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9:37:46

볼보 900 시리즈/유지보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볼보 900 시리즈

1. 개요2. 유지보수
2.1. 부품수급
2.1.1. 볼보코리아 정식 부품2.1.2. 부품 쇼핑몰
2.1.2.1. 유럽권2.1.2.2. 북미권
2.1.3. 올드 볼보 부품을 구하기 어렵다?2.1.4. 국산차 호환부품
2.2. 정비소
2.2.1. 볼보 정식 센터2.2.2. 사설 센터
3. 정비
3.1. 엔진 부조화 (940 2.3)
3.1.1. 엔진 센서 오류3.1.2. 연료 공급 시스템3.1.3. 점화 계통 노후화
3.2. 밸브 간극 조정3.3. 진단
3.3.1. 고질병
3.3.1.1. 구동부3.3.1.2. 내외장
4. 기타 특징5. 커뮤니티

1. 개요

볼보 900 시리즈의 유지보수에 관한 문서.

2. 유지보수

볼보코리아는 한진그룹 시절 수입된 볼보 자동차들의 AS도 책임지고 있다. 많은 양의 부품 재고들을 확보하고 있진 않지만, 실제 운행에 필요한 소모품, 호스류의 경우엔 2022년 기준으로도 국내 재고들이 물류센터에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900시리즈를 만져봤을 법한 볼보 센터소속 정비사는 대부분이 퇴직하거나 개인 정비소로 이동하였다. 더욱이 95년 이전의 초기형 940의 경우 별도의 OBD-1 진단기를 필요로 하지만, 이 진단기를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폐기처분 후 재구매 하지 않았다. 현재 서울권에는 이 초기형 900 시리즈,700시리즈, 그리고 초기형 850들을 위한 OBD-1 진단기가 더 이상 없으며, 2022년 03월 기준으로 광주 볼보 공식센터에만 이 OBD-1 진단기가 남아있다. 하지만 이 광주센터의 진단기도 2021년 말 마지막 진단차량을 마지막으로 단자가 단선되어, 현재 수리중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온보드 진단기가 없어도, 이 OBD-Ⅱ 이전, 1995년 이전의 볼보 OBD-1 시스템은 오너가 자가 진단이 가능하도록 모스 부호 식으로 오류코드 출력이 가능하다.

2023년 2월 볼보자동차코리아의 구형 진단기 현황 전수 조사 과정에서 서울 본사 창고에서 보관 중이던 구형 차종용 OBD-1 진단기가 확인되었다. 구 볼보 차량들의 유지가 한결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2.1. 부품수급

볼보는 클래식 부품 담당사로 볼보 GCP를 운영하며, 공식 센터로 공급한다. .

900시리즈, 700시리즈부터 PV444같은 완전 클래식카까지 모두 부품 수급이 된다. 스웨덴 현지 GCP에 직접 연락해 부품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클래식 파츠들을 볼보 코리아에서 상시 재고로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올드 볼보의 유지보수에 있어 직구능력이 없다면 비싼 가격으로 정품 파츠를 오랜 시간동안 기다리거나, 수입차 부품 구매 대행사에서 몇 배의 가격을 주고 부품을 수급해야 한다. 더욱이 부품 직구가 활성화 되어 일부 부품은 국내 재고도 있는 독일차와 다르게, 올드 각볼보의 부품을 전문으로 하며 부품을 재고로 보유중인 업체는 찾기 힘들며, 필요한 부품이 있을 때마다 해외 직배송을 통해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부품구매]

2.1.1. 볼보코리아 정식 부품

한진그룹 산하에서 판매된 볼보의 A/S를 현 볼보코리아에서 승계해, 그 부품의 유통까지 맡고 있다.

