민스크 공국이 차지하고 그 후 갈리시아 공국이 그 후 또 폴란드가 다시 차지하는 등 여러 세력이 차지한 도시였다.1319년에 브레스트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1349년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가 점령하였지만 1352년 리투아니아가 다시 탈환하였다. 1390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수도 빌뉴스에 이어 2 번째로 마그데부르크 권리를 받은 도시이자 현재 벨라루스에 해당하는 땅 중 첫 번째 도시가 되었다. 브레스트는 폴란드와의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1500년에 크림 타타르인이 브레스트를 불태워 버린 후, 1569년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군연합이 형성되어 브레스트는 폴란드-리투아니아의 도시가 되었다. 1657년과 1706년에 스웨덴 군대가 폴란드-리투아니아를 침공하는 사이 러시아가 동쪽에서 폴란드를 공격하였다. 1660년 1월 13일, 러시아는 브레스트 성을 기습 점령하고 수비대 1,700명을 학살하였다. 그 후 폴란드는 쇠락하였고 여러 차례 분할되었다. 브레스트는 1795년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
19세기 러시아 통치 기간 동안 브레스트 요새는 도시 안팎에 건설되었다. 이 시기 브레스트 성과 구 시가지 대부분이 철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5년 8월 25일, 1915년 대퇴각 중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휘하의 독일 제국군에 의해 브레스트는 점령되었다. 그 이후 독일과 러시아의 휴전 조약인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브레스트에서 체결되었다.
전간기부터 폴란드 침공 전까지 폴란드 제2공화국의 일부였다. 이 시기 도시 인구의 41.3%가 유대인이었고 브레스트 민간 기업의 80.3%가 유대인에 의해 운영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영토가 서쪽이 넓어지고 동쪽이 줄어들면서 벨라루스 영토에 편입되었다. 현재 벨라루스 최서단, 폴란드 국경에 위치한 국경도시이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3]라고도 불렸으며,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체결 장소였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브레스트에 살던 폴란드인들은 체포, 처형 그리고 시베리아와 카자흐스탄으로 대량으로 추방되었다. 체포된 죄수들은 민스크 교도소로 이송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카틴 학살 당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브레스트에서는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이 벌어졌다. 브레스트 요새는 독일군의 맹공을 6일 동안 버텼으나 모든 수비군은 사망하였다. 그리고 브레스트를 점령한 독일군은 유대인들을 학살하였고, 전후 살아남은 유대인은 7명이다. 2차 대전이 끝난 후 브레스트는 소련의 도시가 되었고, 칼리닌그라드와 함께 소련의 최서단 도시였다. 특히 브레스트는 냉전 시기 폴란드와 맞댄 국경도시로 유사시 자본주의 진영 국가인 서독, 프랑스로 나아갈 수 있는 길목에 위치한 특성 상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자 벨라루스의 도시가 되었다.
4. 관광
- 브레스트 요새 (Брэсцкая крэпасць) : 사실상 브레스트 관광의 알파이자 오메가. 19세기 러시아 제국 시기에 지어진 성형 요새로 독소 전쟁의 첫 번째 전투인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이 벌어진 곳이다. 대조국전쟁 이후 소련에서 전공을 기념하기 위해 영웅 도시를 지정하면서 유일하게 요새로서 지정된 '영웅 요새'(Крепость-герой)이다. 브레스트 방어전에서 전사한 병사를 기념하기 위한 거대한 조각상이 랜드마크이다.
- 브레스트 철도 박물관 (Брэсцкі чыгуначны музей) : 2002년에 개관한 벨라루스 최초의 야외 철도 박물관.
- 베레스티 고고학 박물관 (Археалагічны музей Бярэсце) : 13세기에 지어진 동슬라브족 목조 마을 유적지로 박물관은 보존된 28개의 통나무 오두막과 발굴 과정에서 발굴된 10세기와 14세기의 유물 14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박물관들은 브레스트 요새에서 거의 붙어 있으므로 한나절 정도 요새와 박물관들을 둘러본 후 저녁에 하술한 소베츠카야 거리 산책을 하는 계획을 짜는 것이 좋다.
5. 출신인물
- 메나헴 베긴 : 이스라엘의 총리.
- 야로스와프 동브로스키 : 폴란드의 귀족이자 독립운동가
6. 기타
시내의 중심지 소베츠카야 거리(Вуліца Савецкая).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문화유산이 많이 파괴된 벨라루스에서 드물게 구시가지가 잘 보존돼 있어 벨라루스의 몇 안 되는 관광도시이다.
소베츠카야 거리에는 일몰 시간마다 가스등을 켜는 점등원이 있다.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폴란드 브로츠와프에도 가스등을 켜는 점등원이 있지만, 브레스트의 이 점등원 한 명만큼 유명하진 않다. 사람들은 행운을 빌기 위해 점등원의 단추를 만진다고 한다. 시 차원에서도 이 점등원을 시의 유명인사로 밀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