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1:36:38

복원학



1. 개요2. 역사3. 복원학이 있는 학과
3.1. 생물학과3.2. 의과
4. 활용
4.1. 환경복원4.2. 문화유산복원
5. 각종 항목

1. 개요

복원학(Restoration ecology)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구하거나 개선하는 학문이다. 복원학은 생태학, 환경공학, 보전생물학, 조경학 등 여러 학문과 연관되어 있다. 복원학은 단순히 자연환경을 원상복귀시키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생물다양성, 인간과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자연환경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역사

복원학의 역사는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산림이나 습지와 같은 자연자원의 보호와 관리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30년대에는 미국의 식물학자 알도 레오폴드가 자신의 농장에서 복원실험을 하면서 복원학의 선구자로 인정받았다. 1960년대에는 환경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복원학은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87년에는 미국에 복원학회(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가 설립되었고, 1989년에는 복원학의 전문저널인 Restoration Ecology가 창간되었다. 1990년대 이후로는 복원학이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었고, 유엔이나 IUCN 등의 기구에서도 복원에 관한 정책과 지침을 제시하였다.

3. 복원학이 있는 학과

복원학은 여러 학과에서 다루어지는 학문이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학과에서 복원학을 배울 수 있다.

3.1. 생물학과

생물학과에서는 복원학을 생태학의 한 분야로 취급한다. 생물학과에서는 복원학의 이론과 방법,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복원, 생태계 서비스와 인간의 복지 등에 대해 배운다. 생물학과에서 복원학을 전공하면, 생태학자, 보전생물학자, 환경교육가, 환경기관의 연구원 등의 직업을 가질 수 있다.

3.2. 의과

의과에서는 복원학을 재생의학의 한 분야로 취급한다. 의과에서는 복원학의 원리와 기술, 인체의 조직과 기관, 재생과 치유의 메커니즘, 재생의학의 임상적 적용 등에 대해 배운다. 의과에서 복원학을 전공하면, 의사, 간호사, 약사, 재생의학 연구원 등의 직업을 가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치과가 있다. 예를들어 임플란트, 레진, 크라운 등이 있다.

4. 활용

복원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복원학이 적용되고 있다.

4.1. 환경복원

환경복원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구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복원은 산림, 습지, 하천, 호수, 바다, 도시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이루어진다. 환경복원의 목적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생물다양성, 생태계 서비스 등을 회복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는 것이다. 환경복원은 환경보호와 환경개선에 기여하며,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킨다.

4.2. 문화유산복원

문화유산복원은 인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유물이나 유적을 복구하거나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문화유산복원은 건축물, 조각, 그림, 문서, 음악, 민속, 종교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유산에서 이루어진다. 문화유산복원의 목적은 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 미적 특성, 역사적 연속성 등을 재현하고, 인간의 정체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문화유산복원은 문화보존과 문화교육에 기여하며, 인간의 창의성과 감성을 발달시킨다.

5. 각종 항목

복원생태학: 복원학의 핵심적인 이론과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다. 복원생태학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생물다양성, 생태계 서비스 등을 분석하고, 복원의 목표와 기준, 복원의 과정과 평가, 복원의 성공과 실패 등을 연구한다.

복원공학: 복원학의 실제적인 기술과 적용을 다루는 학문이다. 복원공학은 복원에 필요한 재료와 설계, 복원에 적합한 식물과 동물, 복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고려하고, 복원의 비용과 효과, 복원의 안전과 유지 등을 고려한다.

복원윤리: 복원학의 가치와 책임을 다루는 학문이다. 복원윤리는 복원의 필요성과 정당성, 복원의 목적과 방식, 복원의 이해관계자와 참여 등을 논하고, 복원의 영향과 결과, 복원의 한계와 위험 등을 논한다.

하천복원: 하천복원은 치수사업, 기타 다른 목적의 하천사업이나 불량한 유역관리에 의해 훼손된 하천의 생물 서식처, 자정, 친수성을 되살리기 위하여 하도와 하천변을 원 자연하천에 가깝게 되돌리는 것이다. 하천복원의 목적은 하천의 수질과 수리, 하천의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하천의 경관과 문화 등을 회복하고, 인간과 하천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는 것이다. 하천복원은 홍수방지와 수자원보호에 기여하며,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킨다. 하천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청계천, 안양천 등이 있다.

산림복원: 산림복원은 산불, 벌목, 채광, 개발 등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퇴화된 산림을 복구하거나 개선하는 것이다. 산림복원의 목적은 산림의 구조와 기능, 산림의 생물다양성, 산림의 서비스 등을 회복하고, 인간과 산림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는 것이다. 산림복원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응하며,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킨다. 산림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오렌지껍질, 백두대간, 한라산 등이 있다.

습지복원: 습지복원은 개발, 배수, 오염 등으로 인해 손실되거나 훼손된 습지를 복구하거나 개선하는 것이다. 습지복원의 목적은 습지의 구조와 기능, 습지의 생물다양성, 습지의 서비스 등을 회복하고, 인간과 습지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는 것이다. 습지복원은 수질정화와 수자원보호에 기여하며,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킨다. 습지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낙동강하구, 섬진강하구, 연평도 등이 있다.

분류