서울권 부품문의는 H모터스에서 운영중인 볼보 성수서비스 센터로 하면 된다. 다른 센터로 전화해도 성수 서비스 쪽으로 연결해 준다. 개인 구매도 가능하며, 직접 성수 서비스 센터에 방문해 부품 픽업도 가능하다.[2]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20길 50 (성수동2가 275-30)
대표번호 1588-7060
FAX 02-464-7060
영업시간 평일 9:00~18:00
토요일 9:00~13:00

2.1.2. 부품 쇼핑몰

북유럽 및 북미권 부품 쇼핑몰에서 쉽게 부품을 직구할 수 있다.
2.1.2.1. 유럽권
쇼핑몰 명 국가 특징 직배송
스칸딕스 독일 볼보, 사브 전문 쇼핑몰이다. 차대번호 기준 부품을 구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은 구색을 갖추고 있다는 평. 가능
V Parts 스웨덴 내외장 부품 외에도 바디킷,그릴,썬바이저 등 자체 생산품을 판매한다. 불가능
SC Styling 튜닝용 부품 및 휠 등을 전문으로 한다.
VP Autoparts 클래식 부품을 전문으로 한다. 단종된 볼보 부품을 자사 이름으로 재생산하여 판매 중이다.[3]
CVI Automotive 이쪽도 클래식 볼보 부품을 전문으로 한다.[4] 가능
volvo340onderdelen.nl 네덜란드 볼보 340뿐만 아니라 다른 구 볼보 차종들의 NOS(New Old Stock) 순정 부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
2.1.2.2. 북미권
쇼핑몰 명 특징 직배송
FCP Euro# 볼보 외에도 타 유럽차종 부품을 전문으로 한다. 가능
IPDusa# 차대번호 기준으로 정품 비품 모두 쉽게 구할 수 있다. 자체 생산한 하체 부품들이 주력 상품. 가능
락오토 볼보 전문은 아니나, 다양한 가격대의 다양한 수준의 부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정말 하급 품질부터 OEM급 부품까지 부품 스펙트럼이 넓기에, 구매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능
Red Block Society 개러지를 운영 중이다. 튜닝용 부품, 휠, 의류, 중고 부품 및 액세서리 위주. 가능

2.1.3. 올드 볼보 부품을 구하기 어렵다?

일부 국내 블로그에서 볼보 올드카 부품 수급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으나, 위와 같은 반응은, 이베이에서만 부품 검색을 진행 한 후, 몇 나오지 않는 검색 결과에서 포기 한 경우가 다반사이다. [5] 올드 볼보의 부품은 대부분 위에서 언급된 '볼보 전문' 해외 쇼핑몰에 집중되어 있다. 이베이에서 찾으면 하나도 없는 부품이 볼보 전문 쇼핑몰에서는 재고가 넘치게 있는 경우가 많다. 부품 재고, OEM 부품, 클래식 부품의 재생산 모두 원활하다.

물론 이 모든 부품들을 볼보코리아에서 빠짐 없이 국내에 쟁여 둔 것은 아니다 보니[6], 직구를 통해서 혹은 부품 수입 대행업체를 통해서 구해야 하는 부분은 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거나, 혹은 구글 번역기를 사용하는 데에 거부감이 있거나 혹은 해외직구 경험이 없는 사람이 ‘오직’ 국내에서만 후륜볼보 부품 수급을 진행 하려 한다면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 할 수 있다. 후륜 볼보를 다루는 대부분의 자료는 영어, 스웨덴어로 되어 있고 부품들 역시 해외 사이트에 재고가 많기 때문이다.

정비 자료도, 기초 정비에서부터 고출력 튜닝까지 아주 상세하게 인덱싱되어 각국 포럼에서 pdf 파일로까지 공유되고 있을 정도로, 한글로 찾아 보면 얼마 나오지 않는 검색 결과 대비 영어로 찾아보면 웬만한 정보, 부품 구입처는 다 나온다.

940은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차였지만, 동일한 계열의 볼보 레드블록 엔진을 사용한 볼보 200 시리즈 중 240, 볼보 700 시리즈중 740이 전 세계적으로 수 십만 대 이상 팔렸기 때문에‘규모의 경제'가 실현되고, 또 엔진과 차체 자체의 높은 내구성과 방청 처리 덕에 현재까지도 남아 있는 개체수가 많아 정비 부품 수요도 자연스레 여전하다.

시간이 많은 사람이라면 국내 볼보 공식 서비스센터에 의뢰하여 전 부품 모두 정품으로, 1주 이상의 검증과정과 배송을 거쳐 한국으로 반입되는 과정을 거치면 받아볼 수 있긴 하다. 이 과정에서 능숙치 못 할 경우 ‘후륜 볼보 부품 구하기도 어렵고 고치기도 어렵다’ 라는 반응을 국내 인터넷에 올리고 차량 소유도 포기하는 것이다.

앞서 말 한 듯이 영어, 해외직구에 익숙하며 구글링 등 정보 탐색에 어느 정도 일정 수준을 갖춘 사람이라면 전혀 어렵게 생각 할 필요가 없다. 심지어 영어를 하지 못하더라도 번역기를 돌려 가면서 구매, 정보 탐색은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인데, 그것이 귀찮다면 볼보가 아니라 어떤 올드카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2024년 현재는 국내 후륜볼보 카페가 활성화 되어, 해외 포럼의 자료를 공유하고 또 한글화 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1.4. 국산차 호환부품

다음 목록은 네이버 카페 ‘클래식볼보코리아‘ 에서 차주들이 실제 차량에 적용하여 운용 후 검증한 호환 부품들이다.
검증부품
미검증 부품

2.2. 정비소

2.2.1. 볼보 정식 센터

볼보코리아 정식 센터에서 구 후륜 볼보들을 받아준다.
장점
단점

2.2.2. 사설 센터

인터넷에 ‘볼보 전문 정비소’ 를 검색 시 몇 업소가 이름을 올리지만, 이중 후륜볼보를 전문으로 하는 업소는 찾아보기 힘들며 대부분이 ‘전륜볼보’ 정비를 전문으로 하는 곳이 많다.

볼보는 1993년 출시된 850부터 새로운 전륜구동 플랫폼과 볼보 모듈러 엔진을 도입했다. 그 이전의 볼보는 후륜구동 레이아웃에 볼보 레드블록 엔진 을 사용했고 고질병이나 그에 대한 대처법도 전륜볼보와는 다르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도 ‘후륜 볼보’ 전문 샵이 따로 있으며, 볼보 전문 쇼핑몰들 역시 파워트레인과 컴퓨터제어시스템을 공유하는 200,700,900 시리즈를 한데 묶어서 취급한다.
장점
단점

3. 정비

3.1. 엔진 부조화 (940 2.3)

센서류가 노화되며 아이들링 시 거칠거나 RPM이 요동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올드카로써 볼보 940을 구매 시 가장 먼저 마주칠 수 있는 문제이다.
B230FB 논터보의 순정 RPM 아이들링 값은 775RPM이고, B230FK 저압터보의 아이들링값은 750RPM이다. 이보다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 점검이 필요하다. 볼보 940 전기형의 경우엔 엔진 내 진단기를 통해 각 센서가 제대로 된 신호를 보내는지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좋고, 그 이후 후기형은 진단기를 꽂아 각 센서가 내보내는 오류코드가 있는지 먼저 확인해 보아야만 한다.
비싼 센서류를 교체 하기 이전에 발전기, 접지 배선의 노후로 인한 낮은 차량전압을 우선 해결 한 후, 각 센서를 바꾸어 주는 것이 좋다. 아무리 센서 상태가 좋아도 낮은 전압으로 인한 부조의 가능성이 있다. 전압 해결 후 가장 먼저 실시되어야 할 부분은 진공 누설 체크이다. 누설되는 공기가 없는지 가장먼저 선행 확인되어야 한다.
전압 확보 이후에도 엔진 부조화가 일어날 경우엔,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진다.

3.1.1. 엔진 센서 오류

한국 내 잔존개체들 중 다수인 보쉬 'LH-Jetronic 2.4'(이하 LH2.4) 연료 시스템을 장착한 940, 즉 B230FB, B230FK 저압터보를 기준으로 한다.

MAF (Mass Air Flow)
볼보 940은 MAF 타입 센서로로 공기량을 측정한다. 이 센서가 더러울 경우에 엔진 부조화의 가능성이 있다. MAF 클리너가 시중에 나와있으니, 이런 케미컬류를 사용하여 MAF를 세척 후 ECU초기화를 진행하면 된다.
이런 후에도 증상이 발현 된다면 MAF 센서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으니, MAF 각 단자의 옴 값을 측정하여 센서가 정상인지 확인 여부도 중요하다.

LH2.2 시스템이 적용된 초기형 (92년 이전) 차량들의 경우엔 MAF 자체에 최소 아이들링을 조정할 수 있는 나사가 있으나, 국내에 수입된 대다수 차량, 즉 LH2.4 적용차량들은 이 스크류가 없다.
LH2.4의 MAF는 핫 필름 타입이다.
IAC (Idle Air Control)
흡기 매니폴드 아래에 위치 해 있다. 아이들링 컨트롤 밸브. 아이들링이 불안정 하다고 하면 가장 자주 지목받는 부품이다. 이 밸브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에 있는 플랩이 더러워짐으로, 스로틀 바디 클리너 등으로 세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밸브에는 두개의 구멍이 나 있는데 하나는 흡기 매니폴드로 가고 다른 하나는 흡기 다기관쪽으로 간다.
흡기 매니폴드로 가는 C자 형태의 호스가 잘 노화된다. 노화의 이유는 뜨거운 엔진 바로 옆에있는 호스이다보니 빨리 경화되고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호스는 형상 자체도 C자이며, 또 양쪽 구경도 다르다. 기성품 호스로 대체하기에는 특이한 형상이기 때문에 정품을 사는것이 정신건강에 매우 좋다. 다기관 쪽으로 가는 호스는 논터보 터보 각각 다른형상의 호스를 사용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최소 아이들링 값이 그래도 유지되지 못한다면 스로틀 포지션 센서역시 의심 가능하다. TPS는 교체 혹은 조정이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다.틈새 게이지 등을 사용한 정밀조정이 필요한 사항이다.

상기 기술된 센서 이외에도 수온센서, 노크센서 등이 장착되어 있다.

3.1.2. 연료 공급 시스템

엔진 자체 연료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부조화도 의심할 수 있다.
연료를 분사해 주는 인젝터 막힘, 분사량 점검을 먼저 진행해 주는것이 좋다. 인젝터 검사 후에도 문제가 계속 될 시 그 옆에 장착되어 있는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Fuel Pressure Regulator)를 검사한다. 진공을 통해 연료 공급 압력을 관제하는 레귤레이터다.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에 꽂혀있는 진공 라인을 뺐을 때, 연료가 새어 나온다면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를 교체 해 주면 된다. 현대 스쿠프의 압력 레귤레이터가 완벽히 개조없이 호환된다.
이후에도 연료 공급에 문제가 발생 시에는 연료펌프와 연료필터 교체가 필요하다. 볼보 940 전기형과 중기형 후기형이 이곳에서 나누어진다. 전기형은 차량 바닥에 고압 연료펌프, 연료필터가 함께 위치하고 있으며, 연료통 안에 별도의 저압펌프가 위치한다. 중기형과 후기형의 경우엔 연료통 쪽의 고압펌프 하나로 일원화 되었으며, 차량바닥에는 연료필터만 자리한다.

3.1.3. 점화 계통 노후화

정차시 툭툭 튀는 듯한 부조, 혹은 가속 시 잘 안나감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면 가장 먼저 지목 가능한 부품은 점화 플러그이다. NGK에서 납품하는 BPR6ES 플러그. 현대자동차 부품대리점에서 판매되는 싼타모 LPG의 점화 플러그가 볼보 정품 플러그와 완벽히 똑같은 제품이다.

플러그를 교체 한 이후에도 증상이 있다면, 점화 케이블 4개를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점화 케이블의 경우엔 볼보 정품은 Bougicord에서 OEM납품한다. 국내 차종 중 호환 되는 부품은 레조의 점화케이블이 호환된다. 점화케이블 말고 점화케이블 본선 역시 노후되니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볼보 940은 디스트리뷰터 타입의 점화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소모품인 디스트리뷰터 캡의 노후화를 지목 할 수 있다. 디스트리뷰터 캡은 국내 정비소에서 일명 '비후다','뷰다'등으로 불려지는 부품이며, 안쪽에 위치한 로터(일명 로라)와 함께 보통 교체된다. 이 캡은 보쉬에서 제작했다. 국내 볼보코리아에서 유통하는 볼보 박스에 담긴 볼보정품과, 보쉬에서 보쉬 박스에 담아 유통하는 동일 제품의 가격차는 두배 혹은 그 이상이다.

이 디스트리뷰터 캡을 열었을 때 안에 오일이 흥건하다면, 오링의 노후화로 인한 것이니 국내 오링집에서 동일 사이즈의 오링을 찾아 디스트리뷰터 내의 오링 씰도 함께 바꿔 주면 된다.

이외에 점화코일 점검 역시 동반되어야 한다.

3.2. 밸브 간극 조정

볼보 940의 엔진 밸브 태핏은 심 타입이다. 엔진 오일로 간극이 자동 조정되는 유압 태핏과 다르게, 직접 심(shim)으로 간극을 조정해 주어야만 한다. 볼보에서 제시하는 매뉴얼 상 940 레드블럭 엔진의 밸브간극 주기는 50000km 혹은 밸브소음의 정도에 따라 판단하도록 되어있다.

만져보지 않은 생소한 엔진이라, 레드블럭 엔진의 밸브간극 조정을 해 주겠다는 정비업체는 잘 없는 편이다. 그러나 정비성을 위주로 제작된 엔진에 맞춰 볼보에서도 정비 매뉴얼을 상세히 공개 해 두었으며, 많이 팔린 엔진과 차종인 만큼 밸브 간극 조정법을 설명하는 해외 채널도 매우 많은 편이다.

3.3. 진단

볼보 940 1991~1995년형 은 진단기가 없어도 엔진 내의 OBD-1 자가진단시스템을 통해 에러 코드를 뽑을 수 있다. 자가진단시스템은 좌측 스트럿 타워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 방법은 다음 영상 참조. 모스부호 마냥 출력된다.

보쉬 LH 2.4 인젝션 시스템 구성요소 작동테스트
1. 엔진룸 내의 자가진단 시스템 커버를 열고, 커버에 달린 단자를 2번 소켓에 꽂는다.
2. 열쇠를 돌려 시동 전 모드,(Key Position II) 즉 액세서리 모드에 둔다. 시동을 걸진 말것.
3. A 버튼을 약 2초가량 누른다.
4. LED 가 총 3번, 3초 간격으로 점멸한다. 각 점멸된 횟수를 기록한다.
5. 1 - 1 - 1 이 점멸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다.아무런 오류 코드도 기록되지 않는다.
1-1-1 외 다른 코드가 점멸했을 경우, 아래 참조표를 참고하면 된다.
코드 상태 원인 발현 증상
1-1-1 결함 없음 없음 없음
1-1-2 연료 인젝션 컨트롤 유닛 연료 인젝션 모듈 오류 없음
1-1-3 연료 분사량 과다 혹은 적음 연료배합비가 맞지 않음, O2S 배선 문제 연료 과다 소모
1-1-5 없음 없음 없음
1-2-1 에어플로우 센서 신호 없음 혹은 신호오류 에어플로우 센서 배선 단선 다양한 주행관련 오작동, 연료 과다소모
1-2-3 냉각수온 센서 신호 없음 냉각수온 센서 배선 단선, 흡기 매니폴드와 엔진 접지 단선 냉간 시동성 불량
1-3-1 시동 시 점화 시스템 RPM 신호 없음 RPM 센서 결함, RPM 센서 단선 시동 불가
1-3-2 전압 과다 혹은 낮음 발전 시스템 혹은 배터리 상태 불량 증상 없음
1-3-3 스로틀 스위치 아이들링 세팅 재조정 요망 혹은 접지 불량 TPS 불량 혹은 잘못 조정됨 아이들링 RPM 과다
1-4-3 없음 없음 없음
2-1-2 산소센서 불량 혹은 산소센서 응답없음 산소센서 배선 불량 높은 연료소모, 주행불안
2-1-3 스로틀 최대 개방치 불량, 혹은 접지불량 TPS 배선문제, TPS 불량 없음
2-1-4 없음 없음 없음
2-2-1 가속 시 일부 구간 연료 공급 불안정 연료 압력 낮음, 진공 누설,AMM(Air Mass Meter)센서 불량 연료과다소모, 냉간시동 불안정
2-2-3 IAC(아이들링 에어 컨트롤)밸브 응답없음 IAC 불량, IAC 배선불량 아이들링 RPM너무 낮음, 시동 힘듦
2-3-1 가속 시 연료 공급 부족 혹은 과다 과다 시: 진공누설, 연료압력 부족 센서불량 연료과다소모, 냉간시동 불안정
2-3-3 없음 없음 없음
2-4-1 없음 없음 없음
2-4-3 없음 없음 없음
2-4-3 없음 없음 없음
3-1-1 속도계 응답 없음 계기판 배선 불량 아이들링 문제
3-1-2 노킹 센서 신호 없음 배선 단선 - EZK 터미널 4 와 FI #28번 없음
3-1-4 없음 없음 없음
3-2-1 냉간 시동 인젝터 신호 없음 혹은 쇼트 인젝터 불량 냉간시동 불량
3-2-2 에어매스미터 (AMM) 와이어 점화 신호 불량 혹은 없음 FI 터미널 8 과 AMM #4 간 배선 단선 더러운 AMM와이어로 인한 주행불량
3-4-4 EGR 온도 신호 없음 혹은 오류 센서 와이어 단선 B204FT/ GT 엔진만 적용
4-1-3 없음 없음 없음
4-3-3 없음 없음 없음
1995년 이후 차량은 별도 OBD-Ⅱ 진단기를 통해 통신해야만 한다.
전기형 (Series-1) 940 중고를 사려고 하는데 위 진단기가 점멸하지 않는다면 상당히 어려워진다.

3.3.1. 고질병

설계 당시의 결함이라기 보단,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기는 자연스러운 증상이다.
3.3.1.1. 구동부
막힘으로 인한 증상은 엔진 내 압력 증가로 인한 누유 발생이다. 누유가 있다면 비싼 공임에 가스켓 먼저 싹 바꾸기보단 가장 기본이 되는 이 PCV 박스 시스템을 먼저 점검해 보는것이 좋다. 볼보 공식 매뉴얼에도 이 PCV 시스템을 잘 관리해 주라고 적혀있다.

PCV 박스의 가격은 그렇게 비싼 편도 아니며, 다시 세척해 슬러지를 빼낸 후 재사용도 가능하다. PCV 박스의 위치는 흡기 매니폴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940의 경우 매니폴드 탈거 없이도 PCV 박스를 손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난이도나 시간이나 그렇게 오래 걸리는 작업이 아니다. 올드 볼보를 가져온다면 이 PCV 박스 먼저 정비해보도록 하자.
IPDusa 등 해외 볼보 부품 몰에서도 PCV 정비를 위한 모든 부품과 호스, 고무링을 간편하게 하나의 키트로 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해외 볼보 포럼에서는 기본 중의 기본 정비로 통하고 있다.
3.3.1.2. 내외장

4. 기타 특징

헤드램프 렌즈를 고정하는 방식도 클립과 고무 줄로만 되어있어서, 굳이 요즘 차 헤드램프처럼 부틸, 실리콘 등을 히팅건으로 녹여 붙이는 수고로움이 없다. 그냥 고무줄을 반사판 테두리에 맞춰 끼워넣고, 렌즈를 얹은다음, 클립으로 다시 고정해주면 복원 완료다.

5. 커뮤니티

900 시리즈 외 포드 인수 이전 볼보를 다루는 커뮤니티 목록이다.

국외
국내

[부품구매] 대행은 해주더라도 정가 400달러짜리 라디에이터를 80만원에 수급은 해주겠다는 등의 배짱을 부리는 식.[2] 연식 별로 상이한 부품 번호가 있을 수 있으니, 꼭 차대번호를 먼저 말하고 문의하는 것이 좋다.[3] 외장 몰딩류 재생산을 전문으로 한다.[4] 국내 올드 볼보 커뮤니티 클래식볼보코리아에서 직구해 본 결과, 배송, 커뮤니케이션이 빠르다는 리뷰가 있다.[5] 실제로 이베이에서 올드 볼보의 부품을 검색해 보았을 때 BMW, 벤츠대비 검색 결과가 적긴 하다.[6] 필터류, 소모품류는 볼보코리아에서 계속해서 GCP 재생산품을 사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재고의 수를 넉넉히 사입하는 것이 아니라, 없는 경우도 꽤 많다.[7] 쉐보레 품번 96312545[b230fb] [9] 현대모비스 품번 35312-22000[10] 현대모비스 품번 02200 - 00110[11] API GL-5급, SAE 80W-90 940 순정규격 충족[12] 이 차량은 95년식 차량으로, 외장 연료펌프가 달리지 않고 내장 연료통 펌프만 달린 차량임으로, 95년 이후 출시된 940 후기형에만 적용되는 호환사례이다.[13] 이것은 비단 볼보의 올드카 뿐만 아니라 어떤 자동차여도 마찬가지이며, 정비 경력이 수 십년 넘은 달인이어도 전장계통 트러블에 즉각 대처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14] 물론 이 부분은 사설 정비소마다 다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